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s for sodium intake reduc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초

지자체의 나트륨 섭취 감소 계획 평가 및 근거 기반 목표 재설정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the sodium intake reduction plan for a local government and evidence-based reestablishment of objectives: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임아현;황지윤;김기랑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6호
    • /
    • pp.664-678
    • /
    • 2017
  • 문헌 고찰을 통한 국내외 나트륨 정책 현황 및 나트륨 섭취량, 서울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나트륨 섭취 감소 프로그램의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의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한 나트륨 섭취 추이, 인구학 사회경제적 특성 및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 자료분석, 전문가 안면 타당도 평가 결과를 통한 서울시 나트륨 섭취 저감화 계획 목표 재설정 및 프로그램 우선 순위와 대상자 선정은 다음과 같다. 나트륨 저감화 전략에 따른 각 국가의 나트륨 섭취 감소율을 분석한 결과 전년도 대비 약 1.0 ~ 2.0%씩 감소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5.3%의 감소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서울시 나트륨 섭취 저감화 정책 목표는 연간 나트륨 섭취량 감소율 2.7%와 서울시 나트륨 저감화 사업의 확대 계획을 고려하여 2.0%로 연간 감소율을 적용하는 것으로 하여 2020년에는 약 3,600 mg의 나트륨 섭취량을 목표로 재설정하였다. 서울시에서 수행하고 있는 나트륨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을 생태학적 프레임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생태학적 프레임에서 제안하고 있는 개인적,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거시적 환경 수준들이 프로그램에 포함되고 있었으나 각 프로그램들은 대상자에 따라 수준별로 연계가 되어 있지 못하였고, 주로 단편적이고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각 자치구별로 공통되고 표준화된 프로그램은 없었다. 따라서 선택과 집중을 기반으로 하여 대상자별로 각 수준들이 연계되어 표준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우선순위 대상자는 성별에서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연령대에서는 30 ~ 50대 성인, 소득수준에서는 저소득층이었고,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중에서는 과일 섭취량이 적은 군이 전반적으로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특성을 가져 과일 섭취에 대한 식행동 변화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분석, 서울시 나트륨 섭취 현황 및 고 나트륨 섭취 대상자 특성 분석, 전문가 대상 안면 타당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나트륨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우선순위 대상자는 성인 남성으로서 프로그램의 전략 방향은 생태학적 프레임을 적용하여 이들이 주로 생활하는 생활 터인 직장, 가정, 음식점에서의 나트륨 섭취 환경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수준별로 연계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가정과 음식점에서는 성인 남성의 나트륨 섭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부와 조리 종사자도 프로그램 주요 대상자로 선정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나트륨 섭취량의 목표치와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우선순위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효과평가를 통하여 업데이트가 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생태학적 프레임에 적용된 나트륨 섭취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나트륨 섭취 저감화 정책 및 프로그램의 지속성과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타 기관 및 부서에서 수행되고 있는 관련 프로그램과의 연계와 협의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Early adulthood: an overlooked age group in national sodium reduction initiatives in South Korea

  • Park, Sohyun;Lee, Jounghee;Kwon, Kwang-Il;Kim, Jong-Wook;Byun, Jae-Eon;Kang, Baeg-Won;Choi, Bo Youl;Park, Hye-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6호
    • /
    • pp.719-723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South Korean's sodium consumption level is more than twice the upper limit level suggested by the WHO. Steep increases i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 necessitate more effective sodium reduction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sodium intake-related eating behaviors and key psychosocial factors according to age group and gender. SUBJECTS/METHODS: Using an online survey, a total of 1,564 adults (20-59 years old) considered to be geographically representative of South Korea were recruited and surveyed. The major outcomes were perceived behaviors, knowledge, intentions, and self-efficacy related to sodium intake.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behavior and level of self-efficacy related to low sodium consumption differed by age and gender. Female participants showed better behavior and intention towards low sodium intake than male counterparts. Young participants in their 20s showed the lowest intention to change their current sodium intake as well as lowest self-efficacy measures. CONCLUSIONS: Future sodium reduction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with tailored messages targeting different age and gender groups. Specifically, interventions can be planned and implemented at the college level or for workers in their early career to increase their intention and self-efficacy as a means of preventing future health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igh sodium intake.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 급원 음식 및 섭취 양상 - 2008-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 -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 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

