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25초

전라도 일부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혈중 비타민 $B_{12}$ 수준에 따른 신체계측치 및 임상건강지표들의 비교 (Comparison of anthropometric data and clinical health indicators according to the serum vitamin $B_{12}$ status in female older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of Jeonla province, Korea)

  • 곽충실;조지현;연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3호
    • /
    • pp.239-249
    • /
    • 2013
  • Subclinical vitamin $B_{12}$ deficiency is common in the elderly worldwide.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with aging and compared anthropometric data and clinical health indicators between normal (${\geq}$ 340 pg/mL) and low (< 340 pg/mL) serum vitamin $B_{12}$ groups in 470 Korean women aged 65 years and over living in a rural area.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showed inverse correlation with age (r = -0.0992, p < 0.05). The normal $B_{12}$ group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red blood cell count, hemoglobin, and hematocrit compared to the low $B_{12}$ group, however, no difference in mean corpuscular volum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normal $B_{12}$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p < 0.01) and prevalence of vitamin D (p < 0.01) or folate deficiency (p < 0.001). Bone mineral density (T-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in the normal $B_{12}$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low $B_{12}$ group,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 = 0.1490, p < 0.01) with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No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data, physical activity, and smoking and drinking habit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it could be suggested that older female adults with normal serum vitamin $B_{12}$ level would be less anemic and osteoporotic and more resistant to hyperhomocysteinemia associated chronic diseases than those with low serum vitamin $B_{12}$ level.

한국 소아.청소년의 고열량 저영양 식품 섭취와 비만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Energy/Low Nutrient Food Consumption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허규진;남소영;이수경;정상진;윤지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6-242
    • /
    • 2012
  • Consumption of foods with high energy and low nutrient values has been linked to various health issues including obesity and chronic disea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gh-energy/low-nutrient food consumption status and its relationship with obesity status and intake of energy and nutrien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nd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WS).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2-18 year-olds was 8.4% and 10.8% in 2008 and 8.5% and 9.0% in 2009, respectively, in KNHANES.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12-18 year-olds was 13.9% in 2008 and 11.4% in 2009 in KNHANES, while it was 8.1% in 2008 and 8.2% in 2009 in KYRBWS. Consumption patterns of high-energy/low-nutrient foods were diverse depending on the particular food type. High-energy/low-nutrient foods such as cookies were most often consumed more frequently (2~3 times per week), but fast food type foods were generally consumed less frequently (once per week or les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highenergy/ low-nutrient food consumption and level of energy and nutrient intakes were found in either datasets. Adolescents who were not obese more frequently consumed ramen (p < 0.001), cookies (p < 0.001) and fast food (p < 0.001) than those who were obese in KYRBWS, however, such relationships were not found in KNHANES. This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could be probably attributed to the cross-sectional nature of the datasets. This study was limited by the cross-sectional nature of the data, therefore, further longitudinal research using various study techniques w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igh-energy/low-nutrient foods on child obesity.

