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rty P$_{l}$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35초

감귤피 첨가 사료를 장기간 급여한 교잡종 돼지고기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기호성 (Effects of Long Term Tangerine Peel Consump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Crossbred Pig Meats)

  • 양종범;양승주;고석민;정인철;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0-296
    • /
    • 2006
  • 감귤피를 급여하지 않은 돼지고기(대조구, T0)와 임신초기부터 분만 후 자돈기, 육성기 및 비육기까지 전 사육기간 동안 8%의 감귤피를 급여한 돼지고기(감귤피 급여구, T1, 198일령, $102{\sim}118kg$)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등심과 삼겹살의 pH, 명도, 보수력, 동결감량, 해동 감량, 가열감량, 경도, 탄성, 응집성, 생육의 색깔 및 가열육의 종합적 기호도는 T0와 T1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등심의 적색도, 황색도, 뭉침성, 저작성 및 전단력, 그리고 삼겹살의 항산화력, 전단력, 생육의 냄새 및 가열육향은 T0보다 T1이 높게 나타났다(p<0.05).

전기비저항과 암반분류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ical Resistivity and Rock Classification)

  • 권형석;황세호;백환조;김기석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1권4호
    • /
    • pp.350-360
    • /
    • 2008
  • 전기비저항은 땅의 여러 물리적 특성 중의 하나로 전기비저항 탐사, 전기비저항 검층과 실내시험 등을 통해 측정된다. 최근에 전기비저항은 도로나 철도터널의 지보형식 설계에서 미시추구간의 암반등급을 예측하는데 활용되는 등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전기비저항으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암반등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현장시험과 함께 전기 비저항과 암반분류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암석시료에 대해 탄성파속도, 탄성계수, 일축 압축강도 등의 암석물성시험과 전기비저항 코어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획득된 전기비저항과 암석물성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전기비저항이 암석물성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지반조사에 비해 현저히 많은 12개의 시추공에서 전기비저항 검층을 실시하여, 전기비저항 탐사 및 전기비저항 검층에 의한 전기비저항과 RMR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전기비저항 검층은 RMR과 80% 이상의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여 전기비저항을 이용하여 암반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이 과학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전기비저항 탐사는 RMR과 20% 내외의 낮은 상관성을 가지는데 이는 단층파쇄대와 같은 저비저항 이상대가 역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상관관계 분석시 신선한 암반, 절리파쇄대, 단층파쇄대로 그룹을 분리하여 상관성을 분석하면 신뢰성 있는 상관식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aba bean 가루 및 녹말의 열역학적 특성과 물리화학적 특성 (Thermal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aba bean (Vicia faba L.) flour and starch)

  • 김희윤;최요한;조은정;백무열;최현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9-414
    • /
    • 2020
  • 시중에 분쇄된 상태로 판매되는 CFBF와 faba bean 원물을 직접 분쇄하여 제조한 FBF, 그리고 분쇄한 faba bean 가루에서 알칼리 추출법으로 추출한 FBS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FBS의 녹말 입자는 타원형에 표면에 갈라짐이 있으며 CFBF와 FBF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입자를 보였다. FBS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해도와 겉보기 점도를 보여주었다. CFBF와 FBF는 호화 특성을 나타내지 못한 반면 FBS는 비교적 낮은 trough와 높은 setback값의 호화 특성을 보여주어 차이를 나타냈다. FBS의 호화 엔탈피는 12.9 J/g으로 CFBF와 FBF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대결정화도에서도 역시 FSB가 CFBF와 FBF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CFBF와 FBF는 여러 실험들의 결과에서 서로 크게 차이 나지 않고 비슷한 경향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나 FBS는 CFBF, FBF와는 크게 다른 물리화학적 특징들을 보였다. 이는 서로 다른 단백질 함량 때문이라 판단된다. FBS는 녹말 추출을 위하여 NaOH 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제거하여 단백질 함량이 CFBF, FBF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고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 중 녹말의 변화가 있으며 CFBF와 FBF의 단백질은 녹말과 수분의 반응에 관여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되었다. 한국에서는 faba bean 가루와 녹말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지 않은데 이 연구의 결과는 식품산업에 faba bean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냉동오디의 이화학적 특성과 건조조건을 달리한 오디 분말을 첨가한 베이글의 품질과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ozen Mulberry Fruit and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agel with Different Drying Conditions of Mulberry Powder)