  • 연미영;이윤나;김도희;이지연;고은미;남은정;신혜형;강백원;김종욱;허석;조해영;김초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3-487
    • /
    • 2011
  • We attempted to define the sources of sodium intake for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sustainable nutrition policies and feasible programs for sodium intake reduction. Dietary intake data from 2008 and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used in the analysis for sodium intake sources. Sodium intake from individual dish consumed by each subject was calculated and used in delineating major sodium sources at dish and dish group level for sub-populations of different sex and age. Also, sodium intake was compared between eaters and non-eaters of some specific dish groups with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otal sodium intake. The number of subject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18,022 and mean sodium intake was 4,600 mg/capita/day.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at dish group level were in the following order: kimchi (1125 mg, 24.5%), noodles (572 mg, 12.4%), soups (488 mg, 10.6%), stews (399 mg, 8.7%), and cooked rice (284 mg, 6.2%). The magnitude of contribution to total sodium intake by soups and stews was different by age group. Sodium intake difference between eaters and non-eaters was much larger for kimchi group (2,343 mg for male, 1,452 mg for female) than for soups or stews. Interaction between consumption of aforementioned specific dish groups and age was highly significant (p < 0.0005) for both sexes. This study revealed an importance of having not only the control over sodium content of foods/dishes, but also the customized approach for different groups of population to accomplish an appreciable reduction in sodium intake.

Educating restaurant owners and cooks to lower their own sodium intake is a potential strategy for reducing the sodium contents of restaurant foods: a small-scale pilot study in South Korea

  • Park, Sohyun;Lee, Heeseung;Seo, Dong-il;Oh, Kwang-hwan;Hwang, Taik Gun;Choi, Bo Youl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6호
    • /
    • pp.635-640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 sodium reduction program at local restaurants through nutrition education and examination of the health of restaurant owners and cooks.SUBJECTS/METHODS: The study was a single-arm pilot intervention using a pre-post design in one business district with densely populated restaurants in Seoul, South Korea. The intervention 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through education, health examination, and counseling of restaurant personnel. Forty-eight restaurant owners and cooks completed the baseline survey and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Forty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st-intervention survey. RESULTS: The overweight and obesity prevalences were 25.6% and 39.5%, respectively, and 74.4% of participants had elevated blood pressure. After health examination, counseling, and nutrition education, several nutrition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showed improvement. In addition, those who consumed less salt in their baseline diet (measured with urine dipsticks) were more likely to agree that providing healthy foods to their customers is necessar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tential to reduce the sodium contents of restaurant foods by improving restaurant owners' and cooks'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ir own health behaviors. CONCLUSIONS: This small pilot study demonstrated that working with restaurant owners and cooks to improve their own health and sodium intake may have an effect on participation in restaurant-based sodium reduction initiatives. Future intervention studies with a larger sample size and comparison group can focus on improving the health and perceptions of restaurant personnel in order to increase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restaurant-based sodium reduction programs and policies.

서울시 일부 지역 주부의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사회인지이론 기반의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Low Sodium Consumption among Housewives Living in Certain Regions of Seoul)

  • 백재연;이해연;황지윤;김기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243-125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일부 지역 주부 140명을 대상으로 사회 인지론을 적용하여 개발된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나트륨 섭취 관련 지식 및 인식, 환경 인식, 식행동을 조사하여 교육 전후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나트륨 섭취 관련 지식 및 인식 항목에서는 하루 필요 소금 섭취량에 대해 인지하는 비율이 교육 후 77.8%로 교육 전보다 54.6%가 증가하였다. 교육 후 싱거운 쪽의 음식의 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 변화한 대상자는 25.6%였다. 대부분 대상자들은 식생활에서 저염 섭취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싱겁게 조리된 음식을 제공할 시 선택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아 저염 섭취를 위한 환경적 요인이 향상된다면 저염섭취에 대한 자아효능감에 해당하는 개인적 수준의 영역이 높아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나트륨 섭취 관련 환경 항목에서는 대상자의 약 2/3가 교육 전 저염식을 먹을 수 있는 곳을 찾아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나, 교육 후 찾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변화된 대상자는 23.6%로 증가하였다. 교육 후 서울 시내에서 저염 음식점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70.0% 이상이었으나, 저염식을 섭취 시 주변에서 먹을 수 있는 곳을 찾는 것은 대체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93.5%).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항목에서 교육 전후로 효과가 있었던 항목은 식품의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나트륨이 적은 식품을 선택, 저염 제품 등 나트륨이 적은 식품을 구매, 조리 시 소금의 사용량을 줄이고 마늘, 생강, 고춧가루 등 천연재료를 사용, 패스트푸드(햄버거, 피자 등) 및 가공식품의 섭취 감소 항목으로 직접적인 저염 실천 행동에서의 개선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 요인과 관련된 식행동인 짜지 않게 조리 요청 여부와 저염 제품 및 건강음식점 소개 여부 항목에서는 행동 변화율이 낮았다. 향후 본 연구에서 수행된 저염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하기 위하여 저염 섭취를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과 병행하여 환경 인식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대상자가 지속해서 저염 섭취를 위한 행동 변화들이 유지될 수 있는 영양교육 내용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금 섭취 행태와 혈압: 맛에 대한 민감도와 선호도의 영향 (Salt Intake Behavior and Blood Pressure: the effect of taste sensitivity and preference)

