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brand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초

할인점의 의류PB 상품전략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Private apparel Brand's Product Strategy in Discounted Stores.)

  • 최성식;김판진;이상윤
    • 산경연구논집
    • /
    • 제2권2호
    • /
    • pp.25-38
    • /
    • 2011
  •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출점과 성장을 해온 대형마트 점포수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신규 출점은 계속적으로 지속될 전망이고 향후 대형마트 성장세는 둔화되나 점포수 등 외형적 성장은 계속되는 가운데 상품 차별화 추구, 고객니즈부응, 고마진획득 등이 지속적으로 가능해져 PB상품 개발이 불황 국면 극복을 위한 저성장 시대의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 된다. 또한 국내 3대 대형마트가 의류PB 브랜드를 계속적으로 출시, 확장하고 있는 상황과 운영전략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형마트의 PB의 성공사례와 문제점을 도출하여 PB의 필요성에 대해 차별화와 고이익 창출을 위한 성공적 전략 방안을 논의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형 마트 PB의 개념과 전략 방안 및 성공사례와 전망을 살펴보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빠른 성장을 보이는 PB를 단순히 유통업체가 상품을 유통시키면 된다는 제한된 역할 수행에서 벗어나, 제조업체가 지닌 유통 채널에 대한 지배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확장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미 세계 주요 선진유통업체들은 자사의 상품차별화와 수익성향상을 위해 PB상품 개발에 많은 노력을 쏟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국적전략 및 외형적 확장, 더불어 높은 재무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좋은 사례는 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할인점의 포화에 따른 새로운 대안을 위해서는 차별화된 PB운영 전략이 필요함을 국내3개 주요할인점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특히 의류 PB상품은 철저한 시장분석과 디자인트렌드 및 고객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로 차별화된 상품력 및 고마진 획득을 통해 출점 정체된 대형마트 지속성장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좋은 계기를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여 할인점 출점 한계에 따른 새로운 상품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할인점 주요 3개사의 경영실적과 세계 몇 개국의 대표적인 PB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국내 전체 소매 산업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향후에는 국내에 입점된 다국적 SPA 브랜드와 국내 할인점 PB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가치를 극대화한 의류PB 확대전략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PDF

PL의 브랜드확장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모브랜드 적합도 인식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Brand Extension of Private Label on Consumer Attitude -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fit difference between parent brands and an extended brand -)

  • 김종근;김향미;이종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4호
    • /
    • pp.1-27
    • /
    • 2011
  • 브랜드확장은 다양한 마케팅 영역 중에서도 전통적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던 영역으로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나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는 PL(Private Label)제품에 대해 브랜드확장의 개념을 활용하여 차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최근 PL제품에 관한 마케팅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존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채 단순한 적용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브랜드확장에 관련된 연구들에서도 PL시장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특히 PL제품의 확장에 있어서는 두 가지 모브랜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두 가지 모브랜드인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별 모브랜드가 PL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 모브랜드와 확장 PL제품간 유사성에 의해 상이할 것이라고 제안하였으며,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신뢰와 만족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 모두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적합도 정도에 따라 그 영향력이 상이함도 실제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였다. 즉 확장 PL제품의 태도는 모브랜드의 적합도가 보다 강하게 형성된 모브랜드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PL제품을 확장할 경우 소비자가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모브랜드에 기초하여 해당 모브랜드와의 연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Is Brand Identity Aligned with Brand Image on Instagram? An Empirics-First Investigation of the Indian Brands

  • Anand V;Daruri Venkata Srinivas Kumar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3권3호
    • /
    • pp.768-791
    • /
    • 2023
  • Effective brand management using images has been a challenge for the brand managers. The brand identity-brand image alignment on the social media is an important yet mostly-overlooked phenomenon. We proposed a scalable Google Cloud Vision-based approach for measuring the alignment between brand identity and brand image, and understanding the brand positions. We analyzed 3247 images of 13 leading Indian brands on Instagram. Images containing wordy announcements by the firms are in stark contrast with the relatively more emotive images by the users. It leads to a noticeable disconnect between the brand identity and brand image. Also, the private sector brands do not always outperform the public sector brands in branding efforts. By offering practical guidance on how to measure and reduce the misalignment, this study paved a feasible path towards better visual branding on Instagram.

소셜커머스와 브랜드 유형간의 이미지 일치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뢰와 가격민감도의 조절효과 - (Effects of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fashion brand types on purchase intention - Moderating effects of trust and price sensitivity -)

  • 박현용;최형우;이현화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2호
    • /
    • pp.81-97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fashion brand types affects purchase intention and how trust and price sensitivity moderate this relationship. National brands, private brands, and non-brands were used as brand types in the present study. The online survey method was used to gather the data, and 232 data samp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Consumers perceived greater image congruity between social commerce and non-brands, followed by private brands and national brands. The significant perception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mean valu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non-brands on purchase intention. However, in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for image congruity between social commerce and private brands and national brands. In addition, trust and price sensitivity positively predicted social commerce purchase intention.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rust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non-brands. A moder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private brand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social commerce concerning implementing diverse fashion brands as well 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소비자들의 대형마트 PB의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purchasing activity of Private Brand clothing in large discount store)

  • 김영환;김판진
    • 유통과학연구
    • /
    • 제6권1호
    • /
    • pp.117-128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의 대형마트 PB(Private Brand,자사등록상품)의류 선택시 어떠한 요소들이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대형마트가 실시하는 가격설정, 판매, 진열, 판촉활동 시 고객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들이 PB의류를 구매를 고려할 때 NB와 합리적으로 비교하여서 가격, 품질, 가치에 대한 지각을 한다는 측면에서 지각된 가격차이, 지각된 품질 및 실용성차이, 다른 목적으로 대형마트 방문시 지각된 충동구매 차이, 매장내 진열상품을 통한 지각된 구매차이 변수들에 대한 가설과 검증을 통해 실증적인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연구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형마트 소비자의 PB의류 구매시 주요 결정 요인으로 밝혀진 판매가격, 스타일에 대한 기존 NB브랜드의 트렌드 접목, 품질과 실용성이 있는 상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이 가장 우선적으로 효과적이라는 판단이다.

