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able precipita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5초

가능최대강수량 및 홍수량 산정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bability Maximum Precipitation and Probability Maximum Flood Estimation)

  • 전시영;문영일;안재현;김종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62-1766
    • /
    • 2006
  • In order to protect properties and human lives from disasters such as heavy rainfall, rational Probability Maximum Flood(PMF) estimation procedures for existing dam basins are recently required. This study analyzes the Probable Maximum Flood(PMF) as a part of a counterplan for disaster preventions of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dams, according to recent unfavorable weather conditions. In this study, an improvement method of parameter estimation was proposed, being estimated as an appropriate method for application to the unit hydrograph, the time of concentration and storage constant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of flood were considered differently when estimating PMF in Hoengseong dam basin.

  • PDF

Contribution of the Interface Energies to the Growth Process of Cemented Carbides WC-Co

  • Lay, Sabine;Missiaen, Jean-Michel;Allibert, Colette H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년도 Extended Abstracts of 2006 POWDER METALLURGY World Congress Part 1
    • /
    • pp.332-333
    • /
    • 2006
  • The driving forces and the probable processes of WC-Co grain growth are reanalysed from recent data of interface energy and microstructure. Grain growth is driven by the disappearing of the high energy WC/WC and WC/Co interfaces with habit planes different from {0001}, ${10\bar{1}0}$ and ${11\bar{2}0}$ facets and by the area decrease of the WC/WC and WC/Co interfaces with {0001} and ${10\bar{1}0}$ habit planes. Grain growth mainly results of dissolution-precipitation. Abnormal grains are likely formed by defects assisted nucleation.

  • PDF

과거 호우를 이용한 PMP 산정결과 및 기존결과와의 비교 (Study for Estimation of PMP and Comparison with previous result)

  • 이옥정;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39-53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과거 호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을 산정하고,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1973년부터 2014년까지 190개의 호우를 선정한 후 WMO(2009)에서 사용된 수문기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면적별($25km^2$, $100km^2$, $225km^2$, $400km^2$, $900km^2$, $2025km^2$, $4900km^2$, $10000km^2$, $19600km^2$), 지속시간별(1, 2, 4, 6, 8, 12, 18, 24, 48, 72시간)로 우리나라의 PMP를 산정하고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강유역, 낙동강유역, 금강유역, 영산강 유역의 PMP를 추정하였다. 또한 2000년에 산정된 PMP와 비교하여 그 값이 얼마만큼 변화되었는지 비교하였다. 또한 약 15년간의 극한강우 사상의 변화와 이에 따른 PMP 값의 변화에 대한 경향성을 평가해 보았다.

  • PDF

관측자료로부터 구축한 우리나라 강우포락곡선 (Rainfall envelop lines constructed from observations in South Korea)

  • 강형석;백경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6-56
    • /
    • 2022
  • 지속시간 동안 물리적으로 발생 가능한 최대의 강수량으로 정의되는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를 나타내는 한 가지 방법으로 포락곡선이 있다. 포락곡선은 최대강수량을 지속시간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역사적으로 발생한 극한 강수현상의 특징을 그대로 나타낸다. 오랜 기간 동안 강수 관측이 이루어졌다면 관측자료로부터 직접 포락곡선을 그릴 수 있겠으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통계적 추정 방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근해왔다. 하지만, 강우관측자료가 상당히 누적된 지금에 이르러서는 직접 포락곡선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 연구에서는 50년 이상의 강우관측년도를 보유하고 있는 24개 종관기상관측 지점의 최대강우량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기후조건을 대표할 수 있는 포락곡선을 산정하였다. 이번에 산정된 포락곡선을 우리나라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PMP와 비교하였으며, 전세계의 지속시간에 따른 최대강수량을 대표하는 Jennings law와도 비교하였다.