  • 김진희;최만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837-848
    • /
    • 2007
  • The literature suggested that a small reduction in overall blood pressure can have a large effect on overall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therefore, the affect of taste preferences of the population on salt intake should be considered for long-term blood pressure interven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alt taste preference and salt taste sensitivity on salt intake behavior as risk factors for high blood pressure. We collected information on blood pressure, diet and lifestyle behaviors, salt taste preference and salt taste sensitivity from 540 respondents from Suseo-dong, Seoul. Salt taste sensitivity was assessed by administering a 1% NaCl solution to the subject's tongue and measuring the perceived intensity on 10 level scale. Salt intake behavior was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frequency of high-sodium foods, practice of salt-reducing behavior and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intake. Salt taste preference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the subjects' blood pressure, i.e. subjects with a higher salt preference had higher blood pressure. Salt taste sensitiv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 to blood pressure. Howev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lt taste preference and salt taste sensitivity. Among the 3 indicators used to measure salt intake behavior, the practice of salt-reducing behavior remained significantly correlated to blood pressure. Moreover, salt-reducing behavior and salt taste preferen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e. people who do not like salty foods tend to practice more salt-reducing behavior, leading to reduced levels in blood pressure. In a population, a small reduction in overall blood pressure can have large effects in overall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contrast to clinical studies where achievement of an individual's normal blood pressure is emphasized. Therefore, taste preference of the popul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long-term blood pressure intervention programs.

직장인 대상 저염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Salt Reduction Program for Employees)

  • 김현희;신은경;이혜진;이난희;천병렬;안문영;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4호
    • /
    • pp.350-357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시 8개 병원과 사업체에 근무하는 직장인 251명을 대상으로 교육집단 166명, 비교육집단 85명으로 나누어 5주간 저염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염화 교육프로그램 실시 결과 교육전 두 집단간의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치에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후 교육집단의 경우 미각판정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01). 또 한 교육 후 영양지식, 짜게 먹는 식태도 및 식행동이 비교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집단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 < 0.001). 2) 교육집단에서 24시간 소변 수집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은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외식 빈도가 잦을수록, 외식비가 높을수록 짜게 먹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각판정치와 짜게 먹는 식행동 및 식태도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짜게 먹는 식태도와 나트륨 섭취량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식태도가 나쁠수록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저염화사업 성과평가 지표 분석 (Analysis by Delphi Survey of a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or a Salt Reduction Project)

  • 김현희;신은경;이혜진;이난희;천병렬;안문영;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86-49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저염화 사업의 성과 평가 지표의 현황을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저염화 사업 성과 평가지표의 적절성 및 측정방법의 타당도와 수행용이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염화 사업 성과 평가지표로는'소금 섭취량',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 '싱겁게 먹는 인구 비율', '나트륨 감소법 인지율', '가공식품 구입시 영양표시 정보 확인율', '국의 염도 감소율', '저염 실천하는 모범음식점 증가율', '참가자 만족도', '소금 판매량', '뇌졸중 사망률'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2) 델파이 조사 결과, 저염화사업 성과 평가지표로서 영양학적 평가지표로는 1일 소금 섭취량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과 싱겁게 먹는 인구 비율 등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학적 지표로는 뇌졸중 사망률과 위암사망률이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학적 성과 지표 측정방법 중 24시간 소변 수집법이 타당성은 가장 높았으나, 수행용이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짜게 먹는 식태도 조사 방법이 수행용이성이 가장 높았으며, 짜게 먹는 식행동 조사와 미각판정 방법이 수행용이성이 그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영양학적 성과지표 측정방법의 타당성과 수행용이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이들의 평균 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순위를 비교하였을 경우 식행동 조사와 식태도 조사가 1, 2순위로 가장 높았고 음식섭취빈도 조사, 미각판정법이 그 다음 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미각판정법의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5개의 시료 농도별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 결과 남자의 경우 검사자간 판정 결과의 상관계수가 0.774 (p < 0.01)였으며, 여자의 경우도 0.781 (p < 0.01)로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검사자내 신뢰도 조사에서는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 결과 남자의 경우 첫 번째, 두 번째 판정결과에 대한 상관계수가 0.591 (p < 0.01), 여자의 경우 0.399 (p < 0.01)로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여주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델파이 조사를 1회 실시한 것이 한계점이라할 수 있으나, 이제 막 저염화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저염화 사업의 성과 평가지표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싱겁게 먹는 인구비율은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과 함께 보건소 단위에서 저염화 사업을 할 때 특히 교육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저염화 사업에서 이 지표의 적합성 여부를 살펴보기 위한 실질적인 적용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지 못하였으나, 미각판정 도구의 농도에 대한 선호도와 강도를 점수화하여 판정과정과 결과 판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개발함으로써 미각판정법의 표준화를 확보하는 추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