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hylactic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8초

소아에서 시행한 방광요도 조영술 이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고찰 (Study of Post Procedur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oiding Cystourethrography)

  • 김민선;이승현;김정화;장영범;이대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1호
    • /
    • pp.65-73
    • /
    • 2007
  • 목적 : 요로 감염이나 선천성 수신증, 기타 선천성 신장 질환이 있을 때 방광 요관 역류가 동반되는 수가 많다. 방광요도 조영 검사는 이를 확인하는 비교적 간단한 검사이나 검사 후 여러 불편감이나 합병증이 있어 환아들이 기피하는 검사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방광요도 조영 검사 후에 발생한 합병 증상의 종류와 빈도, 증상 지속 기간 등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5년 10월에서부터 2006년 9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배뇨성 방광요도 조영술 및 방사선핵종 방광 조영술을 시행하였던 환아를 대상으로 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검사를 시행하게 된 원인 질환과 검사 방법, 검사 성공 여부, 최종 진단을 확인하였고, 1주일 경과 후 전화를 통한 설문 청취 방법으로 합병 증상의 종류와 지속 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270명 중 1례에서는 도뇨관 삽입 실패로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여 성공률은 99.6% 이었고, 검사를 받은 평균 연령은 $16.5{\pm}29.9$개월이었으며, 이 중 남아는 190명(70.6%), 여아는 79명(29.4%)이었다. 검사를 시행하게 된 원인 질환으로는 요로 감염 168명, 수신증 55명, 방광요관 역류로 인한 추적 검사 39명, 신무발육증 3명, 다발성 낭성 이형성 신 3명, 중복 요관 1명이었다. 269명의 환아 중 검사 시행 후 88명 (32.7%)에서 검사와 관련된 합병증을 보였고 증상 지속기간은 $1.4{\pm}0.7$일 이었다. 이 중 배뇨곤란의 경우가 49명(55.7%)으로 가장 많았고, 보챔 36명, 발열 11명, 빈뇨 8명, 육안적 혈뇨 4명 순이었다. 이외에도 심한 합병증인 요로 감염과 방광 천공도 각각 1명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합병 증상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호소 빈도가 증가하였고 (P<0.05), 검사 당시의 항생제 사용이 이러한 합병 증상의 빈도를 감소시키지는 않았다. 결론 : 소아에서 방광 요도술 검사는 간편하고 비교적 안전한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 환아의 약 1/3에서 합병 증상이 발생하였고 요로 감염과 방광 천자 같은 심한 합병증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방광요도 조영술 검사 시 이러한 합병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세심한 주의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 신속한 처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예방적 항생제 요법은 검사 후 발생하는 요로 감염이나 여러 증상을 줄이지는 못하여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예방적 항생제 사용중에 발생한 요로감염: 단일 병원에서 경험한 임상연구 (Breakthrough Urinary Tract Infection: A Clinical Study of Experience of a Single Center)

