• 제목/요약/키워드: prostate gland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3초

益氣補血湯 물 추출물이 PTU로 유발된 Rat의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ikgeebohyul-tang Aqueous Extracts on the Rat Hypothyroidism Induced by Propylthiouracil)

  • 손지혜;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4-73
    • /
    • 2015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Yikgeebohyul-tang aqueous extracts (YKBHT) on the propylthiouracil (PTU)-induced rat hypothyroidism. Methods The ra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 intact vehicle control, PTU control, LT4, YKBHT 500, 250 and 125 mg/kg treated groups. Hypothyroidism was induced by daily subcutaneous treatment of PTU 10 mg/kg for 28 days. YKBHT aqueous extracts were administered once a day as an oral dose of 500, 250 and 125 mg/kg for 42 days. The changes were observed : weight of body, thyroid gland, liver, testis, epididymis and prostate, serum thyroid hormone levels, serum male sex hormone levels, serum lipid profiles, liver and testis antioxidant system.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LT4 0.5 mg/kg intraperitoneally treated rats. Results These PTU induced hypothyroidism and related hepatic and male reproductive organ damages were favorably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treatment of YKBHT 500, 250 and 125 mg/kg, and YKBHT also effectively regulated the PTU-induced abnormal antioxidant defense factor changes in the both liver and testis. Although, LT4 also inhibited PTU-induced hypothyroidism and relative liver damages. But it deteriorated the hypothyroidism related testis, epididymis and prostate damages through testicular oxidative damages. Conclusions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YKBHT has favorable effects on the hypothyroidism and related liver and reproductive organ damages with augmentation of antioxidant defense factor in the testis and liver. YKBHT 500, 250 and 125 mg/kg dose-dependently inhibited PTU-induced hypothyroidism and related liver and male reproductive organ damages in rats.

Molecular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Opisthorchis viverrini Calreticulin

  • Chaibangyang, Wanlapa;Geadkaew-Krenc, Amornrat;Vichasri-Grams, Suksiri;Tesana, Smarn;Grams, Rud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6호
    • /
    • pp.643-652
    • /
    • 2017
  • Calreticulin (CALR), a multifunctional protein thoroughly researched in mammals, comprises N-, P-, and C-domain and has roles in calcium homeostasis, chaperoning, clearance of apoptotic cells, cell adhesion, and also angiogenesis. In this study, the spatial and temporal expression patterns of the Opisthorchis viverrini CALR gene were analyzed, and calcium-binding and chaperoning properties of recombinant O. viverrini CALR (OvCALR) investigated. OvCALR mRNA was detected from the newly excysted juvenile to the mature parasite by RT-PCR while specific antibodies showed a wide distribution of the protein. OvCALR was localized in tegumental cell bodies, testes, ovary, eggs, Mehlis' gland, prostate gland, and vitelline cells of the mature parasite. Recombinant OvCALR showed an in vitro suppressive effect on the thermal aggregation of citrate synthase. The recombinant OvCALR C-domain showed a mobility shift in native gel electrophoresis in the presence of calcium. The results imply that OvCALR has comparable function to the mammalian homolog as a calcium-binding molecular chaperone. Inferred from the observed strong immunostaining of the reproductive tissues, OvCALR should be important for reproduction and might be an interesting target to disrupt parasite fecundity. Transacetylase activity of OvCALR as reported for calreticulin of Haemonchus contortus could not be observed.

전립선비대증의 어성초추출물에 의한 경구투여 효과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o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송원영;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05-711
    • /
    • 2019
  • 본 연구는 전립선비대증이 노화 및 남성호르몬 과다분비로 인해 유발된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순화기간을 마친 12주령이 된 수컷 쥐에 testosterone을 30일간 피하주사하여 노화 및 testosterone 분비 증가로 인한 전립선비대증 유발 모델 rat을 제작하였다. 실험군은 총 4군으로 각 군당 10마리씩 정상군(N 군), 음성대조군(DO 군), 어성초 추출물 투여군(HO 군) 및 양성물질 finasteride 투여군(FO 군)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고환절제술을 한 후 testosterone을 투여한 결과 N군에 비해 나머지 세 군, DO, HO 및 FO군 모두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전립선의 부피는 N군에 비해서 DO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HO군과 FO군에서는 D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립선의 무게 또한 HO군 및 FO군에서 D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체중 당 전립선의 비율은 N군에 비해 DO군, HO군 및 FO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DO군에 비해 HO 및 FO군은 각각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중 testosterone 및 DHT의 농도는 N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DO군에서 증가된 혈중 testosterone 및 DHT의 농도는 어성초 추출물 및 finasteride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어성초 추출물의 공급으로 인한 조직병리학적 변화양상을 관찰한 결과 어성초추출물 공급군에서는 DO군에 비해 상피세포, acinar gland, 관상피 세포, 세포핵, 분비선들의 변형 및 위축이 감소하여 정상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finasteride 처리군의 형상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어성초 추출물에 대한 이러한 효과는 향후 분자생물학적으로 기전연구들이 더욱 필요하지만 본 결과로 미루어 어성초 추출물 내 함유된 다양한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들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던 발모 및 여드름 개선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기전을 가지고 있는 전립선비대증 개선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여성후두암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Laryngeal Cancer)

