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ionic acid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9초

Eu(Ⅲ) 발광 분광법을 이용한 Eu(Ⅲ)과 다가 유기산 착물 연구 (Investigation of Eu(Ⅲ)-Polyfunctional Organic Acid Complexes by Eu(Ⅲ) Luminescence Spectroscopy)

  • 이병호;신현상;문희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64
    • /
    • 1996
  • Eu(III)과 말단에 중성의 O, N 및 S 주게를 포함한 다가 단일 카르복실산 (glycolic acid, glycine 그리고 thioglycolic acid) 및 단일 카르복실산(propionic acid)과의 착화합물을 Eu(III)의 $^7F_0{\rarw}^5D_0$ 전이를 이용한 여기 스펙트럼으로 관찰하였다. 단일 카르복실산인 propionate결합된 Eu(III) 착화합물의 여기 스펙트럼에서 금속 대 리간느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EuL^{2+},\;EuL_2^+$ 그리고 $Eu:_3$(L: 카르복실기)의 착화합종에 해당하는 최대 피크가 각각 579.0, 579.2 그리고 579.5 nm 에서 나타났다. Eu(III)과 다가 단일 카르복실산 착물도 금속 대 리간드 농도를 증가시킬때, Eu(III)-propionate와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Eu(III)착화합물의 발광 붕괴 상수로부터 얻어진 q값(Eu(III)에 배위된 물분자의 수)도 Eu(III)-glycolate가 7.0, Eu(III)-thioglycolate가 7.1로 Eu(III)-propionate의 7.3과 유사하게 약 2개의 물분자가 하나의 카르복실기에 의해 치환된 값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다가 단일 카르복실산들은 propionic acid와 유사한 경향으로 Eu(III)과 착물을 형성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EFFECT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ADDITION OF MOLASSES ON THE QUALITY OF NAPIER GRASS (PENNISETUM PURPUREUM SCHUM.) SILAGE

  • Yokota, H.;Okajima, T.;Ohshim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377-382
    • /
    • 1991
  • The effect of molasses addition and hot temperature on the ensiling characteristics of napier grass (Pennisetum purpureum Schum.) were studied. Napier grass was harvested five times at intervals from 22 to 39 days and each harvest was divided into two equal portions. The half portion was ensiled directly and the other half was ensiled after mixing with molasses into polyethylene bag silos of 15 kg capacity. Molasses was added at the rate of 4% of fresh weight of the grass. One half of the each treatment was conserved at a room of $40^{\circ}C$ for a month and then moved to an ambient temperature room. The other half was kept at ambient temperature for the whole experimental duration. The silages were opened 3 to 7 months after ensiling. Addition of molasses enhanced lactic acid fermentation by increasing lactic acid content and reducing pH value, ammonia nitrogen and acetic, propionic and butyric acid contents of the silages in both temperature treatments. Enhanced temperature increased pH value and decreased acetic, propionic and butyric acids.

재료의 종류에 따른 김치의 유기산 및 휘발성 향미 성분의 변화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 유재연;이혜성;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9-174
    • /
    • 1984
  •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부재료를 한가지씩 첨가한 각 시료들을 $12{\sim}16^{\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유기산, 이산화탄소, alcohol 및 카보닐 화합물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lactic succinic, fumaric, malic acid가 분리되었고, 휘발성 유기산은 acetic, formic, propionic, butyric, valeric n-heptanoic acid 등이 분리되었으며, 카보닐 화합물은 acetaldehyde와 acetone이 분리되었다. Lactic acid는 숙성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했고, 고춧가루, 마늘, 파가 첨가된 김치에 많았다. Acetic acid도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마늘이 첨가된 김치에서 두드러졌다.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마늘이 첨가된 김치에 많았으며, alcohol류는 전 시료에서 ethanol 만이 확인되었다. Acetaldehyde와 acetone은 김치의 off-flavor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치즈의 보존료 및 일반성분 함량 조사 (The survey on contents of preservative and general composition in cheese)

