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leaf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4초

벼 갈색잎마름병균(Gerlachia oryzae)의 종자감염과 종자감염이 벼종자 및 유묘에 미치는 피해 (Seed Infection and Damage to Rice Seeds and Seedlings by Seed-Borne Gerlachia oryzae)

  • 김완규;박종성;유승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6-131
    • /
    • 1984
  • 1. 영남작물시험장, 호남작물시험장 및 충남농촌진흥원에서 분양받은 18개의 벼종자시료와 충남지역 일반농가에서 수확한 8개의 벼종자시료 등 모두 26개의 종자시료를 공시하여 표준습지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21종의 균류가 검출되었으며, 벼 갈샐잎마름병균(Gerlachia oryzae)은 22개의 벼 종자시료에서 $1.0\~45.0\%$의 범위로 검출되었다. 2. 종자전염성 G. oryzae의 효과적인 검출방법을 찾기 위하여 표준습지법, 냉동습지법, 물한천법 등으로 비교 조사한 결과, 냉동습지법에서 검출율이 가장 높았다. 3. 벼종자의 각 부위를 무균적으로 분리하여 부위별로 G. oryzae의 감염여부를 표준습지법으로 조사한 결과, 벼 종자의 껍질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심하게 이병된 종자는 배유 및 종피 뿐 만 아니라 배에 까지 감염되어 있었다. 4. G. oryzae에 감염된 벼 종자를 파종하여 심하게 이병된 종자는 종자부패 및 묘입고를 일으켰으며, 약하게 이병된 종자는 초엽, 1엽, 2엽에 갈색의 병징감염을 초래하였다.

  • PDF

소태아혈청으로 유도된 흰쥐 혈관평활근세포의 luteolin 효과 (Effects of Luteolin on Fetal Bovine Serum-induced Events in Cultured Ra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 임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595-1599
    • /
    • 2012
  • 혈관 증식 질환에서 세포주기 활성화와 진행은 중요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Luteolin는 glycosylated 형태로 샐러리, 후추, 들깨 잎 그리고 카밀레 차에 존재하며 항돌연변이, 항종양, 항산화 그리고 항염증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 동맥으로부터 분리한 혈관평활근세포를 배양하여 소태아혈청으로 유도된 증식에서 luteolin 효과에 대해 조사했다. Luteolin이 5% 소태아혈청으로 유도된 흰쥐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과 DNA 합성을 5, 20 그리고 $50{\mu}M$에서 억제했다. 혈관평활근세포 증식을 각각 29.6, 50.8 그리고 83.1% 억제했고 DNA 합성은 각각 25.8, 57.6 그리고 81.0% 억제했다. 게다가, 유세포분석 결과 소태아혈청으로 유도된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주기는 luteolin에 의해 차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세포독성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WST-1 분석으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세포독성 없이 세포주기를 차단하는 효과임을 확인했다. 이상의 결과들은 luteolin이 혈관스텐트와 동맥경화의 치료를 위한 의미있는 항증식 물질임을 보여준다.

Small RNA Transcriptome of Hibiscus Syriacus Provides Insights into the Potential Influence of microRNAs in Flower Development and Terpene Synthesis

  • Kim, Taewook;Park, June Hyun;Lee, Sang-gil;Kim, Soyoung;Kim, Jihyun;Lee, Jungho;Shin, Chanse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8호
    • /
    • pp.587-597
    • /
    • 2017
  • MicroRNAs (miRNAs) are essential small RNA molecules that regulate the expression of target mRNAs in plants and animals. Here, we aimed to identify miRNAs and their putative targets in Hibiscus syriacus, the national flower of South Korea. We employed high-throughput sequencing of small RNAs obtained from four different tissues (i.e., leaf, root, flower, and ovary) and identified 33 conserved and 30 novel miRNA families, many of which showed differential tissuespecific expressions. In addition, we computationally predicted novel targets of miRNAs and validated some of them using 5'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analysis. One of the validated novel targets of miR477 was a terpene synthase, the primary gen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disease-resistant terpene metabolites such as sterols and phytoalexins. In addition, a predicted target of conserved miRNAs, miR396, is SHORT VEGETATIVE PHASE, which is involved in flower initiation and is duplicated in H. syriacus. Collectively,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reliable draft of the H. syriacus miRNA transcriptome that should constitut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biological roles of miRNAs in H. syriacus.