  • 권순영;정광윤;최종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2-136
    • /
    • 1995
  • The laryngeal cancer is a cancer of secondary sex organ, such as malignant tumors of the mammary gland, endometrium, and prost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laryngeal cancers are considered somewhat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male. As cancer of the larynx is principally a disease of men, many investigations hav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le laryngeal cancers. For understand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laryngeal cancers, we analyzed 21 cases of laryngeal cancer in women, diagnosed and treated in our institute during the last 10 years. The results were, 1) In female subjects, supraglottis was most common subsite of laryngeal cancer(85.7%). 2) On histopathologic grade, the moderately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80.9%). 3) The positive neck nodes were 19 %, considered to be lower than that of total laryngeal cancer. 4) The treatment results, the 2 year disease free rate and 5 year survival rate were 88.9%, 83.3%,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erefore, female laryngeal cancers are more likely to be supraglottic cancer than glottic cancer. In spite of high incidence of supraglottic cancer, the nodal metastases are rare, the prognosis appeared to be good.

  • PDF

Antispermatogenic and antiandrogenic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of Melia azedarach Linn. seeds in albino rats

  • Patil, Sharanabasappa A.;Malashetty, Vijaykumar B.;Patil, Saraswati B.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3호
    • /
    • pp.133-140
    • /
    • 2003
  • Petroleum ether, chloroform and ethanol extracts of the seeds of Melia azedarach Linn. administered orally to male rats at the dose level of 25 mg/100 g body weight for 48 days showed antispermatogenic activity, as the number of spermatocytes, spermatids and spermatozoa was decreased. The total cholesterol content was increased while protein and glycogen contents were decreased. The acid phosphatase content was also decreased while that of alkaline phosphatase increased. At the same time the weight of caput and cauda epididymis, prostate gland, seminal vesicle and Levator Ani muscle was decreased indicating its antiandrogenic property. Of the three extracts, the petroleum ether extract was more potent in its antispermatogenic and antiandrogenic activities and did not produce any sings of toxicity upto a dose of 25 mg/100 g body weight oral administration. After subjecting it to preliminary phytochemical screening the petroleum ether extract showed positive tests for steroids and saponins.

마우스 천식모델에서 복분자 물추출물의 기도 과민반응 및 염증의 억제 효과 (Attenuation of airway hyperreactivity (AHR) and inflammation by water extract of Rubus coreanus $M_{IQ.}$ (WRCM))

  • 김경준;이호섭;조은희;박민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1호통권32호
    • /
    • pp.177-194
    • /
    • 2007
  • Fructus of Rubus coreanus $M_{IQ.}$. (FRCM) has been used for stuttering urination, prostate gland disease, and impotence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Water extract of FRCM (WFRCM) treatment significantly attenuated airway hyperreactivity (AHR). Airway recruitment of leukocytes and eosinophils was also markedly reduced by WFRCM administration, suggesting that WFRCM can alleviate the airway inflammation. However, the level of cytokine (IL-4, IL-5, and IL-13)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d lung was not different compared with positive control. WFRCM reduced the number of draining lymph node cells during OVA-induced allergic asthma. I further examined transcription level of cytokine in lung. WFRCM treatment reduced IL-4 and IL-13 mRNA in lung and inhibited IgE and IgG1 but not IgG2a. My data suggest that WFRCM attenuates OVA-induced allergic asthma through inhibition of Th2 cell response.