  • 한혜진;김연주;이경혜;윤민;김영섭;이주형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1-19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ntents of preservatives and general composition on four different types of cheese to provide useful data and information to the consumer. We analyzed preservatives (sorbic acid, benzoic acid, dehydroacetic acid, methyl p-hydroxy benzoate, ethyl p-hydroxy benzoate, propionic acid) and general composition (moisture, protein, fat) from total 102 cheeses which are 46 sliced cheeses, 22 string cheeses, 20 cream cheeses and 14 pizza cheeses. Preservatives were detected from total 14 samples, which are suitable for the authorized limits in Korea. Sorbic acid was detected from 13 samples (197.3~1,736.1 mg/kg) and propionic acid was detected from 1 sample (362.7 mg/kg). Considering from each type of cheese, cream cheese showed the high detection rate (60%); 12 samples of cream cheese contained sorbic acid. The moisture, protein and fat contents of cheeses were in the ranges of 44.3~56.8%, 7.2~24.6% and 19.6~26.8%. Cream cheese had the highest level of moisture (56.8%) and fat (26.8%), but protein level is very low (7.2%).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 접착제의 합성 및 물성 연구 (Synthesis and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 Acrylate Adhesive)

  • 이승환;천정미;정부영;김한도;천제환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4호
    • /
    • pp.156-1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접착력 및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olyester polyol,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_{12}MDI$),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 acrylate monomer를 사용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또한 합성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물성은 FT-IR, 입도분석, UTM, 접착력 등을 평가하였다. 입도 분석에서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기계적 물성을 평가한 결과,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고 신율은 감소하였다. 접착강도는 PU/acryl 비율 중 acryl의 함량이 증가,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아크릴산의 함량이 0.5 wt%일 때 가장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복합 전처리를 통한 하수슬러지의 가용화 및 생물학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olubilization and Bioavailability of Sewage Sludge Using the Complex Pre-treatment)

  • 강정현;이희수;이태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3호
    • /
    • pp.35-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를 전처리 과정을 통해 가용화한 후 혐기성 생물학적 분해를 실시하였다. 산 또는 알칼리 조건과 초음파처리를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전처리 후 슬러지의 가용화율을 비교하였으며 알칼리 조건에서 초음파처리를 병행하였을 때 최대 가용화율을 얻을 수 있었다. 가용화된 슬러지의 생물학적 유용성은 복합전처리를 실시한 경우 빠른 생물학적 분해와 더불어 총 가스 발생량은 1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가용화된 슬러지에서 바이오가스 생산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전처리를 실시한 슬러지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분해를 실시하였을 때 약 50%정도 높은 수소생성율의 지표가 되는 B/A비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수소생성에 저해가 되는 lactic acid와 propionic acid가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장(貯藏)간장의 생화학적(生化學的) 연구(硏究) (The Biochemical Studies on Stored Soy-sauce)

