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cell wall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8초

수직수문하의 경계층흐름 (Boundary Layer Flow Under a Sluice Gate)

  • 이정열
    • 물과 미래
    • /
    • 제27권3호
    • /
    • pp.95-105
    • /
    • 1994
  • 수직수문하의 경계층 흐름(boundary layer flow)이 경계고정좌표계(Boundary- Fitted Coordinate System)에서 무작위 소용돌이 판 방법(Random Vortex Sheet Method)과 요소내 소용돌이 방법(Vortex-in-Cell Method)을 이용하여 수치계산되었다. 수치해에 의한 수문을 따라 형성된 경계층이 수축률의 실험자료와 비점성이론에 의한 그 결과의 차이를 유발하는 주원인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 동안 주원인일 것으로 믿어왔던 바닥면 경게층의 역할은 수문면의 그 것보다는 적은 것으로 수치계산되었다. 또한 차원해석을 통하여 경계층 흐름에 의한 수축율의 그 차이가 수문 길이의 평방근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Benjamin(1956)에 의하여 분석된 것과 결국 동일한 것임이 밝혀졌다. 수치모델과 차원해석에 따른 결과는 Benjamin(1956)에 의해 얻어진 수축률의 실허미와 비교하여 만족할 만하였다.

  • PDF

Production of Oleamide, a Functional Lipid, by Streptomyces sp. KK90378

  • Kwon, Jeong-Ho;Hwang, Sung-Eun;Han, Jae-Taek;Kim, Chang-Jin;Rho, Jung-Rae;Shin, Jong-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1018-1023
    • /
    • 2001
  • Oleamide (cis-9-octadecenamide) is endogenous primary amide of fatty acid that is produced in small amounts in animal brains. It is known to induce sleep and to lower temperature by destroying the lipid plasma membrane structure of cells, thereby disclosing gap junction channels. To develop a new biological production method for oleamide, a screening program was conducted to isolate a microorganism producing oleamide. Among 1,500 soil microorganisms tested, KK90378 exhibited a potent positive reaction with Dragendoff`s reagent, used to detect the primary amide of oleamide. KK90378 was identified as a Streptomyces species based on cultural and morpo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f diaminopimelic acid in the cell wall, and the sugar patterns for the whole-cell extrat. Streptomyces sp. KK90378 produced oleamide 3 days after culture at $28^{\circ}C$, pH 7.2 A series of purification steps, including hexane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and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ies, were performed for the purification of oleamide. A spectrophotometric analysis using $^1H$, $^13C$-NMR, and GC-MS confirmed that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purified oleamide was identical to that of authentic oleamide.

  • PDF

전단파와 전자기파를 이용한 연약 지반의 실내 압밀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onsolidation Properties in Soft Soils Using Elastic and Electromagnetic Waves)

  • 이창호;윤형구;김준한;이종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8호
    • /
    • pp.25-34
    • /
    • 2008
  • 연약 지반의 거동 특성 평가를 위하여 전단파 속도와 전기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압밀셀을 개발하였다. 전단파의 발진과 수신을 위한 벤더엘리먼트는 압밀셀의 상 하부판 및 벽면에 설치하였다. 국부적인 간극비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중 쐐기 형식의 전기저항 탐침을 적용하였다. 벤더 엘리먼트와 전기저항 탐침은 나일론 재질의 스크류 안에 고정하였다. 나일론 재질의 스크류는 압밀셀과의 임피던스 차이로 인하여 압밀셀을 통한 파의 직접적 전달을 최소화하며, 고장난 벤더 엘리먼트와 전기저항 탐침을 쉽게 교환하게 해준다. 전기저항-대수 시간 곡선의 기울기 및 전단파 속도의 변화로부터 일차 압밀 시간을 평가하였다. 교란 효과가 적을 경우, 입자 배열은 전단파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부터 흙의 고유 이방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압밀 실험동안 침하량으로 산정한 간극비와 전기저항으로부터 계산된 간극비는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단퐈 속도와 전기저항이 일차 압밀, 고유 이방성, 간극비 등 연약 지반의 압밀 특성 파악을 위한 보완적인 정보를 제공해 줌을 보여준다.

Bacillus subtilis EK11 유래 Protopectinase를 처리한 단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weet Persimmon Treated with Protopectinase from Bacillus subtilis EK11)

