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ionic acid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34초

Thyroid Hormones Receptor/Reporter Gene Transcription Assay for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 Jeong Sang-Hee;Cho Joon-Hyo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33-338
    • /
    • 2005
  • Many of thyroid hormones disrupting chemicals induce effects via interaction with thyroid hormone and retinoic acid receptors and responsive elements intrinsic in target cells. We studied thyroid hormones disrupting effects of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including BHA, BHT, ethoxyquin, propionic acid, sorbic acid, benzoic acid, CPM, aflatoxin B1, cadmium chloride, genistein, TCDD, PCBs and TDBE in recombinant HeLa cells containing plasmid construct for thyroxin responsive elements. The limit of response of the recombinant cells to T3 and T4 was $1\times10^{-12}\;M$. BHA. genistein, cadmium and TBDE were interacted with thyroid receptors with dose-responsive pattern. In addition, BHA, BHT, ethoxyquin, propionic acid, benzoic acid, sorbic acid, and TBDE showed synergism while cadmium chloride antagonism for T3-induced activity. This study elucidates that recombinant HeLa cell is sensitive and high-throughput system for the detection of chemicals that induce thyroid hormonal disruption via thyroid hormone receptors and responsive elements. Also this study raised suspect of BHA. BHT, ethoxyquin, propionic acid, benzoic acid, sorbic acid, TBDE, genisteine and cadmium chloride as thyroid hormonal system disruptors.

유통 조미건어포 중 프로피온산, 안식향산, 소브산 함유량 조사 (Determination of Propionic, Benzoic, and Sorbic Acids in Dried Seasoned Seafood Products in Korea)

  • 장우진;최종윤;김성재;하상도;이지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11-318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조미건어포 27건 중 프로피온산, 안식향산, 소브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의 분석 방법으로 GC-FID를 이용하여 프로피온산을 분석하였고 HPLC-DAD를 이용하여 안식향산과 소브산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27건 중 프로피온산은 16건(검출률 59%), 안식향산은 불검출, 소브산은 7건(검출률 26%)이 검출되었다. 조미건어포에서 프로피온산은 ND-125.10 mg/kg의 농도로 검출이 되었으며 이는 미생물 최소저해농도 이하의 수치로 보존 효과를 나타낼 수 없는 농도로 보여 의도적으로 첨가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브산의 경우 소르빈산 칼륨이 표기된 시료에서만 검출되었으며 표기된 시료 8건 중 7건에서만 검출이 되었다. 소브산 검출 시료의 경우 658.18 mg/kg의 농도까지 검출이 되었으며, 이는 그 사용 기준에 적합한 수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조미건어포에 대한 안전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장류 중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 함량 조사 (Determination of Amounts of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 이승희;이미연;임성락;배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65-57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장류에서의 천연유래 보존료로서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 검출 여부와 검출 양을 조사하였다. 고추장 48건, 간장 38건, 된장 50건, 청국장 36건에 대한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안식향산이 검출되었다. 고추장에서의 안식향산은 0.85-11.69 ppm, 간장에서는 1.13-7.95 ppm, 된장은 0.74-17.77 ppm, 청국장은 1.03-7.64 ppm으로 검출 되었다. 프로피온산의 경우 고추장에서는 29건 분석 중 24건이 검출되었다. 검출 범위는 N.D.-49.29 ppm이었고 간장은 30건 중 21건이 검출 되었으며 N.D.-144.67 ppm의 범위를 나타냈다. 된장은 33건 중 31건이 검출되었고 N.D.-309.14 ppm으로 가장 넓은 검출범위를 보였다. 청국장은 30건 중 28건이 검출되었고 N.D.-113.07 ppm 범위로 검출되었다. 안식향산의 평균 검출양은 된장이 높았으며, 프로피온산 평균 검출양은 청국장이 높았다.

광학 활성 2-Amino-3-Phosphonopropionic Acid의 새로운 합성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펩티드의 합성 (Synthesis of Peptides Containing Optically Active 2-Amino-3-Phosphonopropionic Acid)

  • 김상범;조성기;한정식;김용준;홍석인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516-520
    • /
    • 1994
  • L-serine으로부터 광학 활성을 가지는 2-amino-3-phosphonopropionic acid를 새로운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2-amino-3-(diethylphosphono)-propionic acid methyl ester를 아미노산과 축합시켜 광학 활성을 갖는 새로운 포스포노트리펩티드를 합성하였다.

  • PDF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n-pentanol+n-propionic acid 및 n-pentanol+n-butyric acid계의 하부 인화점 추산 (The Estimation of Lower Flash Point for n-Pentanol+n-Propionic Acid and n-Pentanol+n-Butyric Acid Systems Using Optimization Method)

  • 하동명;이성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73-78
    • /
    • 2007
  • 가연성 이성분계 혼합물인 n-pentanol+n-propicnic acid 및 n-pentanol+n-butyric acid 계의 하년 인화점이 상압 조건 하에서 Pensky-Martens 밀폐식 장치에 의해 측성되었다. 실험값을 라울의 법칙과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예측간과 비교하였다. A.A.D.(average absolute deviation)에서 알 수 있듯이,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예측값이 Raoult의 법칙에 의한 예측값 보다 실험값에 더욱 근사하였다.