비결핵항산균증 전국 실태조사 (National Survey of Mycobacterial Diseases Other Than Tuberculosis in Korea)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277-294
    • /
    • 1995
  • 연구 배경: 우리나라에서 과거 30년 동안 결핵 유병률은 현저히 감소되어 왔으나 비결핵항산균에 의한 질병의 발생빈도는 아직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는 전국 실태조사를 통하여 현재까지 확인된 전국의 비결핵항산균증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외국의 보고와 비교함으로써 일반 개업의 및 내과 전문의의 진료 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본 사업을 시행하였다. 방법: 조사와 분석은 1981년 1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에 의뢰된 검체중 비결핵항산균의 종(species)이 확인된 158예를 대상으로 검사를 의뢰한 병원의 진료의에게 증례 기록지를 보내어 정확한 임상 및 검사 정보를 기록하여 회신 하도록하는 후향적 조사 방법으로 그 결과를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1) 연도별로 보면 1981년에 1예, 1982년 2예 등으로 1990년 이전에는 매년 10예 미만 이던 것이 1991년에 14예, 1992년 10예, 1993년 4예, 1994년에는 96예로 1990년 이후가 전체의 84.2%를 차지하였다. 2) 연령은 10대 1예, 20대 6예, 30대 15예, 40대 19예, 50대 27예, 60대 51예, 70세 이상 39예로 60세 이상이 전체의 57%를 차지하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 114예(72.1%), 여자 44예(27.9%) 이었다. 3) 병원별 분포는 복십자의원 61예(38.6%), 보건소 42예(26.6%), 3차기관 21예(13.3%), 2차기관 15예(9.5%), 1차기관 10예(6.3%) 이었으며, 지역별 분포는 서울 98예(62%), 경상북도 17예(10.8%), 경기도 12예(7.6%), 충청남도 8예(5.1%), 경상남도와 충청북도 각각 5예(3.2%), 기타 지역이 6예(3.8%) 이었다. 4) 선행 폐 질환은 폐결핵 113예(71.5%), 기관지확장증 6예(3.8%), 만성 기관지염 10예(6.3%), 폐섬유증 6예(3.8%) 등이었다. 폐결핵의 발병 시기는 1년 이내가 7예(6.2%), 2~5년전 32 예(28.3%), 6~10년전 29예(25.7% ) 등으로 2~10년전이 전체의 54%를 차지하였다. 폐결핵의 치료 기간은 3개월 이내가 6예로 5.3%이었으며, 4~6개월이 17예(15%), 7~9개월 16예(14.2%), 10~12 개월 11예(9.7%), 1~2년 21예(18.6%), 2년 이상 8예로 7.1% 이었다. 폐결핵의 치료 결과는 완치가 44예(38.9%), 치료 설패가 25예(22.1%) 이었다. 5) 동반된 폐외질환은 만성 간질환과 만성 산부전이 함께 있었던 경우 각각 1예를 포함하여 당뇨병이 9예(5.7%)에서 있었으며, 심혈관계질환 2예(1.3%),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은 경우 2예(1.3%) 그리고 만성 간질환, 만성 신부전, 대장염 및 진폐증이 각 1예(0.6%)씩 있었다. 6) 비결핵항산균증이 발현한 임상상은 만성 폐 감염증 86예(54.4%), 경부 및 기타 임파선염 1예(0.6%), 기관지 결핵 3예(1.9%), 장결핵 1예(0.6%) 이었다. 7) 임상 소견은 기침 62%, 객담 61.4%, 호흡곤란 30.4%, 객혈 및 혈담 20.9%, 체중 감소 l3.3%, 발열 6.3%, 기타 4.4% 등 이었다. 8) 흉부 X-선 소견은 정상 7예(4.4%), 경증 20예(12.7%), 중등증 67예(42.4%), 중증 47예(29.8%)이었으며, 공동은 43예(27.2%)에서 동반되었고, 흉막염은 18예(11.4%)에서 동반되었다. 9) 비결핵항산균이 확언된 검사물은 객담 143예(90.5%), 객담 및 기관지세척액 4예(2.5%), 기관지세척액 1예(0.6%) 이었다. 