대용량 DNA 시퀀스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효율적인 인덱싱 (Efficient Indexing for Large DNA Sequence Databases)

  • 원정임;윤지희;박상현;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1권6호
    • /
    • pp.650-663
    • /
    • 2004
  • DNA 시퀀스 검색은 분자 생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연산이다. DNA 시퀀스 데이타베이스는 매우 큰 용량을 가지므로 DNA 시퀀스 검색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고속 인덱스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DNA 시퀀스 검색을 위하여 기존에 제안된 접미어 트리가 가지는 저장공간, 검색 성능, DBMS와의 통합 등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인덱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인덱스는 포인터 없이 트라이를 비트 스트링으로 표현하는 기본 구조와 후처리 시 액세스되어야 하는 트라이의 단말 노드를 신속하게 찾기 위한 보조 자료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제안된 인덱스를 이용하여 DNA 시퀀스 검색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인덱스는 기존의 접미어 트리와 비교하여 더 작은 저장 공간을 가지고도 13배에서 29배까지의 검색 성능의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nduced freezing tolerance and free amino acids perturbation of spinach by exogenous proline

  • Shin, Hyunsuk;Oh, Sewon;Kim, Daeil;Hong, Jeum Kyu;Yun, Jae Gil;Lee, Sang Woo;Son, Ki-H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357-363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xogenous proline (Pro) could confer freezing tolerance of spinach and determine fluctuations of free amino acids in spinach leaf tissues under freeze-induced stress. Treatment with Pro (10 mM) resulted in more accumulation of Pro (~2.6-fold) in Pro-treated spinaches compared to untreated ones. These Pro-pretreated spinaches were more freezing-tolerant, showing more turgid leaves and petiole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s. However, when spinaches pre-treated with or without Pro were subjected to freez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amino acid contents, emphasizing the role of Pro as an osmoprotectant. Freezing stress prompted intensification of total amino acid contents irrespective of pretreatment with Pro. Asp, Glu, Ala, and Val were the most abundant free amino acids due to increased protein degradation and nitrogen mobilization for plant survival under freezing stress. Arg, a precursor for the synthesis of polyamines in plants, was profoundly enhanced under freezing stress. This implies that Arg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ng freezing tolerance. Gly, Leu, and Ile were maintained at relatively low levels in all treatments. However, Ser, Tyr, and Lys as primary constituents of dehydrins were accumulated under freezing stress, suggesting that they might play a role in increasing cryoprotective activity under freezing stress.

Liminality & Transformative Drama in Shelley's "Julian & Maddalo"

  • Narrett, Eugene
    • 영미문화
    • /
    • 제10권2호
    • /
    • pp.149-207
    • /
    • 2010
  • Written simultaneously with Prometheus Unbound, Shelley's "Julian & Maddalo" is a masterwork of dramatic poiesis, of doubling embedded in its couplets, dialogic debate on human nature and contrasted symbolic emblems. The emblems mirror each other and are themselves sites of generative paradox: the "heaven illumined" but "dreary tower" of the Maniac and the glorious sunsets on the "ever-shifting sand" of the Lido, a wasteland that is a place of self discovery but also of "abandonment" and barren mingling figured, inter alia, in its "amphibious weeds," a trope of the poem's personae. This essay also explores the poem's dramatic structure and various rhetorical devices, beginning with the Preface, a threshold of complex identity disguise that Shelley uses for veiled self-presentation, as in "Alastor," mirroring and literary references replete with nuanced ironies. I focus mainly on the complex figures of liminality Shelley uses to develop his own thoughts (as well as his ongoing debates with Byron) about man's potential for growth in thought, insight and empathy, in political reform and interpersonal and individual healing. Advancing Shelley's most optimistic ideas, Julian, escorted by Maddalo observes the Maniac, -- a living ruin whose pained eloquence reveals the link of eros to poiesis and the limits of the latter's ability to 'transform a world.' The Maniac is the core of muse-work (remembering, thinking and song) and Shelley presents him as its emblem. He also is prefigured in and reflects the quintessentially liminal Lido with its "barren embrace" of sea and land. Yet it is less the Maniac's feeling that his grief is "charactered in vain…on this unfeeling leaf" than Julian's rationales for leaving the site of pain that point to Shelley's final comment on poetry's transformative limits. As the primary haploids of the drama's meiosis re-combine and two of them, Maddalo and the maniac fall away, an analogy I briefly develop and embedded in the erotic dynamics of poiesis, Shelley suggests, as he did at the beginning of his poetic lyricism in "Alastor" and at its end in "the Triumph of Life"that images mislead and delude; that "the deep truth is imageless" and redemption is not in but beyond figuration.

