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alanc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초

학령기 아동의 시력저하 실태 및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Vision Disturbances in the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 신희선;오진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64-173
    • /
    • 2002
  • The vision disturbances of school-age children has been recognized as and important school health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urrent status of the visual health and to explore the related factors for the decrease in visual acuity in the elementary school age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697 children (Boys: 338, Girls: 359) of 4th to 6th grade in two school in urban area. The visual acuity data of the school health examination in 1999 and 2000 were utiliz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for children and parents was used for surve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ance rate of the children with the visual acuity less than 0.7 on the left eye were 26.84% ( Grade 4), 31.30% (Grade 5), and 38.39% (Grade 6). The rate on the right eye were 28.31% (Grade4), 30.37% (Grade 5), and 37.92% (Grade 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the visual acuity less than 0.7 according to grade (p<.01). 2.The rate of visual acuity decrease was 40.12%. 3.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crease in the visual acuity were grade, sex, genetic factor, posture, and the awareness of the visual acuity. There was more decrease in the visual acuity when the children were in higher grade (O.R= 1.06), girls (O.R=2.29). Children having parents with better vision (Father: O.R=1.26; Mother O.R= 1.25) showed better vis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ildren have siblings with glasses, there was more decrease in the visual acuity (O.R=2.31). Students with good posture during study (sitting on the chair) and watching TV to the lower direction showed less decrease in the visual acuity. Also, when the students know their visual acuity, the rate of decrease were lower. The variables which odds ratio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sex (p<.01), siblings with glasses (p <.01), and awareness of visual acuity (p<.01).

  • PDF

교정용 밴드 제거 후 미생물 분포 및 치주 조직의 임상적 변화 (Changes of periodontopathogens and clinical parameters of periodontal tissue after debanding)

  • 양유미;김성식;전은숙;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3-274
    • /
    • 2006
  • 본 연구는 밴드 제거 직후 및 4주 경과 후 치주조직의 임상적인 환경변화와 미생물 분포 변화를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최후방 구치에 밴드를 포함하는 고정식 교정 장치를 장착하고 교정 치료를 1년 이상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 22세, 남자 6명, 여자 11명). 최후방 구치의 밴드를 제거한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다음에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치은 연하의 치태를 채취하여 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치주질환에 관련성이 깊은 미생물 중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를 직접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밴드 제거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시점의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는 모두 하악 좌측 구치 협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상악 우측 구치 설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병원성 미생물 중 T. denticola가 밴드 제거 4주 후에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으며, 하악보다 상악에서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비록 밴드를 장착하여 치주 환경이 불량해졌다 하더라도 올바른 구강 위생 관리가 시행된다면 밴드를 제거한 후 정상적인 치주 상태로 회복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기공(氣功) 성향(性向)의 인식에 대한 수요조사 (A study on the Cognition of Qi-gong)

  • 김경철;김이순;이해웅;곽이섭;김철우;손향경;박태섭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67-75
    • /
    • 2010
  • Objectives : In order to study the standardization of Qi-gong, and the important spread of education in Qi-gong, we investigated to the cognition of Qi-gong. Method : The descriptive investigation was accomplished to examine the level about the standardization of Qi-gong and the propensity with the Qi-gong training specialist, Qi-gong experience people and non-experience people on a national scale. The data of 572 question papers (140 specialists, 132 Qi-gong experience people, 300 non experience people) were analyzed. The period of the data collection was from Jun, 1, 2009 to Jun, 30, 2009. Result : The motives of Qi-gong participation were Qi-gong training and the individual health. The merit of Qi-gong was beneficial to health. The difficulties of Qi-gong training were the serial motion and doing training alone. And in order to popularize Qi-gong, the motion must simple and the spread of Qi-gong need. The reason of non-participation was the deficiency of the contact opportunity and the reason of participation was beneficial to health. In the future, the national policy for the activation of Qi-gong was the spread of the national exercise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Qi-gong. Qi-gong was used in the side of the prevention and the principle of Qi-gong need the modern reinterpretation. And the effect of Qi-gong was more effective in musculoskeletal disease and the valuable part of Qi-gong was the health-longevity. Conclusion : With this, in order to develop the value of Qi-gong, the national support policy will be necessary. And the standardization of Qi-gong motion and program, the development of easy exercise, the educational prevalance, and publicity campaign will be necessary.

