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ing

검색결과 68,988건 처리시간 0.09초

OTM(On-The-Move) 위성 통신 시스템을 위한 저잡음 증폭기 출력채널 단일화 구조 및 위상보정 방안 (Double-Input Singe-Output Architecture of LNA and Correction Method of Phase Variation for OTM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 권건섭;유흥균;허종완;황기민;장명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호
    • /
    • pp.1-8
    • /
    • 2015
  • 본 논문에서 제안된 OTM(On-The-Move) 위성통신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하여 주행중에도 위성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다중모드 모노펄스 추적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에서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er)가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가지는 것이 기본 설계 구조이나, 본 논문에서는 OTM 위성통신 시스템의 소형 경량화를 위해 저잡음 증폭기 내에 하향변환부를 추가한 출력채널 단일화 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출력 채널 단일화 구조에서는 기본모드와 고차모드 경로에서 시간에 따른 위상 차이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저잡음 증폭기내에 파일럿 신호를 추가하여 파일럿 신호 위상차와 비교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위상 변화를 제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주행시험을 통해 검증한다.

음성신호 처리 기술을 적용한 탄산음료와 유칼립투스 발향이 발음에 미치는 영향 분석 (Pronunciation Influence Analysis of Carbonate Drink and Eucalyptus Fragrance by Applying Speech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 김봉현;조동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5C호
    • /
    • pp.420-428
    • /
    • 2012
  • 현대와 같은 스마트사회에서 NQ라 불리우는 대인관계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대인 관계 시 목소리가 미치는 영향이 38%나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발음을 좋게 하기 위한 다각적 방법 마련이 사회적 요구사항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대화 중 흔히 섭취하는 탄산음료와 유칼립투스 발향이 발음에 미치는 영향을 음성신호 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규명해 내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탄산음료의 경우 섭취량에 따라 그것이 발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하며 기관지에 효과적인 유칼립투스의 경우도 그 발향이 발음에 미치는 영향을 새롭게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대 진동의 변화율과 진폭의 규칙성을 분석하고 피치와 음성 에너지의 크기를 분석하여 탄산음료 섭취량과 유칼립투스 발향이 발음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 객관화, 수치화를 행하고자 한다.

MCFI 구현을 위한 형태 기반 움직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pe-Based Motion Estimation For MCFI)

  • 박주현;김영철;홍성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3C호
    • /
    • pp.278-286
    • /
    • 2010
  • DTV의 Full HD급이 보편화되면서 LCD(Liquid Crystal Display)기반 대형화와 고화질 요구가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다. 이에 LCD의 잔상효과 제거와 격동적인 화면에서의 고화질 구현을 위해 수신 단에서 후처리 과정으로 움직임 보상 기반 프레임 보간법(MCFI)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움직임 예측 시 구현의 용이성 때문에 블록정합기법(BMA)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고 움직임 예측의 계산량 감소를 위하여 움직임 형태 기반의 움직임 예측 기법을 제안 한다. 움직임 정보의 정확성 향상을 위하여 움직임 형태를 기반으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그리고 계산양 감소를 위하여 움직임 영역에서만 예측을 수행하는데 제안한 방법은 전 영역 움직임 예측기의 평균 25% 계산양만으로 비슷한 성능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빠른 움직임 영역에서는 다른 여러 가지 움직임 예측 기법들 보다 우월한 성능을 보여준다.

