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ophylactic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6초

향어의 장포자충(Thelohanellus kitauei)증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기초적 연구 II. 물리화학적 요인이 장포자충 포자에 미치는 영향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studies on intestinal giant-cystic disease of the Israel carp caused by Thelophanellus kitauei II. Eff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on T. kitauei spores in vitro)

  • 이재구;김종오;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4호
    • /
    • pp.241-252
    • /
    • 1990
  • 장포자충(Thelohanellus kitauei) 포자의 극사탈출 여부를 생사 각정 기준으로 하여 물리 화학적 요인이 포자의 활성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신선 포자를 0.45% 및 0.9% 생리식염수와 증류수에 현학시켜 $5^{\circ}C$ 또는 $28^{\circ}C$에 단기간 보존하면 3일까지, Tyrode액에 철 탁시켜 $-70^{\circ}C$에 단기간 냉동 보존하면 8일까지 극사탈출률이 상승하였다. 신선 포자를 0,45%생리 식염수에 현탁시켜 $5^{\circ}C$에 장기간 보존하면 1,270일간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증류수에 현탁시켜 $28^{\circ}C$에 보존하면 152일간 밖에 생존하지 않으나, Tyrode액에 현탁시켜 $-70^{\circ}C$에 법통 보존하면 750일 후에도 냉동 초기와 거의 같은 패턴으로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선 효 자를 Tyrode액에 현탁, 냉동시킨 다음 $5^{\circ}C$의 조건 하에서 해동시킬 때 포자의 극사설출률이 가잔 높았다. 냉동 후 해동 포자에 열을 가하면 냉동기간이 길수록 극사탈출률이 약간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180일간 냉동례에 있어서 포자가 전부 사멸하는 한계점은 대체적으로 $60^{\circ}C$ 78.5시간, $70^{\circ}C$ 23.4시 간, $80^{\circ}C$ 189.1분 또는 $90^{\circ}C$ 10.5분이었다. 냉동 포자의 해동 후 사멸에 요하는 대체적인 기간도 냉동기간이 길수록 길며, 그 한계점은 20일간 냉동시 17.4일, 100일간 냉동 시 33.2일, 400일간 냉동시 37.8일이었다. 냉동 포자를 해동 후 자연건조시키면 냉동시간이 길수록 포자의 사멸에 요 하는 대체적인 기간도 길며, 그 한계점은 540일간 냉동시 23.5일, 160일간 냉동시 21.0일, 20일간 냉동시 14.4일이었다. 한편, 냉동 후 해동 포자에 l0W 자외선등을 조사하면 냉동시간이 길수록 빨리 사멸하며, 그 한계점은 100일간 냉동시 26.0시간, 300일간 냉동시 21.9시간, 540일간 냉동시 13.9시간이었다. 각종 소독제(1,000 ppm)가 200일간 냉동 후 해동 포자를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시 간은 산화칼슘 5.2분, 과망간뜬칼륨 10.4분, 말라카이트그린 27.8분, 포르말린 14.3시간의 순이었다. 그리고, 각종 항원충 및 둔진균제 중에서 ketoconazole, metronidazole, dapsone의 순으로 일시적인 극사탈출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장포자충증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시점에 있어서 양어장의 바닥을 콘크리트로 축달하여 완전 건조시킨 다음 산화칼슘을 철포하고 태양광선을 수일 간에 걸쳐 조사시키는 방법 밖에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미꾸라지의 항체 특성과 PS-K의 면역증강효과 분석 (Characterization of Antibody and Enhanced Immune Response by PS-K against Edwardsiella tarda in Loach Misgurnus mizolepis)

  • 전려진;이영;김명석;정현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5-33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E. tarda KFE와 일본에서 분리된 E. tarda Edk-2 두 균주의 항혈청을 만들어 생산된 항체의 특성과 방어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양식되어지고 있는 담수어인 미꾸라지를 사용하여 위의 두 가지 분리균주의 항원성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미꾸라지를 E. tarda 두 균주의 FKC로 각각 면역시킨 후의 혈청내 특이 항체량은 E. tarda KFE 균주로 면역시켰을 때에 비해 E. tarda Edk-2 균주로 면역시켰을 때 훨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교차반응 분석에서는 두 균주 간에 공통 항원이 미약하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미꾸라지 항혈청의 살균효과를 보았을 때에는 두 종류의 항혈청 모두에서 항체의 살균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염 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는 polysaccharide-bound protein (PS-K)을 미꾸라지에 주사한 후 1주째에 E. tarda KFE 분리균주로 공격 실험을 실시하여 본 결과 누적 폐사율이 감소하였으므로, PS-K의 투여는 E. tarda를 포함한 세균성 감염에 대한 효과적인 감염 대책 방안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Human Papillomavirus (HPV) Type Distribution in Korean Women: a Meta-Analysis