  • 이대희;이승철;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9-34
    • /
    • 2003
  •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서 식품의 맛과 더불어 저장성, 열안정성 및 색조유지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B. subtilis EK11 유래의 PPase는 식물조직 중엽부의 주성분인 불용성 protopectin을 분해하여 단세포화하는 효소이다. PPase를 단감에 작용시켜 단감 고유의 세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내 성분들의 파손 없이 단세포를 유리하였다 PPase처리된 단감 단세포화물의 착즙 후 회수율과 잔사율은 각각 95%와 5%로서, 기계적 마쇄물에서 의 85%와 15%에 비하여 높은 회수율과 낮은 잔사율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당, 자당,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섬유의 함량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단세포 처리에 의하여 이들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식품중 열 또는 빛 에 가장 불안정한 비타민 C의 경우 단감 단세포화물은 1일 경 과 후에도 50% 이상이 보존되는 것으로 보아 단세포에 의한 일반적인 구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 보호됨을 알 수 있다. PPase로 처리된 단감 단세포화물을 4$^{\circ}C$에서 9일간 저장하며 색조를 관찰한 결과, 단세포화물에서는 뚜렷한 색조의 차이가 없었고 기계적 마쇄물에서는 변색이 일어났다. 또한 단감 단세포화물을 10$0^{\circ}C$에서 60분간 열처리한 후 관찰한 결과, 기계적 마쇄물의 경우 짧은 처리에도 변화를 보였으나 단세포화물에서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효소적 단세포화물의 높은 열 안정성을 의미한다. PPase를 이용한 단감의 단세포화는 음료제조 및 원료보존에 유용하게 응용가능하며, 나아가 단감 단세포화물의 폭넓은 식품소재화 가능성과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제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Lung Cancer)

  • 박해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호
    • /
    • pp.72-82
    • /
    • 1991
  • From May 1978 to Sep. 1990, 106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primary lung cancer and operated on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Han Yang University, were clinically evaluated. 1. The peak incidence of age was 5th decade of life[37.7%] and 6th decade[29.2%]. Male to female ratio was 3.8: l. 2. Most of symptoms were respiratory, which were cough, chest pain, hemoptysis, and asymptomatic cases were 2.9%. 3.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53.7%], adenocarcinoma [23.8%], bronchioloalveolar cell carcinoma[6.6%], undifferentiated large cell carcinoma[6.6%], small cell carcinoma[3.8%], adenosquamous carcinoma[3.8%] and others[1.8%]. 4. Methods of operation were pneumonectomy 49.1%[52cases], lobectomy 21%[22cases] bilobectomy[6cases], lobectomy with wedge resection[3cases], exploration 21.9%[23cases], and resectability was 78.3%. 5. Staging classifications were Stage I [22.6%], Stage II [11.3%], Stage IIIa[42.6%], Stage IIIb[21.7%] and Stage lV[1.6%]. Resectability by Stage; Stage I was 100%, II 100%, IIIa 84.4% and IIIb 30.4%. 6. Causes of most of inoperable cases were invasion of mediastinal structures and diffuse chest wall, and others were contralateral lymph node invasion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 7. Operative mortality was 6.7% which caused by arrhythmia, sepsis, pulmonary edema, and radiation pneumonitis. 8. On the long term follow up of the resectable cases, overall 1 year survival rate was 58.5 %, 2 year 39%, and 5 year 19.5%. Five year survival rate was 40% in Stage I, 25% in Stage II and 11.7% in Stage Illa. As for the method of operation, the higher 5 year survival rate was observed in lobectomies[33.3%] than in pneumonectomies[10.3%].

  • PDF

Deup1 Expression Interferes with Multiciliated Differentiation

  • Miram Shin;Jiyeon Lee;Haeryung Lee;Vijay Kumar;Jaebong Kim;Soochul Park
    • Molecules and Cells
    • /
    • 제46권12호
    • /
    • pp.746-756
    • /
    • 2023
  • A recent study revealed that the loss of Deup1 expression does not affect either centriole amplification or multicilia formation. Therefore, the deuterosome per se is not a platform for amplification of centrioles. In this study, we examine whether gain-of-function of Deup1 affects the development of multiciliated ependymal cells. Our time-lapse study reveals that deuterosome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300 nm have two different fates during ependymal differentiation. In the first instance, deuterosomes are scattered and gradually disappear as cells become multiciliated. In the second instance, deuterosomes self-organize into a larger aggregate, called a deuterosome cluster (DC). Unlike scattered deuterosomes, DCs possess centriole components primarily within their large structure. A characteristic of DC-containing cells is that they tend to become primary ciliated rather than multiciliated. Our in utero electroporation study shows that DCs in ependymal tissue are mostly observed at early postnatal stages, but are scarce at late postnatal stages, suggesting the presence of DC antagonists within the differentiating cells. Importantly, from our bead flow assay, ectopic expression of Deup1 significantly impairs cerebrospinal fluid flow. Furthermore, we show that expression of mouse Deup1 in Xenopus embryos has an inhibitory effect on differentiation of multiciliated cells in the epidermis. Taken together, we conclude that the DC formation of Deup1 in multiciliated cells inhibits production of multiple centrioles.

개에서 발생한 원발성 요관 이행세포암종 증례 (Primary Ureteral Transitional Cell Carcinoma in a Dog)

  • 김성수;이저순;윤수경;김수연;오현정;손정민;정선영;김보은;지서연;김대용;김완희;윤정희;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59-463
    • /
    • 2015
  • 14살령의 중성화 수컷 개가 혈뇨와 배뇨통으로 내원하였다. 복부초음파 검사에서 편측성 수신증과 요관 벽이 국소적으로 두꺼워진 수뇨관증이 진단되었다. 수술적 탐색으로 좌측 근위 요관에서 요관 유래의 관내 종괴가 확인되었으며, 종괴 절제술이 실시되었다. 요관 종괴는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유두상 이행세포암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안정적으로 회복되었으나, 수술 3개월 후 또 다른 종괴가 우측 신장에서 발견되었다. 신장 종괴에 대한 세포학적 검사 결과 간엽세포종양으로 진단되었다.

