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 of scientific observa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1초

과학 놀이를 이용한 과학수업이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on the Science-play through the Science Class)

  • 허귀희;이지화;문성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science-play in the regular class, stimulate the student's curiosity, motivate them and take active part in their science class. To make an effective science class, we developed the science-play activity instead of experiments in the text, and applied it to the class. The experimental group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in the science process skills, expecially in subordinate elements such as observation, deduction, expectation, data analysis and assumption establishments(p<.01). However, the comparative group has no meaningful results in the science process skills. Though the average value of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only a little increase and ha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that in the comparative group has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cience-play activities were repeated and their science related attitude has increased a little. Even though there were no meaningful statistic results(p>.05), the science-play activity was effective i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could be said that the science-play activity can improve the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the science-play program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applied to make easy and effective science classes.

중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황해 및 동중국해 해류도 분석 (An Analysis of Oceanic Current Maps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박경애;박지은;최병주;이상호;이은일;변도성;김영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39-466
    • /
    • 2014
  • 다양한 중등학교 과학교과서 동해 해류도의 통일이 최근에 완성됨에 따라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도 제작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그 첫 단계로서 과학 논문과 2014년 현행 교과서의 해류도들을 분석하여 향후 황해와 동중국해의 통일된 해류도를 제작하는 과정을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교과서와 과학 논문의 아날로그 해류도들을 수치화하여 해류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고 해류도들을 상호 비교하였다. 쿠로시오해류, 대만난류, 대마난류, 황해난류, 중국연안류, 한국연안류, 양쯔강 유출류와 같이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들을 선정하고 정의하였다. 이 해류들의 경로를 조사하기 위하여 18개의 세부 항목을 만들고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각 세부항목에 대하여 교과서와 과학 논문 해류도들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 해류도들은 과학 논문으로부터 획득한 해류에 관한 최근의 지식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해와 동중국해 해류는 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해류 전문가들의 활발한 토의를 통하여 교과서 해류도를 적어도 여름철과 겨울철로 구분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학부생 연구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과학연구 수행과정의 분석 (Analysis of the Scientific Research Process of a Participant in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by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 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43-354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학부생 연구지원 프로그램(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이하 URP)에 참여한 물리교육과 3학년인 한 초심자(학생 A)의 연구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 심층인터뷰, 문서분석을 통해 수집되었고,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로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이 사용되었다. 먼저, 초심자의 연구를 위한 활동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초기에 멘토가 대략적인 연구목표와 목표달성을 위한 매개체를 초심자에게 제공하였다. 연구주체인 학생 A는 동료 두 명을 모아, 자신이 이끄는 수직적 관계로 연구팀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역할분담은 과제특정지식, 연차, 그리고 참여율이 높을수록 의사결정권이 크다는 암묵적 규칙에 근거한 것이다. 다음으로, 활동체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모순이 변화의 원천이 되었다. 먼저 연구 초기에 멘토의 교육철학과 멘티의 교육적 요구 간의 모순이 발생하였다. 학생 A는 멘토의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의 활동체계에서 필요한 지식을 얻는 방식으로 모순에 의한 갈등을 극복하였다. 이렇게 획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활동체계의 매개물(실험도구과 이론)을 정교화하였다. 두 번째 모순은 수평적 역할분담을 요구하는 팀 구성원들과 기존 역할분담을 고수하는 학생 A 간에 발생하였다. 학생 A가 팀 구성원들의 의견을 받아들인 후, 활동체계의 노동 분담 방식은 협력적으로 변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A의 변화를 살펴보면, 학생 A는 연구 경험을 통해 교사의 길을 포기하고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또 학계 내의인적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확장하게 되었으며, 협업에 대한 부정적인 마음가짐이 긍정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연구 초심자의 연구과정에 대한 활동체계의 구성과 변화의 분석을 통하여 사사교육의 지도 방식과 지원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생태적 소양 함양을 위한 토양 종자 은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using Soil Seed Bank for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 주은정;김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284-297
    • /
    • 2012
  • We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soil seed bank for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of children. The initial program was based on the modification of scientific methods used by ecologists. A pilot application was conducted to 4th~6th grade students. In that result, the program was most effective to 4th grade students in terms of ecological knowledge and attitude. Observation of plants in outdoor was the most interesting activity and soil seed bank experiment was the most useful activity to the students. The educational period from late March to early November was too long to keep interest for participants. In the final program, we suggested 3 months and 2 weeks education period (from the 4th week of March to the first week of July) and the 4th grade students as a target. The program consisted of 7 activities, which are "Beginning the soil seed banks observation", "Comparing plant community in each soil seed bank", "My friends, sprout", "How do you come here?", "Finding the hided plants in my school garden", "Why did the soil seed banks change?", and "Inquiring about relationship between plants and their environments". These activities include the process of student's participation of sampling and setting soil seed banks around their school, and observing and identifying the seedlings.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soil seed banks, develop their ecological knowledge, eco-centric attitude, and ecological sensibility and inquir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from soil seed banks and their environments.