  • Bae, Jeong-Hoon;Lee, Sung-Jong;Kim, Chan-Joo;Hur, Soo-Young;Park, Yong-Gyu;Lee, Won-Chul;Kim, Young-Tak;Ng, Timothy L.;Bock, Hans L.;Park, Jong-Su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788-794
    • /
    • 2008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the overall prevalence and type distribution of human papillomavirus (HPV) in Korean wome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e searched published data for the period between 1995 and 2007 using the following inclusion criteria; (1) studies using type-specific HPV tests, (2) data from Korean female, (3) with cytologic or pathologic results, (4) having more than 20 cases for each subgroup classified by cytologic results, and (5) HPV detection including types 16, 18, and at least one other type. In total, 18 studies (13,842 cases) published up to April 2007 were identified and selected. Adjusted overall HPV prevalence was 23.9% (95% CI: 23.8-24.1%) in women with normal cytology and 95.8% (95% CI: 95.4-96.2%) in women with cervical cancer. Type 16 was predominant regardless of cervical disease status, and type 58 occupied a significantly larger proportion in high-grade cervical intraepitheliallesions and cervical cancer in Korean women. HPV types 58, 33, and 52 together accounted for about 20% of infections in cervical cancer and high-grade intraepitheliallesions. After introduction of HPV prophylactic vaccines, extended protection, especially against types 58, 33, and 52, will be an important issue for cervical cancer prevention in Korea. The future dominant genotypes will require follow-up epidemiological studies with a large-scale, multicentered, and prospective design.

Group B β-hemolytic Streptococcus에 의한 소아 감염증의 임상상 (Clinical Features of Group B β-hemolytic Streptococcal Infection in Infants and Children)

  • 김윤경;곽영호;김예진;정혜선;홍정연;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2호
    • /
    • pp.194-202
    • /
    • 1999
  • 목 적 : 이전까지는 국내에서 발생 증례가 적었던 GBS 감염증이 최근에는 자주 접하게 되었다. 이에 최근 수년간의 발생 증례에 대한 고찰을 하여 그 임상적, 역학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 6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소아과에서 균이 증명된 GBS 감염증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분려된 일부 균주의 혈청형과 항균제 감수성을 경시하였다. 결 과 : 기간 별 증례 수를 비교해 보면, 1990년대 후반에 그 이전보다 증례가 많았다. 총 27례중 25례가 신생아 감염증이었고, 지발형이면서 뇌막염인 증례가 많았다. 혈청형은 III(6균주), Ib(6), Ia(1)와 II(1)였다. 검사된 10개의 항균제에 대하여 모든 균주가 감수성을 보였다. 결 론 : 국내에서 신생아 GBS 감염증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신생아 패혈증 또는 뇌막염의 원인균으로서 GBS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향후 빈도가 더욱 증가하면 산모에게 산전 검사와 예방적 항생제 요법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 수두증 환자의 치과적 관리 (Dental Management of Pediatric Hydrocephalus)

  • 김미준;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8-234
    • /
    • 2017
  • 수두증은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으로 뇌실 혹은 두개강 내에 축적되는 것으로, 큰 머리둘레와 성장 지연, 지능 발육 저하, 영구치의 발육 속도 차이, 악안면 비대칭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뇌실 - 복강 단락술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법이고 복강에 문제가 있는 경우 다른 단락술이 시행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소아 수두증으로 인하여 뇌실 - 복강 단락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7세 6개월 환자의 치과적 관리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환자는 유구치의 깊은 우식과 하악각 부위의 안면 부종이 관찰되었으며, 큰 머리 둘레와 신체적 및 정신적 발달 지연을 보였다. 아산화 질소 흡입 진정과 가벼운 보호 안정 하에 치수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예방적 항생제는 필요로 하지 않았다. 최근 검진 시까지 치료받은 부위는 잘 유지되고 있었으며 향후 전반적인 구강위생 및 영구치의 발육 정도, 악안면부의 비대칭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진 받을 예정이다. 단락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수두증 환자들은 치과 치료 시, 단락 장치의 도관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도관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뇌실 - 심방 단락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예방적 항생제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신경외과로의 의뢰가 추천된다. 수두증 환자들은 성장하면서 악안면부의 비대칭과 영구치의 발육 수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찰이 요구된다.