연속하는 공간적 특징의 시간적 유사성 검출을 이용한 고속 동영상 검색 (Fast Video Detection Using Temporal Similarity Extraction of Successive Spatial Features)

  • 조아영;양원근;조주희;임예은;정동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1C호
    • /
    • pp.929-939
    • /
    • 2010
  •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와 불법 복제물 검출을 위한 동영상 검색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맞춰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속 동영상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고속 동영상 검색 방법은 프레임의 휘도 분포를 이용하여 공간적 특징을 추출하고, 동영상의 시간적 유사성 지도를 생성하여 시간적 특정을 추출한다. 동영상의 공간적 특정과 시간적 특정을 식별자로 구성하고 단계적인 정합 방법을 수행한다. 실험에서는 원본 동영상과 밝기 변화, 압축률 변환, 자막/로고 삽입과 같은 다양한 변형을 이용하여 정확성, 추출 및 정합 속도, 식별자 크기를 측정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의 파라미터를 실험적으로 선택한 과정을 기술하고 비교 알고리즘과 공간적 특정만을 이용한 단순 정합 결과를 제시하였다. 정확성, 경색 속도 식별자 크기의 모든 결과에서, 제안한 고속 검색 방법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의 동영상 경색에 가장 적합한 기술임을 보였다.

움직임벡터의 거리와 방향성을 고려한 H.264 에러 은닉 방법 (Error Concealment Method considering Distance and Direction of Motion Vectors in H.264)

  • 손남례;이귀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C호
    • /
    • pp.37-47
    • /
    • 2009
  • 본 논문은 무선망과 같이 패킷 손실이 많은 환경에 H.264 부호화 영상이 전송될 때 복호기 단말기에서 손실된 움직임 벡터를 효율적으로 에러은닉 방법에 대하여 2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손실된 블록(매크로블록)에 대하여 후보벡터집합(candidate vector set)을 선정하는 방법으로는 손실된 블록에 인접한 주변 블록의 움직임벡터들의 높은 상관성을 착안하여 후보벡터를 선정한다. 이때 제안한 알고리즘은 주변 블록의 움직임벡터들 간에 거리를 이용하여 클러스터한다. 클리스터된 움직임 벡터 집합(클러스터 집합)에서 최적의 후보벡터 선택방법은 중앙값을 선택한다. 둘째, 손실된 블록의 최종의 후보벡터를 선정하는 방법으로는 후보벡터집합에서 주변에 인접한 픽셀간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왜곡 값이 최소인 벡터를 후보벡터로 결정한다. 패킷이 손실되는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제안한 에러 은닉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하여 후보벡터 개수가 평균적으로 $23%{\sim}61%$까지 감소하였고, 디코딩 시간이 평균적으로 $3{\sim}4$(sec) 감소하였다. 또한 화질에 대한 객관적 평가 기준인 PSNR은 평균적으로 기존 방법들과 거의 비슷하였다.

참조표와 벡터적응필터를 이용한 디지털 컬러영상의 역하프토닝 (Inverse Halftoning of Digital Color Image using Look-Up Table and Vector Adaptive Filter)

  • 김찬수;이태홍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C호
    • /
    • pp.72-80
    • /
    • 2009
  • 참조표와 벡터적응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하프톤컬러영상을 역하프토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하프토닝은 연속계조영상을 이진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이고 이진영상을 연속계조영상으로 복원하는 것이 역하프토닝이다. 일반적으로 참조표를 이용한 방법은 처리속도가 빠르고 다양한 하프토닝방식에 대해서 고른 성능을 가진다. 참조표의 패턴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픽셀의 개수와 R, G, B 각 채널의 참조표를 어떻게 정의하는가는 참조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표현 가능한 패턴의 종류와 사용되는 메모리 양을 고려하여 16개의 픽셀을 이용하고 R, G, B 각 채널의 참조표를 통합하여 하나의 참조표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21개의 픽셀을 이용하고 R, G, B 각 채널의 참조표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참조표 방법보다. 제안된 참조표가 더 좋은 PSNR을 가지며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참조표에 존재하지 않는 패턴에 대한 처리방법으로는 주변 픽셀의 정보를 이용하여 컬러를 복원하는 벡터적응필터를 제안하였다. 벡터적응필터는 주변 픽셀이 원영상의 컬러를 잘 반영할수록 좋은 성능을 가진다. 제안된 벡터적응필터의 성능이 기존의 방법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임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컬러 복원성능도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파워검출 기반의 분산형 TDM-PON MAC 프로토콜 (Decentralized TDM-PON MAC Protocol Based on Power Detection)