동정된 비결핵항산균의 종류는 M. avium-intracellulare가 104예로 전체의 65.2%를 차지하였고 M. fortuitum 20예(12.7%), M. chelonae 15예(9.5%), M. gordonae 7예(4.4%), M. terrae 5예(3.2%), M. scrofulaceum 3예(1.9%), M. kansasii와 M. szulgai가 각각 2예(1.3%), 그리고 M. avium-intracellulare와 M. terrae가 동시에 확인된 경우가 1예(0.6%) 이었다. 10) 도말 및 배양 검사 결과는 4번의 검사 중 도말 음성, 배양 양성인 경우는 첫번째 검사상 59예로 37.3%이었고, 두번째 검사에서는 22.8%, 세번째 검사에서는 15.2%, 네번째 검사에서는 14.6% 이었으며, 도말 양성, 배양 양성인 경우는 첫번째 검사상 48예로 30.4% 이었고, 두번째와 세번째 검사에서는 각각 34예(21.5%), 네번째 검사에서는 22예(13.9%)이었다. 이상의 배양 검사 결과를 종합하면 4번 검사한 것 중에서 4회 모두 배양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가 21예(13.3%)이었고 3회 배양 양성은 37예(23.4%), 2회 배양 양성은 38예(24.1%)로 2번 이상 배양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는 총 96예(60.8%) 이었다. 11) 모든 비결핵항산균에 대한 약제 내성률은 INH 62%, EMB 55.7%, RMP 52.5%, PZA 34.8%, OFX 29.1%, SM 36.7%, KM 27.2%, TUM 24.1%, CS 23.4%, TH 34.2%, PAS 44.9% 이었다. M. avium intracellulare에 대한 내성률은 INH 62.5%, EMB 59.6%, RMP 51.9%, PZA 29.8%, OFX 33.7%, SM 30.8%, KM 20.2%, TUM 17.3%, CS 14.4%, TH 31.7%, PAS 38.5%이었다. M. chelonae에 대한 내성률은 INH 66.7%, EMB 66.7%, RMP 66.7%, PZA 40%, OFX 26.7%, SM 66.7%, KM 53.3%, TUM 53.3%, CS 60%, TH 53.3%, PAS 66.7% 이었다. M. fortuitum 에 대한 내성률은 INH 65%, EMB 55%, RMP 65%, PZA 50%, OFX 25%, SM 55%, KM 45%, TUM 55%, CS 65%, TH 45%, PAS 60% 이었다. 12) 비결핵항산균증의 치료는 129예(81.7%)에서 시행하였으며, 1차 치료 처방 중 INH와 RMP을 포함하는 복합 처방은 86예(66.7%) 이었고, INH 혹은 RMP 중 한가지만을 포함하는 처방은 30예(23.3%), INH와 RMP이 포함되지 않은 처방은 9예(7%)에서 있었다. 2차 치료를 시행한 65예의 처방은 2제 이하 2예(3.1%), 3제 15예(23.1%), 4제 20예(30.8%), 5제 9예(13.8%), 6제이상 19예(29.2%) 이었다. 치료 후 경과는 36예(27.9%)에서 호전, 65예(50.4%)에서 변화 없었으며, 4예(3.1%)에서 악화 4예(3.1%)에서 사망하였다. 호전된 경우 34예(94.4%)에서 균 음전이 확인되었으며, 균 음전 시기는 1개월 이내 2예(5.9%), 3개월 이내 11예(32.4%), 6개월 이내 14예(41.2%), 1년 이내 2예(5.9%), 1년 이상 1예(2.9%) 등 이었다. 결론: 비결핵항산균증 전국실태조사 결과 아직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비결핵항산균 감염 예가 많지 않으나 1990년 이후 비결핵항산균증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임상의들의 관심이 더욱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일 지역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건강행태에 관한 연구 -2014 지역사회건강조사- (A Study on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 Behaviors in a Region -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