하악 소구치에 발생한 치외치의 치근단유도술 (APEXOGENESIS OF A DENS EVAGINATUS)

  • 이지민;최영철;김광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05-309
    • /
    • 2009
  • 치외치(Dens Evaginatus)란 교합면에 법랑질이 원추형으로 돌출되어 결절을 형성한 치아로 치아발육중 법랑기의 내측법랑상피가 외부로 과증식되거나 치수 간엽조직이 국소적으로 과증식되어 나타난다. 결절은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 또는 마모되기 쉬우며 따라서 이로 인하여 치수노출에 의한 감염이 야기될 수 있다. 치외치는 예방목적으로 결절을 주기적으로 조금씩 갈아주어 2차 상아질을 유도하거나 전색제등으로 결절주위를 보강하여 자연마모를 유도할 수 있다. 반면 이미 증상을 보인 치아에 대해서는 근관치료를 시행하거나, 미완성치근인 경우 치근단유도술(Apexogenesis)이나 치근단형성술(Apexification)을 시행한다. 치근단유도술이란 생활력을 가진 미성숙 영구치의 손상, 또는 치아우식에 의한 치수노출 시 치수절단술을 시행하여 치수의 생활력을 유지시켜 정상적인 치근으로 발육하도록 유도하는 술식을 말한다. 주로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통상의 치수절단술이 이용되고 이후 계속적인 치근형성 확인을 위해 주기적 방사선검사가 요구된다. 본 증례는 하악 좌측 제2소구치 부위의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한자에 대한 것으로, 임상검사결과 양측 소구치 부위에 치외치를 확인하게 되었다. 이에 수산화칼슘을 통한 치근단유도술을 시도하였고, 3년간 주기적 내원을 통해 치료한 결과 치근의 근심면의 비정형적 발달을 보였다. 현재 이 치아는 임상증상과 방사선 사진을 통해 확인한 결과 특이한 염증소견 없는 예후를 보이고 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백혈병세포에서 PTEN 발현에 대한 Ciglitazone과 retinoic Acid의 항진 작용 (Ciglitazone, in Combination with All trans Retinoic Acid, Synergistically Induces PTEN Expression in HL-60 Cells)

  • 이성호;박철홍;김병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1-180
    • /
    • 2006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PPAR{\gamma})$ 는 DNA와 결합하기 위해 retinoid-X receptor(RXR)와 heterodimer를 형성해야만 한다. 그리고 전사에 대한 최대활성은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 특이성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활성화된 $(PPAR{\gamma})$$(PPAR{\gamma})$ 리간드는 종양억제 PTEN의 조절을 통해 종양세포의 성장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PPAR{\gamma})$ ligand, ciglitazone그리고 RXR ligand로 동시에 자극하였을 때 급성전골수성백혈병(APL) 세포에 대해 이들이 함께 PTEN upregulate를 조절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들 세포의 성장과 분화주기에 대해 강력한 억제 능이 있는지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즉, 사람의 백혈병세포주인 HL-60세포에 all-trans-retinol과 ciglutazone을 노출시킨 뒤 PTEN 발현에 대한 측정을 위해 RT-PCR법으로 PTEN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하고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세포주기의 분석은 propidium iodide(PI) 염색법과 FACScan으로 분석하였고, HL-60 cells에서 $(PPAR{\gamma})$ ligand, ciglitazone, 그리고 RXR ligand, retinoic acid 그리고 upregulated PTEN 발현에 대한 time- and dose-dependent방법으로 각각 확인하였던 바 ciglitazone과 retinoic acid를 동시 조합하여 처치하였을 때 유의적인 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더욱이 이들 혼합 물질은 세포의 성장과 G, phase를 동시 억제하는 능력이 있었다. 그러므로 $(PPAR{\gamma})$의 활성에 있어 RXR heterodimer가 사람의 백혈병세포에 대한 조절 경로로서 존재하며, PTEN의 upregulation을 통해 백혈병을 조절하기 때문에 백혈병의 예방 및 치료 접근에 $(PPAR{\gamma})$와 RXR ligands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남.서해안과 동중국해 자연산 어류에서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VHSV)검출 (Detection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from marine fish in the South Western Coastal Area and East China Sea)