  • 이성근;김일래;이용원;이상록;정대광;황성택;오윤제;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2B호
    • /
    • pp.83-8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OLT의 중앙집중 제어에 의한 대역폭 중재 없이 ONU간의 분산적인 동적 대역폭 할당을 이룰 수 있는 파워 검출 기반의 TDM-PON의 MAC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E-PON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DBA 방식과 달리, 제안된 방식은 하드웨어 기반의 파워 검출을 활용하여 동적 대역폭 할당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간단하고 빠르며 비용효과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제안된 가입자 망의 성능 평가는 수식적 분석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특히 다양한 트래픽 모델 환경에서 제안된 방식의 성능향상 정도를 기존 E-PON들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잡음 환경을 고려한 IEEE 802.11 DCF의 필터기반 Collision Resolution 메카니즘 (Filter-Based Collision Resolution Mechanism of IEEE 802.11 DCF in Noisy Environments)

  • 유상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9A호
    • /
    • pp.905-915
    • /
    • 2007
  • 본 논문은 IEEE 802.11 DCF가 잡음과 부하가 고려된 실제적인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환경 변화에 따라 contention window를 동적으로 적응시키는 필터 기반의 메카니즘을 제안한다. 이는 이미지 프로세싱에서의 미디언 필터개념을 적용시킨 것으로 필터링의 결과에 따라 윈도우의 크기를 조정한다. 이를 통하여 잡음과 충돌에 의해 필연적으로 패킷 전달에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무선 환경에서 불필요한 윈도우의 조정을 제거하고,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에 전송된 결과를 반영하는 히스토리 비트-패턴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연구결과들을 거의 포함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쉽게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방법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과 지연 측면에서 기존의 연구결과보다 확실한 향상을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3차원 근사 위치추적 기법 (Approximate 3D Localization Mechanism in Wireless Sensor Network)

  • 심재석;임유진;박재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9호
    • /
    • pp.614-619
    • /
    • 2014
  • WSN (Wireless Sensor Networks)기반 보안 감시 시스템에서는 센서들이 수집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기존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던 2D기반 위치추적 기법들은 고도가 일정한 환경에서는 꽤 높은 정확도를 보이나, 높이 개념이 추가된 실제 환경에서는 많은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3D 위치추적 기법들은 많은 참조노드를 요구하거나, 복잡한 수식 계산을 요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실내 보안 감시 시스템에서는 감지된 대상체가 침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대상체의 높이 예측만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수식 계산이나 많은 참조노드들을 요구하지 않는 대상체 높이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기법의 성능분석을 위하여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서 예측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여러 가지 수열을 적용한 STDR/SSTDR 기법의 성능 비교 및 개선 (Performance Comparison and Improvement of STDR/SSTDR Schemes Using Various Sequences)

  • 한정재;박소령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11호
    • /
    • pp.637-644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길이와 종류의 수열을 사용한 STDR(sequence time domain reflectometry) 및 SSTDR(spread spectrum time domain reflectometry) 기법의 고장위치 탐지 성능을 비교하고, SSTDR 기법의 성능 향상을 위한 인가신호 제거 방식을 제안한다. 대표적인 PN(pseudo-noise) 수열인 m 수열, 자기상관(autocorrelation) 성질이 우수한 이진(binary) Barker 수열과 4위상 Frank 수열을 사용하였을 때, 전력선 채널 모형에서 고장 유형, 고장위치, 제안 기법 사용 유무를 바꾸어가며 오탐지율을 비교 분석한다. 감쇠가 심할 때와 고장위치가 매우 가까울 때 제안한 인가신호 제거 방식을 사용하면 고장위치 탐지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모의실험으로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