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apogeni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초

초단파 및 식초 처리에 의한 삼칠삼 추출물의 인삼 사포닌 성분 변화 (The Change of Ginsenoside Composition in Notoginseng Root(Panax notoginseng) Extract by the Microwave and Vinegar Process)

  • 조희경;조순현;고성권
    • 생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20-32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preparation process of Notoginseng root(Panax notoginseng) extracts having high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Rg_3$, $Rg_5$, $Rk_1$ and $Rh_4$, a special component of Red and Black ginseng(Panax ginseng). Chemical transformation from ginseng saponin to prosapogenin was analyzed by the HPLC. Extracts of Notoginseng root was processed under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including microwave and vinegar(about 14% acidity) treatments. Results of those treatments showed that the quantity of ginsenoside $Rg_3$ increased by over 7.6% at 15 minutes of pH 2~4 vinegar and microwave treatments. The results of processing with MPN-15 indicate that the microwave and vinegar(about 14% acidity) processed Notoginseng root extracts that had gone through 15-minute treatments were found to contain the largest amount of ginsenoside $Rg_3$(7.639%), $Rg_5$(6.061%), $Rk_1$(1.516%) and $Rh_4$(1.599). It is thought that such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preparing Notoginseng root extracts with functionality enhanced.

Changes of Prosapogenin Components in Tienchi Seng (Panax notoginseng) by Ultrasonic Thermal Fusion Process

  • Lee, Jae Bum;Yang, Byung Wook;Kim, Do Hyeong;Jin, Dezhong;Ko, Sung K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10-1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method of producing tienchi seng (notoginseng, Panax notoginseng) extracts featuring high concentrations of the ginsenoside Rg3, Rg5, and Rg6, special components of Korean red ginseng. The chemical transformation from ginseng saponin glycosides to prosapogenin was analyzed by HPLC. Tienchi seng was heat-processed at 100℃ and the optimum conditions were identifi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total saponin (29.723%) and the ginsenoside Rg3 (1.769%), Rg5 (5.979%), and Rg6 (13.473%) were produced at 48 hours. Also, when tienchi seng was subjected to the ultrasonic thermal fusion (100℃) proces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saponin (30.578%), ginsenoside Rg3 (2.392%), Rg5 (6.614%), and Rg6 (13.017%) were highest at 36 hours. On the other hand, the 2-hour heat-processed extract and 2-hour ultrasonic thermal fusion-processed extract did not contain ginsenoside Rg3, Rg5, and Rg6. The ultrasonic thermal fusion process had an extraction yield that was approximately 1.26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heat proc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ly functional tienchi seng extracts created through the ultrasonic thermal fusion process are more industrially useful than those produced using the heat process.

추출 및 분획조건에 따른 인삼 조사포닌 중 ginsenoside 조성 차이 (The Difference of Ginsenosid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Crude Ginseng Saponins)

  • 신지영;최언호;위재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2-287
    • /
    • 2001
  • 인삼 조사포닌을 기존의 고온 MeOH 추출/n-BuOH 분획법 및 고온 MeOH 추출/Diaion HP-20 흡착/MeOH 용출법과 새로이 시도된 고온 MeOH 추출/cation AG 50W흡착/$H_2O$ 용출/n-BuOH 추출법(AG 50W법), 상온 MeOH 추출/Diaion HP-20 흡착/MeOH 용출법(상온추출법)과 EtOAc/n-BuOH 직접 추출법으로 분리한 다음 기존의 HPLC/RI 방법으로 ginsenoside조성을 비교한 결과 EtOAc/n-BuOH 직접 추출법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리능과 감도가 우수한 HPLC/ELSD방법을 사용한 결과, ginsenoside $Rb_2$, Rf, $Rg_1$$Rh_1$ 등을 뚜렷이 식별할 수 있었고 추출 및 분획방법에 따라 조사포닌간 ginsenoside의 현저한 조성차이를 볼 수 있었다. 특히 AG 50W법에 의해 분리된 조사포닌에서 뚜렷한 prosapogenin 피크를 볼 수 있었으며 LC/MS의 결과, ginsenoside $Rb_1$, $Rb_2$ 등의 7종의 주종 사포닌 이외에도 5종의 prosapogenin과 1종의 chikusetsusaponin을 포함한 총 13종의 ginsenoside를 동정하였다. 새로이 정립한 HPLC 분석조건, 즉 $NH_2$ 대신에 $C_{18}$ column을 사용하고 $KH_2PO_4/CH_3CN$ gradient로 상온추출법으로 분리한 조사포닌을 분석한 결과, malonyl ginsenoside 피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흑삼의 프로사포게닌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쥐에 대한 항당뇨 효과 및 신장보호 효과 (The Anti-Diabetic Effects and Nephroprotective Effect of Black Ginseng Prosapogenin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Mice)

