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on decline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6초

경상북도 골재수요-공급 관리 전략 연구 (Study on the Strategy for Managing Aggregate Supply and Demand i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 이진영;홍세선;백철승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2호
    • /
    • pp.161-175
    • /
    • 2024
  • 골재는 일반적으로 암석이 강에서 운반되거나 인공적으로 파쇄되어 형성된 모래와 자갈 등을 말하며, 건설 산업의 핵심 자원이다. 경상북도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행정구역으로, 산림골재, 육상골재, 하천골재, 선별파쇄골재 등 다양한 종류의 골재를 생산하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약 696 만m3의 골재를 채취하였으며, 이 중 허가에 의한 채취물량은 약 407 만m3, 신고물량은 약 288 만m3이다. 경상북도의 골재수요는 레미콘 공급량의 추정 방법에 따라 1,239 만m3로 나타난다. 골재의 공급 측면에서는 약 120 개의 채취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군에서는 골재의 수요와 공급이 적절하게 유지되고 있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경상북도 인접지역에 반입과 반출이 발생하고 있다. 경상북도의 골재의 반입과 반출이 많은 지역은 경부선을 따라 경상북도 남부와 대구광역시, 포항시로 연결되는 지역이며 인구의 분포와 높은 관련성이 나타난다. 경상북도는 인구 감소와 농촌 지역의 고령화, 지역 간의 균형 발전 부족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연구결과로 제시된 GIS를 이용하여 출발지-도착지 분석을 통해 파악된 골재의 수요와 공급 흐름에서도 이러한 양상이 확인된다. 경상북도의 골재산업구조와 공간구조를 분석한 결과 현재 경상북도는 다양한 골재원의 공급으로 수요를 충족하고 안정적인 골재 수급이 유지되고 있다. 하천골재와 육상골재는 장기적인 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단기간 공급전략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선별파쇄를 통한 공급은 원석 공급에 의존하여 안정성 유지가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여 원석관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경상북도에서는 골재자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장기적인 대안으로 산림골재가 중요 자원으로 부각되어 대규모 골재 채석장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골재 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안정적 활용을 위한 전략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잔디 예지물의 혐기소화에서 사일리지 저장기간이 메탄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age storage period of grass clippings on methane production by anaerobic digestion)

  • 여진;김태희;김창규;이서영;윤영만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4호
    • /
    • pp.13-2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초본계 바이오매스인 잔디 예지물의 혐기소화 원료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잔디 3종 (Poa pratensis, PP; Zoysia japonica, ZJ; Agrostis stolonifera, AS)의 생화학적 메탄퍼텐셜을 측정하였으며, 사일리지 저장기간 (0, 30, 60, 90, 120, 180일)에 따른 잔디 예지물 (PP)의 생화학적 메탄퍼텐셜 변화를 분석하여 사일리지 저장기간이 잔디 예지물의 혐기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Parallel first-order kinetics model에 의한 생화학적 메탄퍼텐셜 (Bu-P)은 PP, ZJ, AS에서 각각 0.330, 0.297, 0.261 Nm3/kg-VSadded이었으며, PP의 잔디 예지물이 메탄생산을 위한 혐기소화 원료로서 가장 적합하였다. PP의 잔디 예지물 사일리지의 Bu-P는 저장기간 0일 0.269 Nm3/kg-VSadded에서 저장기간 180일 0.217 Nm3/kg-VSadded로 약 19% 감소하였다. 또한, 잔디 예지물 사일리지 저장기간 0일에 NDF, ADF, BP 함량은 각각 67.59, 39.68, 3.02%인 반면, 180일에는 각각 77.12, 54.65, 6.24%로 나타나 저장기간 180일에 잔디 예지물 사일리지에서 세포벽 구성 물질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잔디 예지물을 효율적으로 혐기소화 하기 위해서는 사일리지 저장 방식 외에도 사일리지 제조과정에서 초기 수분함량, 효소 또는 알칼리 처리와 같은 전처리 방법, 잔류 농약에 의한 혐기소화 저해 영향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착유 시간 및 유처리 공정이 우유 내 멜라토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lking Time and Dairy Processes on Melatonin Contents in Milk)