과학 다큐멘터리 만들기: EBS의 <빛>의 제작과정과 자문위원의 역할을중심으로 (Making Science Documentary: On the role of experts in the production of "Light" by EBS)

  • 문지호;홍성욱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45-180
    • /
    • 2013
  • 과학 다큐멘터리는 대중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과학의 한 가지 모습이다. STS는 과학을 더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만들어지는 과학'을 분석해야 한다고 요청한다. 마찬가지로 과학 다큐멘터리도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볼 때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자들의 출발점이다. 본 연구자들은 과학 다큐멘터리라는 '블랙박스'를 열어보려는 시도로서 참여관찰의 방법을 사용하여 EBS의 과학 다큐멘터리 팀이 2012년부터 새롭게 제작을 시작한 <빛>의 제작과정을 분석했다. 본 논문은 다음 두 가지 논점을 다룰 것이다. 첫 번째는, 다큐멘터리 제작팀이 과학을 이해하고 이를 구성안에 풀어냄에 있어 시각화, 삶 속에서의 과학, 스토리와 인물을 각각 중요한 기준으로 상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다큐멘터리 구성안이 완성되는 과정 속에서 제작팀과 자문위원 간의 흥미로운 상호작용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특히 자문위원의 의견이 모든 부분에서 일방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니라 자문위원과 제작팀 사이에 여러 가지 충돌과 타협이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은 과학 다큐멘터리가 과학 내용에 대한 정확성이나 과학에 대한 구성주의적인 이해의 기준으로만 평가될 수 없는 독자적인 가치 체계를 가진 영역임을 시사한다.

  • PDF

Cluster Model of Multilingual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ory and Practice of Engineering Education

  • Suvorova, Svetlana;Khilchenko, Tatyana;Gnatyshina, Elena;Uvarina, Natalia;Savchenkov, Alexey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107-112
    • /
    • 2022
  • Nowadays clusters are recognized as an important instrument for promoting industrial development, innovation, competitiveness and growth. An educational cluster is a set of interrelated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of various levels that are united by industry with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by partnership with industry enterprises. This article attempts to develop and describe cluster model of university students' multilingual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multilingual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polycultural competencies formation and to define the process of multilingual training in form of a cluster. The authors consider clusters as an integral part of the educational campus within the concept framework of Shadrinsk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To determine the essence of the concept of a cluster model of university students' multilingual training, theoretical, empirical, observational, and diagnostic methods were implemented, such as a review of scientific literature, a compilation of best practices, observation, statistical methods, etc. The authors analyzed the programs of partner universities and organized international webinars and internships for bachelors and masters abroad and developed online courses "Foreign language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masters". Experimental data obtain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cluster training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formation of students' polycultural competencies.

Processing of Nano-Sized Metal Alloy Dispersed $Al_2O_3$ Nanocomposites

  • Oh, Sung-Tag;Seok Namkung;Lee, Jai-Sung;Kim, Hyoung-Seop;Tohru Sekino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7-162
    • /
    • 2001
  • An optimum route to fabricate the ferrous alloy dispersed $Al_2O_3$ nanocomposites such as $Al_2O_3$/Fe-Ni and $Al_2O_3$/Fe-Co with sound microstructure and desired properties was investigated. The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the sintering of powder mixtures of $Al_2O_3$ and nano-sized ferrous alloy, in which the alloy was prepared by solution-chemistry routes using metal nitrates powders and a subsequent hydorgen reduction process. Microstructural observation of reduced powder mixture revealed that the Fe-Ni or Fe-Co alloy particles of about 20 nm in size homogeneously surrounded $Al_2O_3$, forming nanocomposite powder. The sintered $Al_2O_3$/Fe-Ni composite showed the formation of Fe$Al_2O_4$ phase, while the reaction phases were not observed in $Al_2O_3$/Fe-Co composite. Hot-pressed $Al_2O_3$/Fe-Ni composite showe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magnetic response. The properties are discussed in terms of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alloy particles.