  • PDF

견종양(犬腫瘍)의 병리학적(病理學的) 검색(檢索) (Pathological Study of Tumors Occurring in Dog)

  • 임창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8
    • /
    • 1975
  • 개에 자연발생(自然發生)한 다음과 같은 종양(腫瘍)을 수집(蒐集)하여, 그 육안적(肉眼的) 및 조직학적(組織學的) 소견(所見)을 검토(檢討)하고, 이에 관(關)한 간단한 고찰(考察)을 가(加)했다. 피부(皮膚) 및 피하직(皮下織)의 종양(腫瘍) : 섬유종(纖維腫), 지방종(脂肪腫), 표피성(表皮性) 낭종(囊腫), 흑색육종(黑色肉腫), 한선종(汗腺腫), 비만세포종(肥滿細胞腫)(2예(例)), 비만세포육종(肥滿細胞肉腫), 피지선암종(皮脂腺癌腫). 비장(脾臟) 및 임파절(淋巴節)의 종양(腫瘍) : 비피막(脾被膜)의 섬유육종(纖維肉腫), 비(脾)의 평활근육종(平滑筋肉腫), 임파절(淋巴節)의 임파육종(淋巴肉腫)(2예(例)). 폐장(肺臟)의 종양(腫瘍) : 기관지성암종(氣管枝性癌腫)(3예(例)), 각각(各各) 선암종형(腺癌腫型), 편평세포암종형(扁平細胞癌腫型) 및 미분화세포(未分化細胞)(원형(圓形))암종형(癌腫型). 소화관(消化管) 및 간장(肝臟)의 종양(腫瘍) : 위(胃)의 섬유종(纖維腫), 간(肝)의 혈관종(血管腫), 담관암종(膽管癌腫), 간세포암종(肝細胞癌腫), 간(肝)에 출현(出現)한 골수성백혈세포세포(骨髓性白血細胞細胞). 복막(腹膜)의 종양(腫瘍) : 섬유육종(纖維肉腫). 비뇨생식계(泌尿生殖系)의 종양(腫瘍) : 자궁(子宮)의 섬유종(纖維腫), 난소(卵巢)의 난포낭종(卵胞囊腫), 질(膣)의 전염성(傳染性) 성기종(性器腫)(6예(例)), 신암종(腎癌腫), 섭호선종(攝護腺腫)(2예(例)), 포피(包皮)의 섬유종(纖維腫), 고환(睾丸)의 정충종(精蟲腫). 유선(乳腺)의 종양(腫瘍) : 혼합종(混合腫)(2예(例)), 근상피종(筋上皮腫). 신경계(神經系)의 종양(腫瘍) : 대퇴부(大腿部)의 신경섬유육종(神經纖維肉腫).

  • PDF

내분비장애물질로서 Metribuzin의 랫드와 HeLaTRE Cell 중 갑상선 호르몬활성 영향 (Thyroid Hormone-like Activity of Metribuzin as a Endocrine Disruptor in Rats and HeLaTRE Cell Culture)

  • 유아선;정미혜;이제봉;박연기;신진섭;박경훈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42-350
    • /
    • 2008
  • 최근 내분비장애 추정물질의 분류를 위해 많은 시험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미국 EPA와 OECD에서는 시험법을 설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추후 기등록농약에 대한 자료요구 또는 신규 등록농약 적용 등록기준의 추가 등을 고려하여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 관련 OECD와 EPA에서 권장하는 시험법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약제를 30일간 경구 투여하여 조사한 결과, metribuzin 투여 수컷에서 부고환, 전립선, 정낭의 중량이 증가하였고 갑상선에서는 유의한 중량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암컷에서는 갑상선의 중량 감소가 나타난 반면에 생식장기 중량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Metribuzin 투여수컷에서 testosterone이 100 mg/kg/day 처리수준에서 감소하였고 FT4가 50, 100 mg/kg 수준에서 증가하였다. 암컷에서는 T3가 50, 100 mg/kg/day 수준에서 증가하여 갑상선 호르몬에 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시험세포를 이용한 시험결과, 시험약제를 1 nM에서 1,000 nM까지 처리하였을 때 음성대조군과 비교할 때 metribuzin은 106-122%의 영향을 나타내어 세포이용시험에서는 metribuzin이 갑상선 호르몬성 영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항갑상선 호르몬성 영향 시험에서는 시험약제 100 nM과 T4의 혼합 처리시 metribuzin은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여 항갑상선 호르몬성 영향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을 통하여 OECD TG 407과 EDSTAC에서 권고하는 pubertal assay와 수의과학 검역원에서 제조한 HeLaTRE cell을 이용한 in vitro 시험이 갑상선 호르몬성 영향 검색 시험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컷 쥐 전립선과 심장에 대한 단풍마 추출물의 방사선 방호효과 연구 (The Radioprotection Effect of Dioscorea Quinqueloba Extracts on the Prostate and Heart in Male Rats)