  • 공룡;손미례;서윤수;강옥화;주전;김도연;최성훈;권동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120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hypoglycemic and kidney protective effect of black ginse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Methods and Results: Diabetes was induced by treating mice with streptozotocin (STZ) for four weeks. In vivo studi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effect of the black ginseng prosapogenin (GBG05-FF) extract. The body weight and blood glucose level were measured. Moreover, after the mice were sacrificed, the kidneys were isolated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levels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black ginseng increased body weight. Compared to blood glucose levels in STZ mice, blood glucose levels were reduced by 48% in STZ mice supplemented with 300 mg/kg of black ginseng, and by 69% in STZ mice supplemented with 900 mg/kg. Furthermor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STZ mouse kidneys revealed, changes in the kidneys, epithelial cell damage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glomerulus hypertrophy. However, a significant reduction of glomerular water droplets (indicative of glomerulus hypertrophy) was observed in the kidneys of STZ mice supplemented with black ginseng extrac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ack prosapogenin (GBG05-FF) ginseng extract has a significant hypoglycemic effect and can be used as an anti-diabetic substance and renal protective agents as part of dietary supplements or novel drugs.

A Novel Prosapogenin from the Methanolyzate of Melandrium Crude Saponins

  • Woo, Eun-Hee;Woo, Won-Sick
    • 생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1-214
    • /
    • 1991
  • Two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yzate of the butanol-soluble fraction obtained from the whole plants of Melandrium firmum (Caryophyllaceae) and identified as $3-{\beta}-D-glucuronopyranosylmelandrigenin$ methyl ester and $2{\beta},\;21{\beta}-dihydroxy-16,\;23-dioxo-28-norolean-13(18)-ene$.

  • PDF

서양삼 추출물의 초단파 및 식초 처리에 의한 인삼 사포닌 성분 변화 (The Change of Ginsenoside Composition in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Extract by the Microwave and Vinegar Process)

  • 조희경;곽현희;임병옥;조순현;고성권
    • 생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07-1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preparation process of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extract featuring high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Rg_3$, $Rg_5$, and $Rk_1$, Red ginseng special components. Chemical transformation from ginseng saponin glycosides to prosapogenin was analyzed by the HPLC. Extracts of American ginseng were processed under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of microwave and vinegar (about 14% acid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ntity of ginsenoside $Rg_3$ increased by over 0.9% at the 20 minutes of the pH 2~4 vinegar and microwave American ginseng ethanol extract compared with other process times. The result of MAG-20 indicates that the American ginseng microwave and vinegar-processed American ginseng extracts (about 14% acidity) treated for 20 minutes produced the highest amount of ginsenoside $Rg_3$ (0.969%), $Rg_5$ (1.071%), and $Rk_1$ (0.247%). Besides, MAG-15 indicates that the microwave - and vinegar-processed American ginseng extracts (about 14% acidity) treated for 15 minutes produced the highest amount of ginsenoside $Rg_3$ (0.772%), $Rg_5$ (1.330%), and $Rk_1$ (0.386%). This indicates that American ginseng treated with microwave and vinegar had the quantity of the ginsenoside $Rg_3$ over 32 times the amount of the ginsenoside $Rg_3$ (which was not found in raw and American ginsengs) in the average commercial Red ginseng.