벼 담수표면산파 시 입모밀도에 따른 시비 조절이 분얼발생,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pplication Level According to Seedling Density on Tiller Development, Yield and Quality in Direct-Seeded Rice on Flooded Paddy Surface)

  • 정남진;김정일;박정화;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52-57
    • /
    • 2006
  •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입모수가 적정입모수(120개/$m^2$)보다 적은 과소구를 60개/$m^2$, 적정입모수보다 많은 과다구를 200개/$m^2$로 설정하여, 과소구의 경우 3엽기에 4 kg/10a의 질소를 추가 시비하여 분얼발생을 촉진시키고 과다구에서는 5엽기에 시용하는 분얼비 3.3 kg/10a의 질소시비를 생략하여 분얼을 억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개체별 최고분얼수는 적정구가 9.8개인데 비하여 과소구는 15.2개, 과다구는 8.6개이었으며, 개체별 유효분얼수는 적정구가 3.7개, 과소구가 6.5개, 그리고 과다구가 2.4개로 입모가 과다할수록 개체당 분얼수가 줄어들고 유효경비율이 낮아졌다. 2. 분얼발생 양상은 입모밀도에 관계없이 주간 3절위에서 첫 번째 1차 분얼이 발생하였으며, 유효분얼은 과소구, 적정구, 과다구에서 각각 6.5개/plant, 3.7개/plant, 2.4개/plant 발생하였다. 3. 입모과소구의 벼 개체내에서 분얼의 발생 순서와 간장, 수장, 무효분얼수, 수당립수, 임실율은 부의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적정 입모밀도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입모과다구에서는 분얼발생순서와 수장, 무효분얼, 완전미율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현미외관 특성은 입모 과소구가 적정구나 과다구 보다 청미발생이 적어서 완전미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다구와 적정구의 경우에는 1차 분얼에서 청미발생이 과소구보다 15-20%정도 높게 나타났다. 5. 쌀 수량은 적정구가 494 kg/10a인데 비하여 과소구는 적정구의 99%, 과다구는 적정구의 97%의 수량이 확보되었다.

중부지방에 있어서 풋콩의 답전작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een-Soybean Cultivation as preceding Crop of the Rice in the Paddy-Field in the middle Parts of Korea)

  • 김기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173-189
    • /
    • 1973
  • 중부 지방에 적응할 수 있는 답전작 풋콩 재배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2년 3월부터 6월까지에 걸쳐서 건국대하교 농과대학 부속 실습 농장에서 실시한 품종, 단일 처리, 시비 및 재식 거리 등에 관한 일련의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월 15일 온상에 파종하여 육묘 정식하더라도 육묘 중 단일 처리를 하지 않으면 어떤 품종도 답전작 풋콩 재배의 개화 한계기인 5월 15일 이전에 개화하지 못하였다. 2. 육묘 중 단일 처리를 하면 극조생 계통의 품종군은 5월 15일 이전에 개화하였는데, 북해일호, 조생록, 팔중방성, 삼보백조, Verde 등이 이에 속하였다. 3. 제일정상복엽이 전개할 무렵부터 10일간의 단일 처리를 할때의 최적 일장은 중.만생 품종군이 7-9시간, 조생 및 극조생 품종군이 7-11시간이었다. 4. 11시간의 단일 처리를 할 때의 최적 처리 일수는 품종의 조만생에 관계 없이 10일 정도로 인정되었다. 5. 단일 처리에 의한 개화 소요 일수의 단축도 즉 품종의 감광성 정도는 극조생 및 조생 품종군보다 중생 및 만생 품종군이 현저하게 높았다. 6. 무질소의 경우보다 질소 표준량(4.0kg/10a) 시용에서 약 17%의 증수를 보였으나 질소 배량의 시용은 도리어 감수 경향을 보였다. 7. 인산 표준량(4.0 kg/10a) 시용에 비한 인산 배량 시용의 증수 효과는 미미하였다. 8. 재식 본수를 3.3$m^2$당 54본으로부터 130본까지 변동시킬 경우 130본구의 약 2배의 수량을 내어 밀식 효과가 극히 현저함이 인정되었다. 9. 결론적으로 중부 지방에서도 극조생 계통의 품종을 3월 15일 온상에 파종하고 제일정상복엽 전개기인 4월 6일경부터 11시간의 단일 처리를 10일간실시하여 정식하면 답전작 풋콩 재배가 가능하며, 10a당 전량 기비로 질소 및 인산 4.0 kg, 가중 6.0 kg을 주고 3.3$m^2$당 130본으로 밀식하는 것이 가장 증수됨이 인정되었다.