  • 장지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9-27
    • /
    • 1968
  • 12년(年) 묵은 개량식(改良式) 간장과, 20년(年) 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 및 7년(年)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대(對)하여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을 분석(分析)하고 microflora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간장 맛에 영향을 주는 일반성분(一般成分)의 분석결과(分析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a) 오래 묵은 간장일수록 재래식(在來式) 및 개량식(改良式) 간장을 불문(不問)하고 맛을 좌우(左右)하는 성분(成分)인 유기산(有機酸), 유리환원당(遊離還元糖) 및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다. b) 유기산(有機酸)에 있어서 오래 묵은 간장일수록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은 증가(增加)하고 휘발성(揮發性) 유기산(有機酸)은 감소(減少)하며, 총산(總酸)은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에 의(依)하여 지배(支配)되어 있음을 알았다. c) 식염농도(食鹽濃度)는 오래 묵은 간장일수록 감소(減少)되었다. 2. 저장(貯藏)간장중(中)의 microflora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a) 일반세균(一般細菌)은 묵은 간장중(中)에서 pH의 강하(降下) 및 식염농도(食鹽濃度)의 영향(影響)으로 생존(生存) 불능(不能) 상태(狀態)였다. b) 내염성(耐鹽性) 유산균(乳酸菌)은 저장(貯藏)함에 따라 식염농도(食鹽濃度)는 강하(降下)하기는 하나 pH의 강하(降下)로 거의 생존(生存)이 불능상태(不能(狀態)였다. c) 내염성효모(耐鹽性酵母)는 묵힐수록 어느 시기 이후는 식염농도(食鹽濃度)의 강하(降下) 및 pH 직강하(直降下)로 생존(生存)됨을 알았다. 3. Paper chromatography 및 colorimetry에 의(依)하여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a)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있어서 7년(年)묵은 간장에 대하여 20년(年) 묵은 간장중에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valine, leucine, lysine, histidine, methionine이 증가(增加)하였고, alanine, tyrosine phenylalanine, cystine이 감소(減少)하였다. b) 개량식(改良式) 간장에 있어서는 colorimetry로 정량(定量)된 산(酸)의 양적(量的)인 변화(變化)는 햇간장에 대하여 12년(年)된 간장중의 methionine, tyrosine, histidine는 감소(減少)하고, phenylalanine는 증가(增加)하며 cystine는 별차(別差) 없었다. 4.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유리당류(遊離糖類)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a) 12년(年)묵은 개량식(改良式) 간장중(中)에서 galactose, glucose, arabinose, xylose, rhamnose, maltose, unknown 1를 검출(檢出)하였고, 정량(定量)한 당류(糖類)의 함량(含量)은 maltose와 미지당(未知糖)을 제외(除外)하고 이상(以上)의 순위(順位)와 같았다. b) 20년(年), 7년(年) 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에서 galactose, arabinose, xylose, glucose, rhamnose를 다같이 분리(分離)하였으며 그들의 함량(含量)은 이상(以上)의 순위(順位)와 같았다. c) 7년(年) 및 20년(年) 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중(中)에서 햇간장중(中)에 별로 없든 glucose가 생성(生成)되었다. 5. Paper chromatograhpy에 의하여 유기산(有機酸)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a) Volatile acid i) 7년(年) 묵은 재래식(在來式) 간장중(中)에서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를 분리(分離)하였으며, acetic acid가 제일 많았다. ii) 20년(年)된 재래식(在來式) 간장과, 12년(年)된 개량식(改良式) 간장중(中)에는 acetic acid가 주로 많았고, propionic acid, butyric acid는 흔적 정도(程度)로 분리(分離)되었다. iii) 간장은 오래 묵힐수록 고린냄새의 한성분(成分)인 propionic acid, butyric acid가 격감(激減)함을 알았다. b) Non-volatile acid i)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있어서는 묵힘에 따라 생성(生成)된 것은 citric acid이고, 증가(增加)된 것은 lactic, malic, tartaric acid이고 감소(減少)된 것은 succinic, glycolic, fumaric, malonic acid이며 소실(消失)된 것은 glutaric, oxalic acid이다. ii) 개량식(改良式) 간장에 있어서는 묵을수록 생성(生成)된 것은 citric acid이고, 증가(增加)된 것이 latic, tartaric acid이며, succinic, malic, glycolic acid는 감소(減少)하였고 malonic, glutaric acid는 소실(消失)되었다. iii) 묵은 간장중(中)의 citric acid의 생성(生成)은 간장 맛을 좋게하는 인자(因子)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c) ${\alpha}-Keto$ acid i) 모든 묵은 간장중(中)에서 pyruvic, ${\alpha}-ketoglutaric$, acetoacetic(추정(推定)), oxaloacetic(추정(推定)) acid를 분리(分離)하였으며 양적(量的)인 순위(順位)는 pyruv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이고, 기타는 흔적 정도(程度)였다. ii) 모든 ${\alpha}-Keto$ acid는 간장이 묵을수록 격감(激減)함을 알았다.