  • 이월라;윤현미;김석렬;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1-209
    • /
    • 2007
  •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는 유럽과 북미지역의 담수 무지개송어에 심각한 바이러스성 질병을 야기하는 원인체였으나 담수어류 뿐만 아니라 해산어류에서도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며 최근 일본과 우리나라 양식 넙치에서 VHSV에 의한 대량 폐사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VHS에 대한 예방학적 접근의 일환으로서 자연산 어류로부터의 VHSV 검출 및 지리적 분포, 보균 어종에 대한 유전학적인 조사를 목적으로 2003년과, 2005년도에 동중국해역 3지점, 서해안 5지점 그리고 남해안 5지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였다. RT-PCR을 이용한 연구결과 자연산 해산어류 160마리 중 12종 17마리에서 VHSV가 검출되어 검출율 10.6%를 보였으며 조사된 12종의 어류 중 특히 상어목에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VHSV G gene을 이용한 계통분류학적 분석결과 염기서열 분석에서 양식산어류의 분리주 (KVHS01-1)와 98.4%~99%, 아미노산 분석에서 97~99% 유사성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조사되어진 자연산 어류에서 분리된 VHSV는 GenogroupⅠ에 속하였다.

남.서해안과 동중국해 자연산 어류에서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의 검출 (Detection of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from marine fish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and East China Sea)

  • 이월라;김석렬;윤현미;키타무라신이치;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1-220
    • /
    • 2007
  • Red sea bream iridovius (RSIV)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참돔 (Pagrus major), 돌돔(Oplegnathus fasciatus) 등 주로 돔류에 질병을 유발하는 어류 병원바이러스로 알려져 왔으나, 돔류 이외에도 감수성을 나타내는 어종이 매우 다양하며 아시아를 중심으로 고수온기에 대량 폐사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체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RSIV에 대한 자연산어류에서 검출동향의 모니터링을 통해 금후 red sea bream iridoviral disease (RSIVD)에 대한 예방학적 접근의 일환으로서 자연산 어류로부터의 RSIV 검출 및 지리적 분포, 보균 어종에 대한 유전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3년과, 2005년도에 동중국해역 3지점, 서해안 5지점 그리고 남해안 5지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여 PCR을 이용한 검출결과, 자연산 해산어류 160마리 중 39마리에서 RSIV가 검출되어 24.3%의 높은 검출율을 보였으며 특히 조사된 어류 중 상어목에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자연산 어류에서 분리한 RSIV 분리주는 양식산어류에서 분리된 RSIV-K strain과 염기서열 분석에서 97.2%~100%, 아미노산 분석에서 94.7~100%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며 megalocytivirus Subgroup Ⅲ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감잎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자극 활성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Fractions Isolated from Persimmon Leaves)

  • 신영아;박혜령;홍희도;신광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41-950
    • /
    • 2012
  • In order to develop new physiologically active polysaccharides from persimmon leaves, two different crude polysaccharides were prepared using hot water (PLW-0) and pectinase digestion (PLE-0) and their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were estimated. PLW-0 and PLE-0 showed similar sugar compositions with 15 different sugars, including rarely observed sugars in general polysaccharides such as 2-O-methyl-fucose, 2-O-methyl-xylose, apiose, aceric acid, 3-deoxy-D-manno-2-octulosonic acid, and 3-deoxy-D-lyxo-2-heptulosaric acid, but the uronic acid content of PLE-0 was lower than that of PLW-0 caused by pectinase treatment. Both PLW-0 and PLE-0 showed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ch was similar to a known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PSK, from Coriolus versicolor. The activity of PLE-0 at a low concentration ($100{\mu}g/m{\ell}$) was higher than that of PLW-0. In an in vitro cytotoxicity analysis, PLW-0 and PLE-0 (up to $1,000{\mu}g/m{\ell}$)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peritoneal macrophages and Colon 26-M3.1 carcinoma cells. In contrast, they enhanced lymphocyte proliferation activity.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PLW-0 and PLE-0 produced various cytokines, such as IL-6 and IL-12. However, PLE-0 was more effective on the cytokine produc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PLW-0 and PLE-0 significantly augmented natural killer (NK) cell cytotoxicity against Yac-1 tumor cells 3 days after the treatment of polysaccharide fractions. But NK cells obtained from the PLE-treated group showed higher tumoricidal activity even at a low dose of $40{\mu}g$/mouse. In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of Colon 26-M3.1 carcinoma cells, prophylactic administration of PLW-0 and PLE-0 significantly inhibited lung metasta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PLE-0 was more effective on the inhibition of cancer metasasis. The results lead us to conclude that the pectinase-treated process is indispensable to preparing polysaccharides with higher immune-stimulating activity from persimmon le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