  • 배상인;전종근;김수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2호
    • /
    • pp.203-209
    • /
    • 2010
  • 목 적 : 소아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반복적 요로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예방적 항생제 투여시, 새로운 내성균의 출현으로 요로 감염이 재발하게 되는 소위 돌파 감염(breakthrough infection)이 있게 되면 그에 의한 새로운 신 반흔 형성이 문제가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 돌파 감염의 임상양상에 대한 보고는 드물었으므로 저자는 본 병원에서 실제 예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항생제의 실태와 그에 따른 돌파 감염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약 5년 6개월간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요로감염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한 1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돌파감염의 양상에 대하여 차트와 검사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예방적 항생제 투여를 시작한 연령 범위는 1-76개월, 중간 연령은 5개월이었으며, 돌파감염은 총 43례(28.7%)에서 61회 발생하였고 발생빈도는 환자 100 patient-months당 1.5회였다. 방광 요관 역류로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 역류의 정도에 따른 돌파감염의 발생빈도는 grade I-II에서 18.5%, grade III에서 21.1%, grade IV-V에서 41.7%로써 grade가 높을수록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6). 또한 항생제 사용 전실시한 DMSA 스캔에서 이상이 있었던 경우가 이상이 없었던 경우보다 쉽게(47.3% vs 14.7%) 요로감염이 발생하였다. 돌파 감염의 원인균은 대장균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29.5%), 일반적인 요로 감염에서 보다 다양한 균주에 의해 고른 분포로 요로 감염이 발생하였다. 사용한 예방적 항생제 중 co-trimoxazole을 사용한 경우가 2세대, 3세대 세파로스포린을 사용한 경우보다 요로감염의 예방에 효과적이었으며(P=0.0386, P=0.0128),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 27.3%는 사용 중인 예방적 항생제에 감수성이 있었고 59.1%는 저항성을 보였다. 돌파 감염이 발생한 환아 중 39.5%에서 수술적 치료로 바꾸었으며 34.9%에서 항생제를 변경하였고 25.6%에서는 종래의 항생제를 계속 사용하였다. 결 론 : 신 반흔이 있는 경우는 돌파 감염이 쉽게 일어나므로 내시경적인 방법 등을 포함한 수술적 치료의 선택에 고려되어져야하며, 돌파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의 항생제 투여의 순응도를 고려해야 하며 세파로스포린 같은 항생제 사용은 자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배뇨 방광 요도 조영술 시행 후 발생하는 요로 감염에 대한 고찰 (Urinary Tract Infection Following Voiding Cystourethrography)

  • 류정민;안요한;이소희;최현진;이범희;강희경;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194-201
    • /
    • 2008
  • 목 적 : 방광 요관 역류(VUR)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배뇨 방광 요도 조영술(VCUG)을 시행하여야 한다. VCUG의 부작용으로 요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VCUG 후 요로 감염에 대하여 고찰하여 이의 예방을 위하여 사용한 항생제의 효과를 비롯한 VCUG 후 요로 감염의 위험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동안 본원에서 VCUG를 시행한 284명의 어린이(남:여 195:89, 평균 나이 4.1$\pm$3.6세)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VCUG 시행 당시의 항생제 사용 상황에 따라 대상군을 항생제 미사용군, 예방적 항생제군, VCUG 용 항생제군, 치료 항생제군으로 나누어 항생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VCUG를 시행한 284중 7명(남:여 6:1, 평균 연령 2.8$\pm$3세)의 환아에서 VCUG 후 요로 감염이 발생하였다(요로 감염 발생률 2.5%). 그 중 6명은 VUR이(5명 high-grade VUR), 다른 1명은 MCDK가 있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VCUG 후 요로 감염의 위험요소는 high-grade VUR이었으며, 성별, 연령(1세 미만과 1세 이상), 최근 요로 감염력, VUR 유무는 유의하지 않았다. VCUG 후 요로 감염 빈도는 예방적 항생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군을 VUR이 없는 경우와 VUR이 있는 VUR군, high-grade VUR군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하였을 때 항생제 사용 여부와 VCUG용 항생제 사용 여부는 VCGU후 요로 감염 발생률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결 론: VCUG 후 요로 감염의 위험인자는 high-grade VUR이었으며, 이번 연구의 대상군에서 항생제 사용에 의한 VCUG 후 요로 감염의 예방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Sulfadimethoxine의 계육(鷄肉) 및 계란내(鷄卵內) 이행잔류(移行殘留)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ulfadimethoxine Residues in Tissues and Eggs of Laying Hens)