  • 최제경;김창주;정근우;정상현;주성현;민병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79-786
    • /
    • 2022
  • 본 연구는 천연 방사선 방호제로 단풍마 추출물이 수컷 쥐의 전립선과 심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단풍마는 남성 질환과 심장질환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10 Gy를 수컷 흰 쥐(Sprague Dawley Rat)의 전신에 조사하여 단풍마 추출물의 방사선 방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사 후, 1일, 7일, 21일 차의 혈액학적 변화, 7일 차의 항산화 효소(SOD) 활성도 및 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96 마리의 수컷 SD Rat을 대조군(NC Group), 단풍마 추출물 투여군(DQ Group), 방사선 조사군(IR Group), 단풍마 추출물 투여 후 방사선 조사군(DQ+IR Group)의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DQ+IR Group은 IR Group보다 더 높은 림프구, 혈소판 수치를 보였다. SOD 활성도도 DQ+IR Group은 IR Group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NC Group과 DQ Group에서는 전립선 낭 내의 세포 수가 양호하고 전립선 낭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았다. 그러나 IR Group에서는 사멸한 세포 수가 많이 증가하고 간격이 넓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DQ+IR Group은 IR Group과 유사하게 전립선 낭 간의 간격이 증가했지만 사멸한 세포 수가 많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NC Group과 DQ Group은 심혈관과 심근이 뚜렷하게 분리되어 있고 세포의 상태가 양호하다. 그러나 IR Group에서는 사멸한 세포의 수가 많았고 심혈관과 심근 경계의 파괴를 확인할 수 있었다. DQ+IR Group은 IR Group과 유사하게 사멸한 세포의 수가 많았고 심혈관과 심근의 경계가 넓어졌지만 파괴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단풍마 추출물은 전립선 및 심혈관에 대한 방사선 방호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CT 영상 및 kV X선 영상을 이용한 자동 표지 맞춤 알고리듬 개발 (Development of an Automatic Seed Marker Registration Algorithm Using CT and kV X-ray Images)

  • 정광호;조병철;강세권;김경주;배훈식;서태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54-61
    • /
    • 2007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립선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표적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위해 표지(marker)를 삽입한 경우 방사선치료계획 시 촬영한 CT 영상과 매 치료 시 온보드 영상장치(on-board imager, OBI)로부터 획득된 직교 kV X선 영상을 이용하여 표지의 위치를 계산하고 자동으로 맞춤을 수행하여 환자 셋업 오차를 보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세 개의 금 표지를 환자 전립선의 기준 위치에 삽입한 후 CT 모의치료기를 이용하여 2 mm 슬라이스 간격으로 CT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매 치료 전에 환자 셋업 보정을 위하여 OBI를 이용하여 직교하는 kV X선 환자 영상을 획득하였다. CT 및 kV X선 영상 내 표지 정보 및 좌표 값 추출을 위하여 화소값의 문턱값 처리, 필터링, 외곽선 추출, 패턴 인식 등 다수의 영상처리 알고리듬을 적용하였다. 각 표지들 위치의 대표값으로 삼각형의 무게중심 개념을 이용하였으며 기준 CT 영상 및 직교 kV X선 영상으로부터 각각 무게중심의 좌표를 구한 후 그 차이를 보정해야 할 셋업의 오차로 계산하였다. 알고리듬의 건전성(robustness) 평가를 위해 팬텀을 이용하여 계산된 CT 및 kV X선 영상의 무게중심이 실제 지정된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본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네 명의 전립선암 환자에 대상으로 치료 직전 촬영한 38 내지 39쌍의 kV X선 영상에 대하여 알고리듬을 적용한 후 OB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2차원-2차원 맞춤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팬텀 실험 결과 실제 값과 CT 영상 및 직교 kV X선 영상으로부터 계산된 무게 중심 좌표 값이 1 mm 오차 내에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 영상에 적용한 경우에도 모든 영상에 대하여 성공적으로 각 표지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2차원-2차원 맞춤 기능을 이용하여 계산된 셋업 오차와 비교해본 결과 1 mm 범위 내에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셋업 오차는 전후(AP) 방향으로 환자별로 작게는 $0.1{\pm}2.7\;mm$에서 크게는 $1.8{\pm}6.6\;mm$까지, 상하(SI) 방향으로 $0.8{\pm}1.6\;mm$에서 $2.0{\pm}2.7\;mm$, 좌우(Lat) 방향으로 $-0.9{\pm}1.5\;mm$에서 $2.8{\pm}3.0\;mm$까지였으며 환자에 따라 그 편차의 차이가 있었다. 결 론: 제안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1회 셋업 오차를 평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10초 미만으로서 임상 적용 시 환자 셋업 시간을 줄이고 주관성을 배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온라인 환자 셋업 보정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형가속기의 제어 시스템에 통합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