  • 안옥희;최성희;김서현;류시옥;최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18-225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 경제적으로 급성장하면서 생활습관과 질병양상이 다양하게 변화하여 만성질환 발병에 중대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만성질환의 원인요소를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은 예방관리가 시급하며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2.4%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SPSS 23.0을 사용하여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 12,481명 중 충실히 응답된 전라북도 대상자 12,185명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강행태의 특성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유무 차이는 성별, 흡연, 연령, 교육수준, 격렬한 신체활동 일수 등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중 이상지혈증, 고혈압 및 당뇨가 있는 집단에게 음주, 흡연 및 격렬한 신체활동 요인에 관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참여를 활성화 시키는 방안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 지역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건강행태를 분석하여 건강생활실천 요소를 규명하고 건강증진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 조사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Gwangju, Korea)

  • 양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3호
    • /
    • pp.179-188
    • /
    • 2016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92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경제적 특징과 건강, 식생활 실태를 조사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조사에 응한 결혼이주여성의 평균 연령은 31.3세, 한국에서의 평균 거주기간은 5.5년이었으며, 출신국은 베트남 56%, 중국 26%, 필리핀 12%, 기타 국가 12% 등이었다. 가장 많이 앓고 있는 질병은 소화기계 질환, 빈혈, 신경계 질환 순이었고, 만성 성인병 유병률은 낮은 편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체위를 살펴보면, 현재 평균 체중은 54 kg으로서, 한국으로 이주할 때 체중과 비교하면 평균 3.8 kg 증가하였으며, BMI $25kg/m^2$를 기준으로 비만한 조사대상자는 17%였다. 식품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영양적 가치, 건강, 식품에 대한 기호도 순으로 건강에 관심이 높았으며, 식품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37.0%, 가족 28.3%, TV 또는 라디오 27.2% 순으로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되어 인터넷을 통한 정보습득이 가장 많았다. Mini dietary assessment로 판정한 식습관점수는 5점 만점 기준에 3.45이었으며, 유제품 섭취, 단백질 섭취, 규칙적 식사, 골고루 섭취하기 등에서 점수가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지방이 많은 음식이나 동물성 지방, 튀긴 음식, 당이나 탄산음료도 적게 섭취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변화정도를 살펴보면, 한국으로 이주 후 식습관이 많이 변했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33.7%였으며, 식습관 변화 내용으로는 식품섭취 증가와 관련되었으며, 특히 과일과 채소의 섭취가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거주 기간이 BMI, 허리둘레와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 있었으며, 거주 기간별로 비만, 질병 유병, 식습관 변화 정도를 살펴본 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인 그룹이 5년 미만인 그룹에 비해 식습관이 많이 변하고 비만율이 증가하였으나 질병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거주기간과 질병 유병률이 역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는 본 조사대상자의 한국 평균 거주기간이 비교적 짧아 한국 문화에 대한 적응단계가 이행단계와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 적응 및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은 결혼이주 여성 뿐 만 아니라 이들이 속하고 책임지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건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 결혼이주 여성에 대한 장기적이고 다양한 연구와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의료보장 형태에 따른 연간 가구 과부담 의료비 지출 추이와 관련요인 (The Trend in Household Catastrophic Medical Expenditure according to Healthcare Coverage Types and Its Associated Factors)

  • 이선화;감신;이원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67-4076
    • /
    • 2015
  • 본 연구는 2008년~2011년 "한국의료패널"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연간 가구 과부담 의료비 지출 추이와 과부담 의료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도별 과부담 의료비 발생률 추이는 교차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과부담 의료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화 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을 이용하였다. 연간 과부담 의료비 발생률 추이는 10%, 15%, 20%, 30%, 40% 역치 수준에서 각각 평균 25.1%, 15.4%, 10.1%, 5.4%, 3.2%로 나타났다. 과부담 의료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간 총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가구주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의료보장형태가 건강보험가입 가구일수록, 가구주가 장애가 있을수록,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총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가구원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을수록, 가구당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을수록 과부담 의료비 발생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전반적인 보장성 확대를 위한 노력과 동시에 특히 의료비 부담이 큰 노인 가구, 만성질환 가구 등의 취약계층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악성 흉선종으로 오인된 결핵성 심낭농양 1예 (A Case of Tuberculous Pericardial Abscess Mimicking Thymic Carcinoma)

  • 박지영;박승아;안영환;장길수;김소연;안정선;홍은영;임수영;김건일;서진원;박성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4호
    • /
    • pp.347-351
    • /
    • 2011
  • We report here an unusual case of pericardial tuberculoma that was misdiagnosed as thymic carcinoma on an imaging study. A 48-year-old woman was referred for evaluation of an anterior mediastinal mass.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of the chest displayed cystic masses mimicking thymic carcinoma at the anterior mediastinum. Pericardiotomy and surgical drainage of the cystic masses were done, and 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excised pericardial specimen showed a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with necrosis, compatible with tuberculosis. Acid-fast bacilli were also identified in the specimen. After treatment with anti-tuberculosis drugs and steroids, the patient showed clinical improvement. Although tuberculous pericarditis usually presents as pericardial effusion or constrictive pericarditis, it can also present as a pericardial mass mimicking thymic carcinoma on CT. Therefore, we suggest that tuberculous pericardial abscess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 mediastinal mass in Korea, with intermediate tuberculosis prevalence.