  • PDF

다른 원격탐사 센서로 추출한 강우자료의 이질성과 이에 의한 비선형유출반응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ng Remotely Sensed Precipitation from Different Sources and Their Nonlinear Responses in a Physically Based Hydrologic Model)

  • 오남선;이길하;김상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10호
    • /
    • pp.823-832
    • /
    • 2006
  • 강우는 물과 에너지 순환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두개의 다른 원격탐사 센서를 이용하여 추출한 강우자료의 불확실성 (uncertainty)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으며, 이에 의한 오차가 비선형 수치수문모형에서 수문인자(유출)를 모의할 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지상에서 관측된 강우 관측을 이용하여 WSR-88D (NEXRAD)에 의해 추출한 레이더 강우, 그리고 IR (Infrared) 밴드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위성 강우관측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세 가지의 서로 다른 강우와 현장에서 측정된 기상자료를 입력 자료로 사용하여, 오프라인 CLM (Community Land Model) 수문모형으로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물리적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CLM수문 모형의 매개변수는 지표면-대기의 수문반응 (land-atmosphere interaction)을 적절하게 묘사하도록 정의되었다고 가정한다. 다른 원격탐사 센서를 이용하여 추출한 강우자료는 시공간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여 주며, 수치모형의 실험 결과는 강우입력의 불확실성이 수문반응의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개발 및 활용가능성이 있는 레이더 강우와 인공위성 강우에 대한 사전 지식을 제공하고, 동시에 수치 수문모형을 수행할 때 수문반응의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결국은 기후 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재분배를 이해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Hydrological Stability Analysis of the Existing Soyanggang Multipurpose Dam

  • Ko, Seok-Ku;Shin, Yong-Lo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7권
    • /
    • pp.37-49
    • /
    • 1996
  •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n alternative to improve flood control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cument design criteria for the existing Soyanggang Multi-purpose Dam which was constructed 20 years ago as the largest dam in Korea. The peak inflow of the adopted probable maximum flood (PMF)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as 13,500 $m^3$/s. However, the newly estimated peak inflow of the PMF is 18,000 $m^3$/s which is 1.34 times bigger than the original one.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accumulation of the reliable flood and storm event records after construction, and due to the increasing tendency of the local flood peak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world-wide weather change. The new estimation of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was based on the hydro-meteorological method suggested by the guideline of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The unit hydrograph which was applied for the estimation of PMF was derived through linear programming algorithm by minimizing the sum of absolute deviations of the calculated and recorded flood hydrographs. In order to adopt the newly estimated PMF as a design flood, following four alternatives were compared : (1) allocation of more flood control space by lowering the normal high water level, (2) construction of a new spillwa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spillway, (3) construction of a new dam which has relevant flood control storage at the upstream of the Soyanggang dam, (4) raising the existing dam crest.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se alternatives resulted in that the second alternative is most economic and feasible. So as to stably cope with the newly estimated PMF by meeting all the current functions of the multipurpose dam, a detailed study of an additional spillway tunnel has to be followed.

  • PDF

시·공간성을 고려한 유역기반의 PMF 산정 (Basin-scale PMF Estimation Method by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 김영규;김연수;유완식;오성렬;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9-139
    • /
    • 2016
  •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이란 대규모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고자 할 때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및 인명피해 등을 막기 위해 기준으로 삼는 설계홍수량이며, 통계학적으로는 약 10,000년 빈도에 해당된다. 우리나라의 호우 특성은 방위, 진행방향 및 위에 따른 해석이 매우 복잡하여 강우를 정형화하기 어렵다. Kim and Won(2004)은 이동성 호우의 경우 강우의 깊이-면적-지속기간(Rainfall Depth-Area-Duration)의 분석결과에서 상당한 오차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지닌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오차를 포함한 DAD의 산정결과는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및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도 높은 DAD 분석을 통한 PMF 산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을 선정하고 각 지점의 시계열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공간분포화한 강우자료에 격자기반의 자동 강우장 탐색기법을 이용하여 DAD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PMP 산정방법에서는 한반도 전역에서 발생했던 130 mm이상의 호우사상을 선정한 후에 각 호우의 범위에 있는 우량관측소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PMP를 산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상대적으로 긴 지속기간의 경우 호우의 범위가 우리나라 전역을 포함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PMP 산정방법은 복잡하고, 기상이변이 잦지 않는 지역에서 산정된 PMP를 이용하여 PMF를 산정할 경우, 유역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과대산정의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대상유역을 선정한 뒤, 유역 내에 발생했던 호우경보와 호우주의보를 기준으로 호우사상을 선정하여 DAD 분석 후 PMP를 산정하였다. 그 후, 강우-유출관계를 파악하여 PMF를 산정하였다.