섬유소의 이용과 butyrate의 최근 연구 (Use of Cellulose and Recent Research into Butyrate)

  • 여태종;최인순;조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571-1586
    • /
    • 2012
  • 지구상에는 약 5,400여 종의 포유동물이 있고 그 중 약 1,000여 종은 풀을 뜯어 먹고 사는 초식동물이다. 초식동물 중에서 약 250여 종이 반추동물로 알려져 있다. 반추동물인 소와 양은 반추위에서 주로 발효가 일어나지만 비반추동물인 돼지와 사람은 맹장과 결장, 직장에서 주로 발효가 일어난다. 반추위 미생물의 종류와 우점도 Bacteroidetes 51%, Firmicutes 43% 존재하며, 사람의 대장미생물의 우점도Firmicutes 65%, Bacteroidetes 25%로 존재한다. 풀의 세포벽 구성성분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 발효에 의해 SCFA (short chain fatty acid)를 생성하게 되고 acetate, propionate, butyrate 생성비율은 60:25:15이다. 장내 primary butyrate transporter인 MCT1(monocarboxylatetransports-1)에 의해서 흡수된 butyrate는 SCFA receptor GPR43과 GPR41을 활성화시킨다. Butyrate는 강력한 anti-tumorigenic 기능을 가지고 있다. Butyrate는 다양한 cancer cell에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내의 기능 조절에 기여하고, 암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특성이 있다. Butyrate는 caspase의 활성화, HDAC (histone deacetylase) 활성을 억제하여apoptosis를 유도하고, p53 발현증가로 cell cycle arrest와 apoptosis를 유도한다. SCFA의 항 염증작용으로는 장 상피세포에서 IL-8 발현 감소, NO합성과 NF-${\kappa}B$ (nuclear factor ${\kappa}B$)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으로 인한 암 발생을 억제한다. Butyrate는 장 점막의 생리적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치료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폐색전 제거술 후 혈전에서 우연히 확인된 원발 미상 편평 상피 세포암 1예 (A Case of Primary Unknown Squamous Cell Carcinoma Incidentally Found in the Thrombus After Pulmonary Embolectomy)

  • 최창환;박영수;류동렬;박성하;고원기;안강현;박재민;김세규;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103-110
    • /
    • 1999
  • 저자 등은 폐색전증이 확인된 환자에서 지속적인 경구 warfarin 항응고 치료에도 불구하고 색전에 의한 호흡곤란 증상이 악화하여 시행한 색전제거술 후 혈전에서 원발 미상의 미분화 편평 상피 세포암이 확인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배추 (Brassica campestris L.) 제 1엽의 생장조절에 대한 Nitric Oxide의 역할 (The Role of Nitric Oxide on the Growth Regulation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Primary Leaves)

  • 함정훈;진창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293-300
    • /
    • 2005
  • 배추 유식물 제 1엽의 생장에 미치는 sodium nitroprusside(SNP: NO 공여체)의 생리적 효과를 NO에 의한 세포 분열조절의 가능성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배추 유식물에 서로 다른 농도의 SNP (0, 200, 500 및 $1000\;{\mu}M$)를 8일간 처리하고 배양한 결과 $200\;{\mu}M$ SNP 농도에서 최대 잎 생장을 보이면서 처리농도 의존 방식으로 잎의 생장에 영향을 끼쳤다. 잎의 생장반응과 일치하여, 잎의 엽록소 및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200\;{\mu}M$농도에서 최대로 증가하여 각각 대조구의 142%와 134%수준을 보였으나, 오히려 $1000\;{\mu}M$처리농도에서는 엽록소의 경우 미미한 감소와 그리고 단백질 함량에서는 13%의 감소가 일어났다. 게다가, 잎 조직의 DNA와 RNA 함량 역시 $200\;{\mu}M$ 처리시 최대로 증가하여 각각 대조구의 142% 및 139% 수준을 보였으나, 반면에 $1000\;{\mu}M$ 농도에서는 각각 대조구의 80% 및 84% 수준까지 감소되었다. 세포벽 합성과 관련된 효소 활성도 변화에서 phenylalanine ammonia-lyase와 guaiacol peroxidase 활성도는 $200\;{\mu}M$ SNP 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각각 최대 212%와 134% 증가 하였으나, $1000\;{\mu}M$ 농도에서는 두 효소 활성도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들 결과는 효과적인 농도에서의 SNP 처리에 의한 배추 제 1엽의 생장 촉진 현상은 세포분열 유도에 대한 NO의 능력에 기인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