  • 이민애;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0-51
    • /
    • 2013
  • 본 연구는 냉동오디를 냉동건조와 열풍건조 방법으로 건조 후 분말화하여 건강 기능성 빵인 베이글 레시피에 0%(control), 1%, 3%, 5%, 7%를 첨가하여 만들었다. 우리는 냉동오디의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베이글 pH는 냉동건조오디분말 첨가군 보다 열풍건조오디분말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명도(L값)와 황색도(b값)는 냉동건조오디분말 첨가군 보다 열풍건조오디분말 첨가군의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a값)는 냉동건조오디분말을 첨가했을 때가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했을 때보다 적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Hardness)는 냉동오디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한 베이글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탄력성(Elasticity)은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한 베이글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냉동건조오디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응집성(Cohesivness)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검성(Gumminess)은 냉동건조오디분말과 열풍건조오디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냉동건조오디분말 5%를 첨가군과 열풍건조오디분말 3% 첨가군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 PDF

곶감추출물 첨가비율에 따른 곶감젤리의 품질 (Quality of Persimmon Jelly by Various Ratio of Dried Persimmon Extract)

  • 김준한;김종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91-1097
    • /
    • 2005
  • 곶감추출물용액의 첨가비율(5, 10, 15 ,20 및 $25\%$)에 따른 곶감젤리 제품의 수분은 $6.74\~14.03\%$, 조단백질은 $6.83\~7.53\%$, 조회 분은 $2.61\~13.21\%$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젤리제품의 수분활성도는 $0.678\~0.748$수준이었으며, 당도는 $56.66\~76.59$ 수준으로, pH는 $5.30\~5.38$범위로, 적정산도는 $0.06\~0.09\%$수준이었다 곶감추출물용액의 첨가량 증가는 젤리제품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값을 높여주었다. 유리 당으로 maltose가 $753\~1,297mg/100g$의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Malic acid는 $25\%$ 곶감추출물용액을 첨가한 젤리 제품에 263mg/100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K은 $69.64\~154.37mg/100g$으로 곶감젤리제품의 주요 무기질로서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곶감추출물용액의 첨가는 곶감젤리 제품의 씹힘성, 뭉치는 성질 등을 감소시 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색은 $15\%$ 곶감젤리 제품이 4.35로, 맛에서는 $10\%$ 곶감젤리 제품이 4.39로, 향미에서는 $15\%$ 곶감젤리 제품이 4.57로, 조직감은 $15\%$ 곶감젤리제품이 4.43으로 높은 관능적 점수를 얻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의 경우는 $10\%$ 곶감젤리제품이 4.29로 가장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곶감젤리제조에 있어 $10\~15\%$ 곶감추출물용액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우레탄기를 포함하는 벤조퀴논/디아민 중합체의 합성과 특성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Urethane Group Containing Benzoquinone /Diamine Polymers)

  • 김준호;노시태;김동국;이치규
    • 공업화학
    • /
    • 제4권4호
    • /
    • pp.814-822
    • /
    • 1993
  • 용해성과 접착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우레탄 그룹을 함유하는 디아민-퀴논 중합체를 합성하고 특성분석을 행하였다.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저분자량의 디올을 반응시켜 NCO말단 프리폴리머를 합성한 다음 NCO그룹을 아민으로 변화시켜 우레탄기를 함유하는 디아민을 제조하였다. 이때 NCO/OH몰 비율을 1.2에서 2.1까지 변화시켜 디아민 분자량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디아민기를 함유하는 프리폴리머를 p-벤조퀴논과 반응시켜 디아민-벤조퀴논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중합체의 분석에는 분광분석기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자구조 분석과 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용해도와 열적 거동도 측정 검토하였다.