  • PDF

Assessment of the Near Real-Time Validation for the AQUA Satellite Level-2 Observation Products

  • Yang Min-Sil;Lee Jeongsoon;Lee Chol;Park Jong-Seo;Kim Hee-A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35-38
    • /
    • 2004
  • We developed a Near Real-Time Validation System (NRVS) for the Level-2 Products of AQUA Satellite. AQUA satellite is the second largest project of Earth Observing System (EOS) mission of NASA. This satellite provides the information of water cycle of the entire earth with many different forms. Among its products, we have used five kinds of level-2 geophysical parameters containing rain rate, sea surface wind speed, skin surface temperature, atmospheric temperature profile, and atmospheric humidity profile. To use these products in a scientific purpose, reasonable quantification is indispensable.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near real-time validation system process and its detail algorithm. Its simulation results are also analyzed in a quantitative way. As reference data set in-situ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which are periodically gathered and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is processed. Not only site-specific analysis but also time-series analysis of the validation results are explained and detail algorithms are described.

  • PDF

KaVA and EAVN large program on two Supermassive Black Holes, Sgr A∗ and M87

  • Sohn, Bong Won;Kino, Motoki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52.1-52.1
    • /
    • 2019
  • Exploring the vicinity of super-massive black holes (SMBHs) is one of the frontiers in astrophysics. KaVA AGN Science WG has launched its Large Program in 2014 focusing on two SMBHs, Sgr A∗ and M87. They are selected based on their large apparent size. Sgr A∗ is the excellent laboratory for studying gas accretion process onto SMBH and M87 is well known as the best case for investigating plasma outflow ultimately driven by SMBH. For Sgr A∗, KaVA and EAVN provides superb UV-coverage on its emitting region and its scattering medium. In the case of M87, we have conducted high cadence dual-frequency (22and 43GHz )VLBI monitoring to clarify the global profile of the M87 jet velocity field and the spectral index map, which should reflect global structure of magnetic fields in the jet. From 2017, the AGN LP is recognized as multi-wavelength EHT project, conducting quasi-simultaneous coherent observations of M87 and Sgr A∗ with the Event Horizon Telescope (EHT) during its campaign observation periods. AGN WG is reviewing and revising its LP to convert it to EAVN LP. We will briefly report our scientific results and future plan which includes even broade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namely East-Asia to Italy Nearly Global (EATING) VLBI to reach higher angular resolution.

  • PDF

RSP(Reverse Science Principle)기반 화학 탐구 프로그램의 효과 및 가능성 탐색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of Chemistry Inquiry Programs Based on Reverse Science Principle)

  • 조은지;양희선;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299-313
    • /
    • 2018
  • 과학교육에서 탐구 중심의 교육은 중요하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획일화된 형태의 과학 탐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RS(Reverse Science)를 중학교 화학 교과 수업에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능동적으로 탐구 학습에 참여하고 과학적 사고가 가능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D 소재 중학교 2학년 6학급을 선정하고,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각각 64명, 64명으로 128명을 구성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RSP기반 화학 탐구 프로그램을, 비교 집단에는 같은 주제의 강의식 수업과 확인실험을 3개의 주제로 7차시에 걸쳐 지도하였으며, 과학 탐구 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수업 관찰, 학생 활동지, 주관식 설문지, 인터뷰 내용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 학생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기초 탐구 능력의 하위요소 중 예상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 탐구 능력의 하위요소인 자료변환, 가설설정, 변인통제에서 그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학생들이 과학 법칙이 생성되는 과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친구들과 협력으로 인해 높은 흥미를 보였으며 학생들에게 과정 중심의 탐구를 통해 과학적 사고를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결국, RSP기반 화학 탐구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