  • PDF

벼 품종들의 분얼성기 및 출수기의 엽표면Wax의 양 및 화학적 조성 (Amount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cuticular Waxes on Leaves at Active Tillering and Heading Stages of Rice Varieties)

  • Yong Woong, Kwon;Bong Jin, Ch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5-197
    • /
    • 1992
  • 본 연구는 엽표면 특성 및 유전적 특성이 현저히 다른 벼 품종들의 엽표면 wax의 양과 화학적 조성을 밝히고자 수행 되었다. 벼품종은 엽의 형태적 특성면에서 glabrous한 것, long-hairy한 것, pubescent한 것, water-wettable한 것을 선정했고 이들 각각에 대한 일본형 품종과 통일형(Indica$\times$Japonica) 품종을 1개씩 공시하였으며, 공시품종들의 분얼기 및 출수기에 엽표면 wax를 chloroform으로 추출하고 그 양 및 화학적 조성을 TLC, GLC 및 FTIR로 분석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엽표면 wax는 chloroform을 용매로 추출할 때 대체로 엽표면 wax 전체에 대해 균등하게 작용하며 wax 소편의 일부 및 첨예한 부분을 많이 용해시키나 상온에서 chloroform이 엽전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고 wax 이외 물질을 유출하지 않기 위해서 벼 잎을 5분이내 침지함이 적당했지만 5분간 추출로도 엽면적 wax 전량을 추출하지는 못하였다. 2. 공시 품종들의 엽표면 wax는 대부분 소편장(platelet)으로 엽표면에 축적되어 있고 품종에 따라 wax축적의 조밀성이 달랐는데 Glabrous 품종이 제일 치밀했고 Long-hairy 품종, Pubescent 품종들이 그 다음으로 치밀했으며, Water-wettable 품종들은 wax 소편들이 적고 엉성하여 큐티클층 노출이 많았다. 또한 잎의 전면과 이면간 wax 축적은 품종에 관계없이 이면보다 전면이 더 치밀하였다. 3. Chloroform으로 5분씩 2회 침출한 엽표면 wax의 양은 벼품종간 차이보다 생육시기간 차이가 컸는데, 분얼기는 0.8~1.8 mg / g f.w. 수준, 출수기에는 1.7~3.6 mg / g. f.w. 수준으로 출수기에 불얼기보다 2~3배 정도 더 많았다. 4. 벼 엽표면 wax의 화학조성은 TLC상에서 크게 7성분으로 분리 동정되었는데 ketone류는 확인할 수 없었고 diol류, fatty alcohol류, fatty acid류, fatty aldehyde류, fatty ester류, 포화와 불포화 hydrocarbon류 등이 확인되었다. 5. 엽표면 wax의 TLC상의 화학조성은 벼품종간보다 생육시기별로 달랐는데 분얼기는 극성 성분인 diol, fatty acid, fatty alcohol류들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출수기에는 이들과 비극성 성분인 fatty aldehyde, fatty ester, 포화 및 불포화 hydrocarbon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벼 엽표면 wax를 이루고 있는 조성을 화학성분별로 탄소수면에서 보면 diol류는 C30 단일물질로, fatty alcohol류중 primary인 경우 C13과 C32가 주종이었고 secondary는 C14, C16, C30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ldehyde류는 C29-C34까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Fatty ester중 acid 부위는 aldehyde 부위보다 저탄소수분포를 보였고 주로 C22, C23이었고, alcohol류는 C13, C22, C24, C26 등으로 품종에 따라 다른 구성을 보였다. Hydrocarbon류는 품종과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탄소수가 홀수인 물질이었으며 주로 C29와 C31이었다.

  • PDF

국립암센터의 양성자 치료를 위한 수동형 다엽 콜리메이터 개발 (Development of Manual Multi-Leaf Collimator for Proton Therapy in National Cancer Center)

  • 이누리;김태윤;강동윤;최재혁;정종휘;신동호;임영경;박정훈;김태현;이세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4호
    • /
    • pp.250-257
    • /
    • 2015
  • 양성자 치료를 위해서는 Snout이 부착된 받침대(gantry)를 사용하는데 빔의 형태를 만들기 위해 환자 종양의 크기와 거리에 맞게 황동 차폐체(aperture)가 많이 사용된다. 또한 빔의 거리를 보정하기 위해 PMMA를 이용한 거리 보상체도 사용된다. 이렇게 황동으로 만들어진 차폐체의 경우 가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비용 발생이 높다. 또한 치료 사용되었던 차폐체의 방사선 노출에 따라 재사용이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황동 차폐체 대신 X-선 치료에서 사용되는 수동형 다엽 콜리메이터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수동형 다업 콜리메이터는 여러 개의 황동판을 조립하여 차폐체를 제작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는 제작된 수동형 다엽 콜리메이터의 방사화 실험 및 필름을 이용해 선량측정을 진행하였다. 다엽 콜리메이터를 투과한 2차 발생 선량 1% 이하였으며, 여러 번의 230 MeV의 빔에서도 방사화가 2시간 이내에서 감소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수동형 다엽 콜리메이터를 임상에 적용하여 일반 차폐체와 수동형 다엽 콜리메이터를 감마지표 분석을 했을 시 99.74%의 높은 일치도가 측정되었다. 또한, 일반 황동 차폐체에 비해 수동형 다엽 콜리메이터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1/1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다. 개발된 수동형 다엽 콜리메이터는 성공적으로 양성자 환자치료에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