  • PDF

2008년과 2010년 지정 VOC 계열 신규악취성분들에 대한 분포특성 조사: 도심 하수환경 중 빗물받이에 대한 연구 (Measurements of Volatile Organics, Newly Designated Offensive Odorants in Korea in 2008 and 2010: a Case Study on Gutter System)

  • 안지원;홍원필;이은희;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5-317
    • /
    • 2010
  • In this research, a total of 11 newly designated offensive odorants in Korea in 2008 and 2010 (styrene (S), toluene (T), p-xylene (p-X), methyl ethyl ketone (MEK), methyl isobutyl ketone (MIBK), butyl acetate (BuAc), isobutyl alcohol (i-BuAl), propionic acid (PA), butyric acid (BA), isovaleric acid (IA), and valeric acid (VA)) were selected as target compounds and analyzed from two types of gutter system in the urban environment.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these compounds as offensive odorants, the results are meaningful enough to explore their behavior and distribution in the urban environmental systems. In the course of this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three times a day from two different gutter systems representing the wet (W) and dry (D) conditions. A large fra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data fell into method detection limit (MDL) range with exceptions of toluene, p-xylene, and methyl ethyl ketone. In contrast, the results of organic fatty acids were distinguished by the relative dominance of butyric acid and propionic acid over others. If the concentration data of all odorants were converted into odor intensity (OI), the results of aromatics, ketones, acetate, and alcohol groups approached zero level. However, odor intensity of organic fatty acids was noticeably higher with the value of 2.8 (on average) from both W and D system, suggesting their potent roles as odorants in gutter system.

NUTRITIVE VALUE OF SILAGES PREPARED FROM FIBER AND LIQUID RESIDUES AFTER THE SEPARATION OF LEAF NUTRIENT CONCENTRATE FROM ITALIAN RYEGRASS IN GOATS

  • Reddy, G.U.;Oshima, M.;Nishino,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249-256
    • /
    • 1992
  •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was fractionated into leaf nutrient concentrate, fiber and deproteinised juice (DPJ). The fresh and fermented DPJs were concentrated and referred to as fresh deproteinised juice concentrate (FDPJC) and fermented deprotenised juice concentrate (FMTD DPJC). The FDPJC and FMTD DPJC were separately mixed with dried fiber and ensiled. Wilted crop silage and fresh fiber silage were also prepared from the same material crop. The nutritive value of these four silages were compared using four goats by $4{\times}4$ Latin square design. Green crop fractionation resulted lesser amount of crude protein and ash, and higher amount of neurt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cellulose and hemicellulose in fresh fiber. The pH of fresh fiber silage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silages. Addition of FDPJC or FMTD DPJC to the dried fiber at ensiling did not improve the silage qualities; but all the silages were satisfactorily preserved. Goats fed these silages showed similar ruminal pH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But addition of FMTD DPJC was effective on increasing ruminal acetic acid concentration reducing propionic acid concentration. Ruminal n- and iso- butyric acid concentrations were proportional to that of propionic acid. High ammonia content of the silage containing FMTD DPJC was reflected to the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 urinary nitrogen excretion and serum urea level of goats. Inclusion of FDPJC or FMTD DPJC added 15 to 25% dry matter to the fiber silages with a little reduction in the digestibilities of most components of the silages.

시금장의 제조방법 조사 및 맛의 통계적 평가 (Producing Method and Statistical Evaluation of Taste of Sigumjang)

  • 최웅규;손동화;지원대;최동환;김영주;이성원;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78-787
    • /
    • 1999
  • 시금장의 품질표준화를 위하여 시금장의 제조방법을 조사하고, 시금장의 각종 맛성분과 관능검사 점수사이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시금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금장의 제조방법은 훈연과정을 거치는 것이 매우 특징적이었다. 시금장의 맛성분 중 아미노산의 함량은 proline>valine>glutamic acid>alanine의 순으로 높았다. 유기산은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만이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glucose>maltose>fructose>inositol>mannitol의 순으로 많은 함량을 보였다. 각 성분의 함량과 관능검사 점수 사이의 단일상관은 전체적으로 낮아 시금장의 맛을 한개의 성분만으로 설명할 수 없었다. 가장 상관이 높은 성분은 inositol과 fructose였다.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행한 결과 절대치와 상대치의 대수변환에서 각각 17와 16개의 성분으로 시금장 맛의 90%를 설명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