  • 김교준;김상근;권오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349-355
    • /
    • 1985
  • 가금질병(家禽疾病)의 예방(豫防) 및 치료(治療) 그리고 성장(成長) 및 비육촉진(肥育促進)의 목적(目的)으로 급여(扱與)한 sulfonamides의 계육(鷄肉) 및 계란내(鷄卵內) 잔류(殘留)할 가능성(可能性)이 주목(注目)됨으로 그 이행잔류상(移行殘留狀)을 구명(究明)함으로써 식육내(食肉內)의 허용직(許容直) 설족(設足), 투약법(投樂法)의 개선(改善) 그리고 식품위생산(食品衛生上)의 공해(公害)를 방지(防止)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실시(實施)한 실험결과(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같다. 1. Bacillus subtilis 균(菌)은 Sulfonamides에 대(對)하여 감수성(減受性)이 예민(銳敏)하여 0.05ppm까지 검출(檢出)할 수 있었다. 2. 혈액내(血液內) 잔류상(殘留狀)은 1회(回) 투약후(投藥後)에는 48시간(時間)까지 검출(檢出)할 수 있었고, 3회(回) 투약(投藥)한 구(區)에서는 3구(區) 모두 최종투약후(最終投藥後) 60시간(時間)까지 검출(檢出)할 수 있었다. 3. 각(各) 장기조직내(臟器組織內)에서는 3구(區) 다같이 최종투약후(最終投藥後) 5일(日)까지는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나 10일(日)에서는 담즙(膽汁)을 제외(除外)하고는 모두 검출(檢出)할 수 없었다. 4. 계란(鷄卵)의 난백(卵白)에서는 최종투약후(最終投藥後) 3구(區) 모두 5일(日)까지는 검출(檢出)이 가능(可能)하였으나 난황(卵黃)에서는 3구(區) 모두 5일(日)에서 흔적(痕迹)만 남기고 검출(檢出)할 수 없었다. 5. 담즙내(膽汁內)의 잔류(殘留) 유무(有無)는 각(各) 장기조직(臟器組織) 및 계란(鷄卵)의 식용(食用) 여부(與否)를 판정(判定)하는데 좋은 측도(測度)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적 치료로서 Indomethacin과 Ibuprofen의 효과 (Effects of Ibuprofen and Indomethacin for Prophylaxis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Premature Infants)

  • 전복선;권경아;박경희;변신연;김묘징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28-233
    • /
    • 2011
  • 목적: Indomethacin은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적 용법 및 치료적 용법에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indomethacin의 국내 보급이 중단됨에 ibuprofen이 사용되고 있다. Ibuprofen은 동맥관 폐쇄에 indomethacin만큼 효과적이며 부작용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ibuprofen의 예방적 용법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에서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적 치료에 대한 ibuprofen의 효과와 안정성을 indomethacin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 그리고 2010년 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두 기간동안 3개의 참여 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34주 미만, 1,500 g 미만의 신생아 중에서 생후 24시간 이내에 indomethacin이나 ibuprofen이 예방적 목적으로 투여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군간의 동맥관 폐쇄에 대한 효과와 주산기 합병증의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두 군간에 환아의 성별, 재태 연령, 출생체중, 분만 방법, 1분 및 5분 Apgar 점수, 산모의 steroid 사용 여부, 폐 표면활성제 사용 여부 및 인공호흡기 사용여부 및 사용기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후 7일에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indomethacin군은 17명 중 13명, ibuprofen군은 20명 중 19명이 동맥관의 폐쇄를 보였다. 총 입원 기간 외에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Ibuprofen의 예방적 사용은 동맥관 폐쇄에 효과적이며 주산기 합병증 측면에서 유의한 부정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indomethacin을 대체하여 ibuprofen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단일병원 신생아 환자의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보균율 (Colonization Rat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e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최수영;한상우;윤혜선;기모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111-120
    • /
    • 2012
  • 목 적 : 단일 병원 신생아입원실에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MRSA 보균율을 알아보고, 그 기원을 추정해 보며, MRSA 보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을지대학교 서울 을지병원 신생아 입원실에 입원하여 MRSA 감시배양검사를 시행받은 1,733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MRSA 감시배양검사는 비강, 서혜부, 직장에서 시행하였고, 퇴원 시까지 매주 반복 시행 하였다. MRSA 감시배양결과에 따라서 보균자와 비보균자로 나누었다. 결 과 : 대상환자 1,733명 중에 415명(23.9%)이 MRSA 보균자였다. 제태기간, 출생체중, 분만 방식, 분만전 산모에게 항생제 투여 여부, 출생장소, 입원전 체류 장소에 따라서 MRSA 보균율에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변량 검사에서 분만전 산모에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가 투여한 경우에 비해서 신생아가 MRSA 보균자가 될 위험도가 2.8배(OR=2.77; 95% CI, 1.88-4.07), 출생장소가 외부인 경우가 본원인 경우에 비해서 2.3배(OR=2.28; 95% CI, 1.17-4.42) 높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MRSA 보균율은 23.9%로 상대적으로 높은 보균율을 확인하였다. 환자특성을 고려하여 추정한 HA-MRSA 보균율은 51/511명(10%), CA-MRSA 보균율은 309/858명(36%) 이었다. 본병원 신생아에서 MRSA 보균과 연관된 요인은 산모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여부와 출생장소임을 확인하였다.