Aeration 공정 처리가 홍삼분말 추출물의 프로사포게닌의 함량 변화와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ation process on changes of prosapogen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ed ginseng powder extract)

  • 류희정;정철종;서정균;이선;유영은;백경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76-58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 추출액의 유효성분 함량을 확인하고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Aeration 처리 유무에 따른 추출액의 색상 변화에서는 aeration 공정처리를 하지 않은 추출액과 aeration 공정처리 한 추출액 모두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L값과 b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eration 공정 처리 36시간 추출액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가장 낮은 결과를 얻었다. a값은 non-aeration 처리에서는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나 aeration 처리할 경우에는 적색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aeration 공정 처리를 할 경우에는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명도, 황색도, 적색도 모두가 감소되면서 갈색도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non-aeration 홍삼추출액은 추출시간에 따라 0.62, 0.67, 0.72, 0.79 mg GAE/mL로 나타났으며 aeration 공정을 거친 추출액은 0.62, 0.70, 0.84, 0.96 mg GAE/mL로 추출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aeration 공정을 거친 24, 36시간 추출액에서 21.77, 21.93 mg GAE/mL의 최고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non-aeration 홍삼 추출액은 80.50-82.00% 범위에서 확인되었으며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 추출액의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 시간에 따라 82.10, 81.90, 87.30, 87.10%로 나타났다. 이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aeration 공정을 거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24, 36시간에서 non-aeration 추출액이 96.80, 77.60%로 라디칼 소거활성이 떨어졌으나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 추출액은 70.86, 98.60%로 추출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 12, 24, 36시간 동안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 추출액은 65.40, 65.03, 65.61, 63.26%의 hydrogen peroxidase 소거율을 보였고, 또한 0.87, 0.99, 1.04, 0.99로 환원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DPPH, ABTS의 경향과 유사하게 aeration 공정을 거침으로서 non-aeration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Aeration 공정을 처리한 홍삼추출액으로부터 얻어진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non-aeration과 비교 했을 때 Rg3에서 현저히 차이가 나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Rg3의 함량이 aeration 공정을 처리한 홍삼추출액에서 166.55, 219.71, 526.67, 581.13 ㎍/mL로 non-aeration 보다 많은 양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추출액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향후 특정유효성분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정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저온에서 추출시간에 따른 홍삼 부위별 ginsenoside 함량 비교 (Difference of Ginsenoside Yields in Red Ginseng Parts According to Extraction Time at Low Temperature)

  • 한진수;강선주;남기열;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99-305
    • /
    • 2010
  • 본 연구는 홍삼의 가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추출 시간에 따른 홍삼 부위별 ginsenoside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동체, 지근 및 세근의 총 ginsenoside 최고 함량은 동제 21시간, 지근 18시간, 세근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23.04, 65.68 295.92 mg/100 ml이었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ginsenoside의 총량은 감소하였다. Ginsenoside $Rg_1$$Rb_1$의 최고 함량은 동제 21시간, 지근 15시간, 세근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5.76, 28.39, 117.83 mg/100 ml 이었고, $Rb_2$와 Re의 함량은 동체 21시간, 지근 18시간, 세근 9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5.76, 28.39, 117.83 mg/100 ml이었다. 홍삼으로부터의 총 ginsenoside의 추출비율은 동체 21.3%, 지근 21.1%, 세근 67.1%이었다.

홍삼 농축액과 쌀막걸리의 동시 발효를 통한 홍삼 식초의 제조 및 품질평가 (Manufacture of the Red Ginseng Vinegar Fermented with Red Ginseng Concentrate and Rice Wine, and its Quality Evaluation)

  • 김동국;백무열;김혜경;함영태;김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9-184
    • /
    • 2012
  • 홍삼 특유의 prosapogenin 성분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홍삼의 증숙, 건조 및 추출 공정을 최적화하여 식초에 첨가할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농축액을 0-1%의 범위로 첨가한 홍삼 발효 쌀 식초의 경우 정치 배양 20일차에 초산발효가 종료 되었으며 홍삼 농축액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pH 감소속도가 늦고 감소량 또한 control에 비해 적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산도의 경우 농축액 농도 별 초산 생성 속도에는 차이는 있으나 농축액 함유량이 산도 변화 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의 홍삼 농축액을 후 첨가한 식초의 경우 71.75 mg/g의 조사포닌 함량을 가진 반면에 0-1% 범위의 농축액을 주모에 첨가하여 초산 발효를 동시에 진행한 경우 발효 진행 중 상당한 조사포닌 손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두 식초를 가지고 관능검사를 진행한 결과 향기, 맛 및 전체적인 평가에서 농축액과 초산발효를 동시에 진행시킨 홍삼발효식초가 더 좋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