식도 이완 불능증과 간질성 폐렴을 동반한 전신성 홍반성 낭창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ssociated with Interstitial Pneumonia and Achalasia)

  • 권혜리;홍경욱;임승진;박소영;배영덕;김경호;최정희;모은경;박용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4호
    • /
    • pp.323-327
    • /
    • 2008
  • 전신성 홍반성 낭창은 자가 면역 질환으로 폐와 흉막을 침범하며, 드물게 다양한 형태의 간질성 폐질환을 일으킨다. 식도 이완 불능증은 식도 운동 질환으로 전신성 홍반성 낭창과 동반한 예는 아주 드물다. 전신성 홍반성 낭창에 속발한 식도 이완 불능증의 기전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신성 홍반성 낭창에서 간질성 폐렴과 식도 이완 불능증을 동반한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Goiter Frequency I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Gastric Adenocarcinoma than Urine Iodine Level

  • Tabaeizadeh, Mohammad;Haghpanah, Vahid;Keshtkar, Abbasali;Semnani, Shahryar;Roshandel, Gholamreza;Adabi, Khadijeh;Heshmat, Ramin;Rohani, Davood;Kia, Alireza;Hatami, Ehsan;Jahangirrad, Ataollah;Nabizadeh, Ramin;Larijani, Bagher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3권2호
    • /
    • pp.106-110
    • /
    • 2013
  • Purpose: We designed our study to evaluate the hypothesis that gastric cancer is correlated with iodine deficiency or thyroid dys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the total body iodine reserve, thyroid function status and autoimmune disorder in 40 recently diagnosed gastric adenocarcinoma cases versus 80 healthy controls. The participants came from a region with high gastric cancer rate but sufficient iodine supply due to salt iodination. The investigation included urine iodine level, thyroid gland clinical and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nd thyroid function tests. Results: Goiter was detected more frequently in the case group (P=0.001); such a finding, however, was not true for lower than normal urine iodine levels. The free T3 mea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05). Conclusions: The higher prevalence of goiter rather than low levels of urinary iodine in gastric adenocarcinoma cases suggests that goiter, perhaps due to protracted but currently adjusted iodine deficiency, i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gastric adenocarcinoma compared to the existing iodine deficiency itself.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도시지역 여자노인의 신체 및 건강수준 (Antropometric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omen Attend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in an Urban Community)

  • 권진희;윤희정;문효정;이재무;손윤희;박성화;이희경;이성국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62-768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women who attended in a Health Promotion Program of the Seo-gu Health Center in Daegu. The study subjects were 158 elderly women (over 65 years) in an urban community.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individual interviews using a questionnaire, Blood tests for analyzing their biochemical status were carried out. The averag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70.9 $\pm$ 2.3 years. Of the subject group 79.1% ranged in age from 65 to 74 year and 20.9% were over 75 years. With respect to health related factors, 23.4% of subjects drank alcoholic beverages and 15.2% of subjects currently smoke.The prevalence with chronic diseases was 51.9%, and 26.6% of the subjects were healthy. The diseases most frequently reported as having been or being treated were arthritis (38.1%), hypertension (21.4%), and diabetes (17.9%). The average height of subjects was below the standard established in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while the average weight was close to the standard. The means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130.2 mmHg and 71.9 mmHg, respectively. The mean serum albumin level was 4.5 mg/d$\ell$ and the value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was 12.5 mg/d$\ell$ and 0.7%, respectively. The mean serum cholesterol level was 207.1 mg/d$\ell$ and the mean triglyceride level was 187.7 mg/d$\ell$. The serum lipid levels were higher then in those reported in research. The serum cholesterol levels of 71.5% of subjec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The GOT and GTP levels were within the moderate range. In conclusi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ho attende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in the Seo-gu Health Center were very average. However,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 health management program to deal with the serum lipids so as to establish and maintain good health. When we carry out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in a community, individual program Of adequate to health status should be develop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