  • PDF

치과분야 항생제 처방에 대한 국내외 문헌 분석 (LITERATURE REVIEW OF ANTIBIOTICS PRESCRIPTION IN GENERAL DENTAL AND ORAL-MAXILLOFACIAL SURGICAL PRACTICE)

  • 조세형;모하메드 아라쉬단;정한울;방강미;박종철;김성민;김명진;이종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3호
    • /
    • pp.164-169
    • /
    • 2009
  • Objectives : Administration methods of antibiotics implements a variety for indications and diseases.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produce a single guideline. Many antibiotics have been prescribed without specific index, by practicians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general dental practice and oral and maxillofacial surgical practice, there is not a guidelines for antibiotics. Therefore, there is a dependency on pre-existent methods rather than following an exact guideline. Consequently, a controversy was issued that prescription of antibiotics tend to be misused or abused. And it is also direct relation to the tolerance of antibiotics as well. Moving forward, in this review we will be analyzing the exact usage and indication of antibiotics in dent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 29 published article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re researched through Pubmed and Kormed, and the review from these articles were performed accordingly. We examined the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through the objective usage, that classified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Results : For therapeutic usage, empirical prescription is mandatory for the first step. Next is to moderate the empirical prescription depending upon the result of its culture.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must be kept for 2days after the symptoms disappear. For a prophylactic use, we can generally pr escribe antibiotics to prevent local infection or systemic infection. Although the method of prescription and neccessity of antibiotics to prevent local in fection are controversial, exact guidelines of antibiotics to prevent systemic infection are established by AHA. Conclusion : Most crucial concept for prescript antibiotics is to determine if it is adequately suitable for all circumstances. In this decision making, a guideline for prescription of antibiotics in various dental surgical practice is necessary. This guideline can reduce the misusage and disusage of a ntibiotics in general dental practices and oral and maxillofacial surgical practices.

인삼의 한의학적 및 현대임상적 측면에서의 복용량 검토 (Usage and Dosage of Ginseng Radix (panax ginseng C. A. Meyer) Based upon Traditional and Recent Scientific Clinical Applications)