  • PDF

A Study on the Private Consumption Value of Franchise Companies: A Comparison of Foreign and Domestic Brand Consumers

  • PARK, So-Yeon;PARK, Hye-Yoon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8호
    • /
    • pp.15-24
    • /
    • 2019
  • Purpose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nsumption value and brand trust and brand attitude, brand trust and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was analyzed at a time when customers visiting domestic and foreign brands with mutual competition recognized the coffee shop as a new cultural spa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examine these research model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48 peoples who visited Coffee Franchise Companies during March to April, 2019.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assumptions about consumers' personal consumption values and brand trust,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were adopted. This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and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Conclusions - Consumers' personal consumption values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trust and brand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more positive an individual's consumption value is, the more confidence and likability a brand has. Brand trus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attitudes. Brand attitudes and brand trust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This means efficient management of brand trust and brand attitudes in chain service companies is necessary.

상표유형이 유통업체 의류상표에 더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할인점 점포상표와 홈쇼핑 프리미엄상표의 비교- (The Influence of Brand Type on Consumer Attitude Formation of Private Apparel Brand -A Comparison between Discount Store PB and Home-shopping Premium PB-)

  • 최미영;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9_10호
    • /
    • pp.1400-1412
    • /
    • 2006
  • As PB market segments into premium market, PBs were drawing attentions in terms of creating profits as well as a means to differentiate building up store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nsumer attitude formation process in discount store and home-shopping distribution channel which are recently on the upswing.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sumer's attitude formation on the private apparel bran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umers in their $20s{\sim}40s$ who are main customer groups of PBs. Th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of Amos 5.0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path between store PB and premium PB.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umer attitude formation path on PB grades showed statistically noticeable difference. In discount store PB, store evaluation didn't directly influence on consumer attitude formation but showed indirect effect. On the other hand, in home shopping premium PB case, product evaluation directly influenced on consumer attitudes with store evaluation. Hedonic attitude dimension connected with behavioral attitude(purchase intention) revealed difference in path. Also consumer's evaluation on variables in model turned out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brand grade.

대학생소비자의 편의점 PB식품 구매의도에 따른 정보요구 (Undergraduate Consumers' Information Needs according to Purchase Intention toward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Foods)

  • 류미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623-635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of information needs regarding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PB) foods and variables affecting information need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s.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based on determining the information content and information sources needed by undergraduate consumer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by frequency, mean (SD), reliability 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version 19.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dergraduat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convenience store PB foods is comparatively high, and they say they will buy the products if the PB foods' quality-related areas like taste, nutrition, or safety are favorable. Second, the general level of information need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s is comparatively high, and among general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need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 quality' are the greatest, while in the area of comparative information needs, 'comparative information on PB food and NB food quality' is needed the most. In addition, undergraduate consumers most often want to obtain convenience store PB food information from convenience stores themselves. Third, as purchase intention and information acceptance of convenience store PB foods increase, information needs also increase. However, as quality perception of convenience store PB foods is more positive, information needs reduce.

한국소비자 특성과 구매성향이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Korea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Propensity to Purchase in Brand Choice)

  • 이형석;김철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3호
    • /
    • pp.321-339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 선택행위에 대한 설명과 예측에 유용한 이산적 선택모델들 중 널리 알려진 다항 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통해 소비자의 특성과 구매 행동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화장지 시장을 중심으로 제조업자 브랜와 유통업자 브랜드간 경쟁상황을 파악하고 어떤 인구 통계적 특성과 마케팅 변수들이 소비자들의 브랜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개개인의 시점별 구매기록이 담겨진 패널(panel) 자료를 연구목적에 맞도록 재구성하고 소비자의 구매시점별 브랜드 선택 확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구매자의 연령과 소득이 높을수록 제조업자 브랜드 구매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매 장소가 달라짐에 따라 브랜드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백화점이나 대형할인점에서는 유통업자 브랜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판매촉진의 경우에는 고소득자는 오히려 구매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매촉진의 형태가 사은품일 경우보다 가격할인이 일어날 경우에 구매확률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매단계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유명제조업자 브랜드 충성고객은 가격이 높을수록 구매확률이 증가하고, 유통업자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구매하는 고객은 가격할인을 통한 판매촉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제시와 브랜드 선호도의 관계에서 체면민감성과 사용상황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Chemyon(Social Face) and Consumption Sit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resentation and Brand Preference)

  • 정보라;김미정;윤지현;이주화;한지수;이성수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1권1호
    • /
    • pp.15-24
    • /
    • 2022
  • 본 논문은 자기제시와 브랜드 선호도의 관계에서 체면민감성과 사용상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남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우선 공적 사용 상황에서든 사적 사용상황에서든 상징적 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자기제시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두 가지 상황 모두에서 기능적 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자기제시의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면민감성의 주효과는 공적 상황에서 기능적 브랜드 선호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때만 유의할 뿐 다른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제시와 체면민감성의 상호작용효과를 보면, 공적 상황에서든 사적 상황에서든 체면에 대한 민감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들은 자기제시 수준과 무관하게 브랜드 선호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용 상황이 공적이든 사적이든 체면민감성은 자기제시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침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