  • 강신호;백승천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4
    • /
    • 2008
  • 본 연구는 숙면 유도 호르몬으로 알려진 멜라토닌의 원유 및 유제품 내 함량을 방사면역측정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유 시간에 따른 멜라토닌 함량은 새벽 4시에 착유한 원유 샘플의 멜라토닌 함량이 평균 $6.90{\pm}3.55pg/mL$로 나타났으며, 저녁 7시 및 낮 12시 착유 원유 샘플은 각각 $2.01{\pm}1.47pg/mL$$0.16{\pm}0.04pg/mL$로 나타나 새벽 착유 원유 내 멜라토닌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로봇 착유기를 사용하는 농가에서도 심야 및 새벽 착유 원유에서 멜라토닌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2개 목장 모두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 일반 우유 제품과 나이트 밀크 제품 간 멜라토닌 함량비교 시, 나이트 밀크의 멜라토닌 함량이 약 5배 정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3. 일반 우유를 대상으로 원유, 균질 및 살균 등의 공정이 멜라토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수준은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 PDF

Objectively Predicting Ultimate Quality of Post-Rigor Pork Musculature: II. Practical Classification Method on the Cutting-Line

  • Joo, S.T.;Kauffman, R.G.;Warner, R.D.;Borggaard, C.;Stevenson-Barry, J.M.;Rhee, M.S.;Park, G.B.;Kim, B.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77-85
    • /
    • 2000
  •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assessing method of pork quality, 302 carcasses were selected randomly to represent commercial conditions and were probed at 24 hr postmortem (PM) by Danish Meat Quality Marbling (MQM), Hennessy Grading Probe (HGP), Sensoptic Resistance Probe (SRP) and NWK pH-K21 meter (NpH). Also, filter paper wetness (FPW), lightness (L*), ultimate pH (pHu), subjective color (SC), firmness/wetness (SF) and marbling scores (SM) were recorded. Each carcass was categorized as either PSE (pale, soft and exudative), RSE (Reddish-pink, soft and exudative), RFN (reddish-pink, firm and non-exudative) or DFD (dark, firm and dry). When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to sort carcasses into four quality groups the highest proportion of correct classes was 65% by HGP, 60% by MQM, 52% by NpH and 32% by SRP. When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mbined to sort carcasses into groups the success was only 67%. When RSE and RFN groups were merged so that there were only three groups (PSE, RSE+RFN, DFD) differentiating by color MQM was able to sort the same set of data into the new set of three groups with 80% accuracy. The proportions of correct classifications for HGP, NpH and SRP were 75%, 61% and 35% respectively. There was a decline in predication accuracy when only two groups, exudative (PSE and RES) and non exudative (RFN and DFD) were sorted. However, when two groups designated PSE and non-PSE (RSE, RFN and DFD) were sorted then the proportion of correct classification by MQM, HGP, SRP and NpH were 87%, 81%, 71% and 66% respectively. Combinations of variables only increased the prediction accuracy by 1 or 2% over prediction by MQM alone. When the data was sorted into three marbling groups based on SM this was not well predicted by any of the probe measurements. The best prediction accuracy was 72% by a combination of MQM and NpH.

Effects of Enzyme Addition to Broiler Diets Containing Varying Levels of Double Zero Rapeseed Meal

  • Ramesh, K.R.;Devegowda, G.;Khosravinia,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9호
    • /
    • pp.1354-1360
    • /
    • 2006
  • Maize-soybean meal diets with 0, 100, 200 and 300 g/kg double zero rapeseed meal ('00' RSM) with and without an enzyme mixture (xylanase, pectinase, cellulase) at a level of 1.6 g/kg were evaluated with 624 day-old broiler chicks for 5 weeks. The bird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ght dietary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es of 26 birds each.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intake (FI) were recorded weekly and ileal viscosity, organ weights, serum enzyme activity, hormonal profile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at the end of week 5. Average daily gain during the weekly period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ietary level of '00'RSM (p<0.01). Inclusion of '00' RSM improved the ADG up to day 28 with the increased level; beyond that time no improvement was recorded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s. However, ADG from 1-35 day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300 g/kg inclusion level of '00' RSM and the control diet. Inconsistent decline 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was observed up to day 21 and the trend was reversed thereafter. The proportion of '00' RSM in the diet had a significant ($p{\leq}0.05$) influence on thyroid weight but had no effect on the relative weights of liver and heart, serum enzyme activities (${\gamma}$-glutamyl transferase, alanine amino transferase and aspartate amino transferase), thyroid hormones ($T_3$ and $T_4$), hemoglobin level and hematocrit. Significant improvement in ADG was recorded during the 2nd week of age with the addition of enzyme, whereas for all other periods, including the whole period of the trial, higher but non-significant ADG was observed. FI and FCR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enzyme but there was a numerical reduction in FCR during the whole period. The addition of enzyme reduced the ileal viscosity at all levels of '00' RSM i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00' RSM can be included up to 300 g/kg in broiler diet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health and performance. The addition of commercial enzyme mixture containing xylanase, pectinase, cellulase to broiler diets containing '00'RSM has some effect on growth rate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국내회사와 다국적기업 제조 ELISA 키트의 전염성 기관지염 백신에 따른 항체 검출능 비교 (Development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BV) ELISA Kit for Detection of Antibodies against Nephropathogenic IBV Vaccine)