  • 남기열;박종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99-105
    • /
    • 2000
  • 본 논문은 인삼의 한의학적 응용과 현재 각국별 인삼의 복용기준 및 그 동안 수행된 임상실험을 중심으로 인삼의 응용과 복용량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인삼분말 기준 복용량은 특별히 처방에 기술되어 있지 않은 한 1회 3~4 g정도 복용하는 것이 보편적 복용량으로 간주되며, 인삼제품도 이에 상당하는 인삼량으로 복용하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서구권의 경우는 인삼을 의약품으로 분류하여 복용량을 하루 1-2정도로 규정하고 있고 임상실험에서 사용된 인삼투여용량은 대부분 1g 이하로 되어 있다 서구에서의 인삼복용량 설정은 그 동안 인삼의 안전성(부작용과 역작용 등)과 관련된 사례보고 등에 근거하여 그 복용기준을 설정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동서양간 인삼복용량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동양인과 서구인들 간의 식생활 차이 또는 인종적 차이에 기인한 인삼의 복용 반응의 차이인지에 대해서 추후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다. 아울러 인삼의 투여용량별 효과의 차별성이 있는지, 금후 인삼의 적정 투여용량 설정과 관련하여 인체실험을 통한 활성성분의 체내동태(Pharmacokinetics)와 자생체내 이용효율(Bioavailability)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tulobuterol patches on the respiratory system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 Lee, Do-Won;Kim, Eun-Soo;Do, Wang-Seok;Lee, Han-Bit;Kim, Eun-Jung;Kim, Cheul-Hong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7권4호
    • /
    • pp.265-270
    • /
    • 2017
  • Background: Endotracheal intubation during anesthesia induction may increase airway resistance ($R_{aw}$) and decrease dynamic lung compliance ($C_{dyn}$). We hypothesized that prophylactic treatment with a transdermal ${\beta}2$-agonist tulobuterol patch (TP) would help to reduce the risk of bronchospasm after placement of the endotracheal tube. Methods: Eighty-two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category I or II adult patients showing obstructive patterns were divided randomly into a control and a TP group (n = 41 each). The night before surgery, a 2-mg TP was applied to patients in the TP group. Standard monitors were recorded, and target controlled infusion (TCI) with propofol and remifentanil was used for anesthesia induction and maintenance. Simultaneously, end-tidal carbon dioxide, $R_{aw}$, and $C_{dyn}$ were determined at 5, 10, and 15 min intervals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data between the two groups. The TP group was associated with a lower $R_{aw}$ and a higher $C_{dyn}$,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_{aw}$ was significantly lower at 10 min (P < 0.05) and 15 min (P < 0.01), and $C_{dyn}$ was significantly higher at 5 min (P < 0.05) and 15 min (P < 0.01) in the TP group. A trend towards a lower $R_{aw}$ was observed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min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P < 0.01) in each group. Conclusions: Prophylactic treatment with TP showed a bronchodilatory effect through suppressing an increase in $R_{aw}$ and a decrease in $C_{dyn}$ after anesthesia induction without severe adverse effects.

Potential Applicability of Local Resection With Prophylactic Left Gastric Artery Basin Dissection for Early-Stage Gastric Cancer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 Akashi, Yoshimasa;Ogawa, Koichi;Hisakura, Katsuji;Enomoto, Tsuyoshi;Ohara, Yusuke;Owada, Yohei;Hashimoto, Shinji;Takahashi, Kazuhiro;Shimomura, Osamu;Doi, Manami;Miyazaki, Yoshihiro;Furuya, Kinji;Moue, Shoko;Oda, Tatsuya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3호
    • /
    • pp.184-196
    • /
    • 2022
  • Purpose: Total or proximal gastrectomy of the upper-third early gastric cancer (u-EGC) often causes severe post-gastrectomy syndrome, suggesting that these procedures are extremely invasive for patients without pathologically positive lymph node (LN) metastasi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stomach function-preserving surgery, local resection (LR), with prophylactic left gastric artery (LGA)-basin dissection (LGA-BD).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of patients with u-EGC (pathologically diagnosed as T1)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otal gastrectomy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proximal gastrectomy in 45, and subtotal gastrectomy in 6; the LN status was evaluated assuming that the patients had already underwent LR + LGA-BD. This procedure was considered feasible in patients without LN metastases or in patients with cancer in the LGA bas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results was also evaluated using an external validation dataset. Results: Of the 82 eligible patients, 79 (96.3%) were cured after undergoing LR + LGA-BD, 74 (90.2%) were pathologically negative for LN metastases, and 5 (6.1%) had LN metastases, but these findings were only observed in the LGA basin. Similarly, of the 406 eligible tumors in the validation dataset, 396 (97.5%) were potentially curative. Tumors in the lesser curvature, post-endoscopic resection status, and small tumors (<20 mm) were considered to be stronger indicators of LR + LGA-BD as all subpopulation cases met our feasibility criteria. Conclusions: More than 95% of the patients with u-EGC might be eligible for LR + LGA-BD. This function-preserving procedure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EGC without pathological LN metastases, especially for tumors located at the lesser curv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