  • PDF

품종을 달리한 오디즙 첨가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from Different Breeds)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7
    • /
    • 2012
  • 본 연구는 품종이 다른 오디즙(청일뽕, 과상2호)을 샐러드 드레싱에 첨가(0, 10, 20, 30%)하여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샐러드 드레싱의 pH는 오디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과상 2호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점도와 당도는 오디즙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은 대조군이 15.60%였으며 오디즙 첨가군이 19.73~50.83%으로 더 높았으며 과상 2호 첨가군이 청일뽕 첨가군보다 DPPH 전자공여능이 더 높았다. 오디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낮아졌으나 적색도 a값은 높아졌다. 관능검사 결과 오디즙 30%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샐러드와의 조화도에서도 30% 첨가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으로 과상2호 오디즙 30%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 PDF

유기성 폐기물의 발생 악취 제거를 위한 Delftia sp.의 성장조건 최적화 (Growth Optimization of Delftia sp. for the Odor Control of Organic Waste)

  • 권혁구;정준오;추덕성;이장훈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93-401
    • /
    • 2009
  • We isolated and identified a microorganism which was excellent for ammonia oxidation in the biological control of ammonia gas in odor producing materials from organic composting. The isolated strain was tested for growth characteristics and ammonia elimination efficiency under various conditions of temperature, pH, carbon concentration and ammonia concentration. The strain was isolated from a culture broth used in a $NO_2$ producing test with Griess-Ilosvay reagent. The results of 16S rRNA sequence from the isolated strain by using BLANST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and confirming RDP (Ribosomal Database Project II) and ERRD (The European Ribosomal RNA Database) indicate that the strain is related to Delftia sp. UV-Spectrophotometer (Shimadzu, UVmini-1240) was used as a microbial growth test by measuring turbidity on OD660nm and ammonia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HACH, DR-4000). The optimum growth culture conditions of the ammonia oxidizer Delftia sp. were $30^{\circ}C$, pH 7, glucose concentration 1.00% and $(NH_4)_2SO_4$ 0.5 g/l. Ammonia elimination efficiency was over 94% under the same conditions.

Sphericity Optimization of Calcium Alginate Gel Beads and the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ir Physical Properties

  • Woo, Jin-Wook;Rob, Hye-Jin;Park, Hyun-Duck;Ji, Cheong-Il;Lee, Yang-Bong;Kim, Seon-B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15-721
    • /
    • 2007
  • In this study, the sphericity of calcium alginate gel beads was optimiz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um conditions for bead sphericity were a concentration of 2.24% sodium alginate, a flow rate of 0.059 mL/sec for the sodium alginate solution, and a 459 rpm rotation for the calcium chloride solution. The predicted and experimental bead sphericities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were 94.5 and 96.7%, respectively, showing close agreement. We also investigated the processing condition effects f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ptimized calcium alginate gel beads. Immersion in hot water slightly decreased bead size and rupture strength. NaCl treatment increased bead size and decreased rupture strength. While the pH of the calcium chloride solution had little effect on bead sphericity, the bead sizes and gel strengths decreased with longer times in each pH solution. The beads coated with pectin and glucomannan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sphericity, but their sizes decreased with time. The coated beads showed higher rupture strengths than the uncoated beads.

갈변억제제 처리가 신선 절단 딸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wning Inhibitors on Quality Property of Fresh-Cut Strawberries)

  • 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6-30
    • /
    • 2012
  • 신선절단 딸기의 품질유지에 유효한 갈변억제제의 사용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원형 딸기를 절단하고 1% 농도의 ascorbic acid, citric acid,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의 단용 또는 혼용 처리, 포장 및 보관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장 내부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혼용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고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갈변도는 혼용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magnesium chloride 단용 처리구에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과육경도의 감소는 sodium chloride나 magnesium chloride 단용 처리구에서 다소 억제됨을 보였으나 혼용 처리구에서 보다 더 억제되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pH는 갈변억제제 처리의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로써, ascorbic acid, citric acid,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의 혼용 처리는 신선절단 딸기의 갈변과 연화 억제를 통한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