  • 김규직;김준영;윤하나;주효선;이다예;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28
    • /
    • 2018
  • 전염성기관지염은 전세계적으로 양계산업에 문제시되고 있는 질병으로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Dhama et al., 2014). 본 연구는 전염성기관지염 백신을 진행한 여러 계군의 혈청을 수집해 국내회사와 다국적기업에서 제조한 ELISA 키트의 검출능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육용원종계부터 산란계까지 총 35개의 계군으로부터 주기적인 채혈을 통해 얻어진 혈청을 사용해 두 가지 키트의 검출능 비교시험을 진행한 결과, 국내회사에서 제조된 ELISA 키트가 더 높은 항체가를 나타냈으며, 이는 미량의 항체도 국내회사 제조 키트를 사용하게 되면 더욱 민감하게 검출될 수 있으며, 농장의 상황 판단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비추어 보았을 때,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전염성기관지염에 맞춰 제작된 국내회사 제조 키트가 더 검출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기적인 혈청을 이용한 항체가 검사 결과 전염성기관지염 백신 후 항체가 변화 추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Influence of Ionophor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Dietary Energetic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Cattle during Period of Heat Stress

  • Barreras, A.;Castro-Perez, B.I.;Lopez-Soto, M.A.;Torrentera, N.G.;Montano, M.F.;Estrada-Angulo, A.;Rios, F.G.;Davila-Ramos, H.;Plascencia, A.;Zinn, 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1호
    • /
    • pp.1553-1561
    • /
    • 2013
  • Forty-eight crossbred heifers ($378.1{\pm}18$ kg) were used in a 56-d feeding trial (four pens per treatment in a randomised complete block design)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onophor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dietary energetic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cattle during a period of heat stress. Heifers were fed a diet based on steam-flaked corn (2.22 Mcal $NE_m/kg$) with and without an ionophore. Treatments were: i) control, no ionophore; ii) 30 mg/kg monensin sodium (RUM30); iii) 20 mg/kg lasalocid sodium (BOV20), and iv) 30 mg/kg lasalocid sodium (BOV30). Both dry matter intake (DMI) and climatic variables were measured daily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index (THI) was estimated. The maximum THI during the study averaged 93, while the minimum was 70 (THI average = $79.2{\pm}2.3$). Compared to controls, monensin supplementation did not influence average daily gain, the estimated NE value of the diet, or observed-to-expected DMI, but tended (p = 0.07) to increase (4.8%) gain to feed. Compared to controls, the group fed BOV30 increased ($p{\leq}0.03$) daily gain (11.8%), gain to feed (8.3%), net energy of the diet (5%), and observed-to-expected DMI (5.2%). Daily weight gain was greater (7.6%, p = 0.05) for heifers fed BOV30 than for heifers fed MON30. Otherwi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reatments in DMI, gain to feed, and dietary N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1). Plotting weekly intakes versus THI, observed intake of controls was greater (p<0.05) at THI values ${\leq}77$ than ionophore groups. When THI values were greater than 79, DMI of control and MON30 were not different (p = 0.42), although less than that of groups fed lasalocid (p = 0.04). Variation in energy intake was lower (p>0.05) in the ionophores group (CV = 1.7%) than in the control group (CV = 4.5%). Inclusion of ionophores in the diet resulted in relatively minor changes in carcass characteristics. It is concluded that ionophore supplementation did not exacerbate the decline of DM intake in heat-stressed cattle fed a high-energy finishing diet; on the contrary, it stabilised feed intake and favoured feed efficiency. Ionophore supplementation reduced estimated maintenance coefficients around 10% in finishing cattle during a period of heat stress. This effect was greatest for heifers supplemented with 30 mg lasalocid/kg of diet.