  • PDF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simulation between one- and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s for an emergency action plan of agricultural reservoirs

  • Kim, Jae Young;Jung, Sung Ho;Yeon, Min Ho;Lee, Gi Ha;Lee, Dae Eop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515-526
    • /
    • 2021
  • The frequency of typhoons and torrential rainfalls has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 concurrent risk of breakage of dams and reservoirs has increased due to structural aging. To cope with the risk of dam breakage, a more accurate emergency action plan (EAP) must be established, and more advanced technology must be developed for the prediction of flooding. Hence,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ore effective EAP by performing flood and inundation analyses using one- and two-dimensional models. The probable maximum flood (PMF) under the condi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was calculated for the target area, namely the Gyeong-cheon reservoir watershed. The breakage scenario of the Gyeong-cheon reservoir was then built up, and breakage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dam-break flood forecasting (DAMBRK) model. The results of the outflow analysis at the main locations were used as the basis for the one-dimensional (1D) and two-dimensional (2D) flood inundation analyses using the watershed modeling system (WMS) and the FLUvial Modeling ENgine (FLUMEN), respectively. The maximum inundation area between the Daehari-cheon confluence and the Naeseong-cheon location was compared for each model. The 1D flood inundation analysis gave an area of 21.3 km2, and the 2D flood inundation analysis gave an area of 21.9 km2. Although these results indicate an insignificant difference of 0.6 km2 in the inundation area between the two models, it should be noted that one of the main locations (namely, the Yonggung-myeon Administrative and Welfare Center) was not inundated in the 1D (WMS) model but inundated in the 2D (FLUMEN) model.

비정상성을 고려한 원평천 유역의 미래 설계홍수량 산정 (Estimation of Future Design Flood Under Non-Stationarity for Wonpyeongcheon Watershed)

  • 류정훈;강문성;박지훈;전상민;송정헌;김계웅;이경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5호
    • /
    • pp.139-152
    • /
    • 2015
  • Along with climate change, it is reported that the scale and frequency of extreme climate events show unstable tendency of increase. Thus, to comprehend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data, it is needed to consider non-stationary.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future design floods for Wonpyeongcheon watershed based on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scenario. Wonpyeongcheon located in the Keum River watershed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Historical precipitation data of the past 35 years (1976~2010) were collected from the Jeonju meteorological station. Future precipitation data based on RCP4.5 were also obtained for the period of 2011~2100. Systematic bias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data were corrected using the quantile mapping (QM) method. The parameters for the bias-correction were estimated by non-parametric method. A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oving average method which derives change characteristics of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distribution parameters. Design floods for different durations and frequencies were estimated using rational formula. As the result, the GEV parameters (location and scale) showed an upward tendency indicating the increase of quantity and fluctuation of an extreme precipitation in the future. The probable rainfall and design flood based on non-stationarity showed higher values than those of stationarity assumption by 1.2%~54.9% and 3.6%~54.9%, respectively, thus empathizing the necessity of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The study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to analyz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to reconsider the future design criteria of Wonpyeongcheon watershed.

댐 및 하천제방에 대한 위험도 해석기법의 개발 : I. 이론 및 모형 (Risk Model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Dam and Levee : I. Theory and Model)

  • 한건연;이종석;김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679-690
    • /
    • 1997
  • 본 연구는 댐 및 하천제방에 대한 수문학적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 Monte-carlo 기법과 AFOSM 기법에 의한 위험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댐 및 제방에 대한 위험도 해석을 위하여 fault tree를 작성하였고, 단계별 위험도 평가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위험도 모형은 모형 매개변수에 대한 변동성을 고려하여 강우-유출해석, 저수지 추적, 하도추적 등으로 구성하였다. 강우-유출해석에 있어서는 200년 빈도 및 PMP에 의한 설계강우에 대한 KRRL법에 적용되었다. 저수지 홍수추적은 4차 Runge-Kutta법을 이용하였고, 하도부 추적은 표준축차계산법에 의한 부등류 해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모형은 기존의 댐 및 제방에 대해서 홍수시 안전도 평가와 유지보수의 정책결정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