  • PDF

조랭이 떡에 존재하는 자연균총 유전자 군집분석 및 천연유래 프로피온산 생성능 분석 (Genetic Analysis of Natural Microflora in the Stored Joraengyi Rice Cake and Their Capability of Propionic Acid Production)

  • 박희대;채정규;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5-382
    • /
    • 2018
  • 본 연구는 조랭이떡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분석과 자연균총의 프로피온산 생성능을 분석하였다. 조랭이떡의 자연균총을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해 프로피온산 생성균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프로피온산 생성균을 포도당이 첨가된 액체배지(TSB)에 배양해 온도별 생장 특성을 분석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FID)를 이용하여 프로피온산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에테르로 용매 추출하는 전 처리 방법을 확립하였고,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을 측정해 프로피온산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유통기한이 지나 미생물이 많이 자란 조랭이떡의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 총 98종의 균이 검출되었고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점종은 Lactobacills casei group으로 50.48%를 차지했고, Lactobacillus buchneri가 29.60%였다. 프로피온산 생성균은 Propionibacterium thoenii, P. cyclohexanicum, Propionibacterium_uc, P. jensenii, P. freudenreichii 등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자연균총의 약 2.4%를 차지했다. 조랭이떡 자연균총과 Lactobacillus 속은 14일 배양에서도 프로피온산을 생산하지 않았으나 P. cyclohexanicum, P. freudenreichii subsp. Shermanii, P. thoenii, P. jesenii는 4일차부터 프로피온산을 각각 263.47, 338.90, 325.43, $222.17{\mu}g/mL$를 생산하였고, 7일차에는 1,572.78, 2,496.63, 1,519.65, $2,660.41{\mu}g/mL$, 14일차에는 각각 2,462.02, 2,904.78, 2,220.64, $3,519.17{\mu}g/mL$로 프로피온산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살펴볼 때 전분과 포도당으로 구성된 떡류의 특성상 저장중 자연균총 미생물의 성장으로 높은 농도의 프로피온산이 천연유래로 생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떡류 등 전분질 식품의 프로피온산 등 천연유래 보존료 검출의 인정 및 기준규격 등 안전관리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향신료에서 유래되는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함유량 조사 (Monitoring of Benzoic Acid, Sorbic Acid, and Propionic Acid in Spices)

  • 윤상순;이상진;임도연;임호수;이근영;김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1-3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향신료 중 천연유래 보존료의 함유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안식향산, 소브산 및 프로피온산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향신료 중 안식향산 및 소브산 함량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였고, 프로피온산 함량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하여 용매추출 후원심분리 후 농축하는 방법으로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였고,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측정으로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향신료 493건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은 각각 165건, 88건, 398건에서 검출되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검출 범위는 각각 불검출-391.99 mg/L, 불검출-57.70 mg/L, 불검출-188.21 mg/L이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평균 검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품목은 각각 계피(167.15 mg/L), 바질잎(22.79 mg/L), 백후추(51.48 mg/L)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방법은 다양한 향신료를 대상으로 낮은 함량의 천연유래 보존료(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 분석에 적합한 방법이며, 분석결과는 향신료의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알 수 있는 근거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식품 검사 시 보존료 사용기준 위반 판정으로 인한 민원제기나 국가간 무역마찰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콩나물 부패경감에 유용한 약제 선발 (Selction of Useful Chemicals Reducing Soybean -Sprout Rot)

  • 박의호;최연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87-493
    • /
    • 1995
  • 본 실험은 콩나물 재배과정 중에 일어나는 부패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이 허가된 산성 식품 첨가제들을 대상으로 그 이용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다소 노화된 은하콩을 재료로 콩나물 배축의 부패에 관여하는 균(부패균)을 순수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고, propionic acid 등 8가지 약제처리가 부패균의 증식 억제효과를 인왕배지상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1% 이하의 약액처리가 콩나물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약해유발의 가능성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패균으로 확인된 3종류의 균계를 대상으로 Gram stain등 8가지 미생물학적 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상호 약간의 특성 차이는 있었으나 Pseudomonas속의 균계로 판단되었으며, 분리된 곰팡이류 중에는 부패균이 없었다. 2. 5% 이상의 농도에서는 공시약제 중 sodium hypochlorite의 부패균 증식억제 효과가 가장 컸으나 발아를 극심하게 저해하여 실용성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3. Propionic acid, acetic acid, calcium propionate, sodium propionate등의 약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뚜렷하였다. 4. Propionic acid, acetic acd, calcium propionate, sodium propionate 등의 선발된 4가지 약제는 1.0% 및 그 이하의 농도에서도 다소의 부패균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 부패경감제로서의 충분한 이용 가능성을 보였다. 5. 1%이하의 용액에 콩종자를 침지처리 하였을 때 무처리에 비해 선발된 4가지 약제처리에서 모두 발아율, 초기생육 및 비정상발아 개체율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약해는 문제시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