In vitro stability evaluation of coated lipase

  • Liu, Lu Jie;Zhu, Jia;Wang, Bin;Cheng, Chu;Du, Yong Jie;Wang, Min Q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192-197
    • /
    • 2017
  • Objectiv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commercial coated lipase (CT-LIP) in vitro. Methods: The capsules were tes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with a range of temperature, pH, dry heat treatment and steaming treatment, simulated gastric fluid (SGF) and simulated intestinal fluid (SIF) in this work, respectively. Free lipase (uncoated lipase, UC-LIP) was the control group. Lipase relative activities measured in various treatments were used as a reference frame to characterize the stability. Results: The lipase activiti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p<0.05), and there was a markedly decline (p<0.01) in lipase comparative activities of UC-LIP at $80^{\circ}C$ compared with CT-LIP group. Higher relative activities of lipase were observed in CT-LIP group compared with the free one under acidic ambient (pH 3 to 7) and an alkaline medium (pH 8 to 12). Residual lipase activities of CT-LIP group were increased (p<0.05) by 5.67% and 35.60% in dry heat and hydrothermal treatments, respectively. The lipase relative activity profile of CT-LIP was raised at first and dropped subsequently (p<0.05) compared with constantly reduced tendency of UC-LIP exposed to both SGF and SIF.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T-LIP possesses relatively higher st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UC-LIP in vitro. The CT-LIP could retain the potential property to provide sustained release of lipase and thus improved its bioavailabilit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산란노계의 인공수정에 있어서 적정주정간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Insemination Interval in Aged Egg-Type Fowl)

  • 이재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96
    • /
    • 1983
  • 본시험은 산란노계의 인공수정에 있어서의 적정주정간격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580일령 백색레그혼 수탉 20수, 530일령 갈색실용산란계암탉 120수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기간중의 평균산란율은 61.6%이었고 공시란은 2,283개이었다. 주정간격 T$_1$ 2일, T$_2$, 4일, T$_3$ 6일의 3개 처리구를 설정하여 혼합정액을 1회 0.03$m\ell$씩 주입하였다. 6일마다 알을 수집, 부화 5일만에 투시검란하였던 바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시험기간중의 주정간격별 평균수정율은 T$_1$(2 일) 87.5%, T$_2$(4 일) 81.1%, T$_3$(6 일)65.1%로서 T$_1$과 T$_3$, T$_2$와 T$_3$ 사이에 5% 수준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주정후의 일별수정율의 평균은 각구 모두 주정 후 제2일이 가장 높아서 T$_1$, 90.7%, T$_2$, 84.0%, T$_3$, 71.7%이었으며, 그 이후는 점진적으로 조금씩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시험결과를 종합컨대 노산란계에 있어서의 적정주정간격은 2일이라 하겠으며, 전반적으로 주정회수를 거듭함에 따라 수정율이 점증하였는데 2일간격 주정의 경우 최고수준의 수정율(98.2%)에 도달하는 주정회수는 6회차 이었다.

  • PDF

저온저장 음나무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 유도와 식물체 재생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cold-stored embryogenic callus of K. septemlobus)

  • 이나념;최용의;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88-395
    • /
    • 2015
  • 본 연구는 약용 및 식용으로 유망한 음나무의 대량생산 및 생식질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배발생 조직을 재료로 저온저장 기간별 SE 유도 및 식물체 재생을 시험하였다. 배발생 캘러스는 저온저장 6개월까지 정상적인 체세포배 형성이 가능하였으나 유도 빈도는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발생능이 가장 좋은 ZE 10 세포주은 체세포배 유도 빈도에 있어 저장 기간에 따른 감소폭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세포배의 발아 및 식물체 재생은 캘러스의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발아율은 93% 이상, 식물체 재생율은 91% 이상으로 저온저장에 따른 큰 문제는 없었다. 조직검경 결과 저장 기간에 따라 세포의 갈변화 및 활력 저하가 나타났으며, 아세토카민과 에반스블루의 염색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음나무 배발샐 캘러스의 저온저장은 계대배양 없이 $4^{\circ}C$의 냉장고에서 6개월 까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후 체세포배 유도효율을 위해 배발생능이 양호한 세포주의 저장이 필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