소화성 궤양 환자에서 위식도 역류 (Gastroesophageal Reflux in Peptic Ulcer Patients)

  • 서중산;김종혁;정문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02-308
    • /
    • 1999
  • 1998년 5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상부소화기내시경 검사상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 궤양으로 진단된 환자 중 24시간 보행성 식도산도검사를 완료한 57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57명 중 31명(54.2%)에서 병적 산역류가 관찰되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22명 중 5명으로 22.7%였다. 2) 소화성 궤양에서 역류의 양상은 대조군과 다른 경향이 있으며 3) 소화정 궤양 환자에서 증상만으로 위식도 역류의 유무를 평가하기는 어렵다. 4) 십이지장 궤양, 남자, H. pylori가 위식도 역류의 의미 있는 변수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소화정 궤양의 진단시와 치료 후 역류성 식도염 외에 위식도 역류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H. pylori 제균치료 후 소화기 증상이 남아 있는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경우 24시간 보행성 식도산도검사가 유용할 것이다.

  • PDF

신체의 지방분포양상과 고혈압 (Body fat distribution and hypertension)

  • 이충원;윤능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4권1호
    • /
    • pp.57-69
    • /
    • 1991
  • 중심성 지방분포와 고혈압과의 관계와 비근 내측 피부두께가 기존의 말초성 지방분포를 나타내주는 삼두근 피부두께에 비해 더 우수한 지표가 되는지를 알아보기위해서 1990 년 해군수중 근무자 특수신체검사자 중에서 450 명을 연구자의 편의에 의해 추출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27.9 세였고 범위가 19-51세었다. 말초성 지방분포의 지표로 삼두근과 비골 내측 피부두께를, 중심성 지방분포는 견갑골하 피부두께와 이것과 삼두근으로 이루어진 비와 차이로 측정을 했다. 신체의 지방분포를 나타내는 피부두께와 이 들을 기준으로한 비와 차이의 지수를 4 분위수로 나누어 첫 1/4 분위수를 기준으로 하고 나머지 3 가지 수준을 기준에 비교를 했다. 연령과 전체적인 비만도를 다중지수분석으로 통제를 한 후 고혈압과의 관계에서 견갑골하 피부두께가 기준인 1/4 분위수와 비교해 보아 2/4, 3/4, 4/4 분위수로 증가함에 따라 각각 2.05(95 % 신뢰구간 1.18-3.59), 2.02(1.06-3.86), 4.00 (1.99-8.06) 의 유병비차비를 보였다. 견갑골하 피부두께와 비골 내측 피부두께의 차이 역시 4/4 분위수가 되었을 때만 2.45 (1.28-4.68)의 비차비를 보였다. 그 외의 삼근 피부두께와 비근내측 피부두께에서는 기준에 비교해 보아 1 을 포함하지 않은 비차비는 없었다. 연령과 전체적인 비만도를 조정한 비차비는 조정치 않은 조비차비에 비해 대체적으로 조금 감소했다. 비근 내측의 피부두께는 삼두근 피부두께에 비교해보아 더 우수한 말초성 지방분포를 대표해주는 피부두께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체적인 비만도 수준과는 독립적으로 견갑골하 피부두께로 측정된 중심성 지방분포가 고협압과 관계가 있으며 우수한 중심성 지방분포를 나타내주는 지표가 됨을 시사해주는 소견이다.

  • PDF

경북지역에 있어서 간흡충 감염상의 변화 (Changing patterns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s in Kyongbuk, Korea)

  • 주종윤;정명숙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55-164
    • /
    • 1997
  • 경북지역에 있어서 간흡충 감염상의 변화를 1993년 5월부터 1995년 4월가지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항윈피내반응과 충란검사를 할과 아울러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에서의 본 충 피낭유충 기생 상을 조사하였다. 주민들에 있어서 간흡충 감염률은 7 .7%로 비교적 높았으며. 남성에서 11.3% 여성에서 4.1%로 유의적 차를 인정할 수 있었다. Catalytic model의 특이형을 적용하였던 바. 관측치로부터 얻어진 이론곡선은 남성에서 y = 0.4776($1{\;}-{\;}e^{-0.0375t}$). 여성에서 y = 0.2085($1{\;}-{\;}e^{-0.0138t}$)이었다. Muench의 two-stage catalytic model로 연령별 감염률을 추정하여 y = 0.025($1{\;}-{\;}e^{-0.047t}{\;}-{\;}e^{-0.0235t}$). 즉, 매년 간흡충 감염자는 주민 1.000명에 대괘 4.7명의 비율로 산출되며 감염자 1,000명 중 23.5명의 비율로 음성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흡충 감염자에 있어서 EPG의 cumulative percentage와 Bliss의 probittable를 이용하여 회귀방정식을 계산하였던 바. 남자에서 y : 0.929 + 1.506 logx. 여자에서 y : 0.473 + 1.767 logx이었다. 채집된 9과 25종의 어류 중 7종에서 간흡충 피낭유충을 검출할 수 있었으며. 평균 감염량이 참붕어에서는 58.1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10.2개인 몰개였으며 납지리 및 두우쟁이에서는 각각 3.6 및 7.0개이었다. 이상의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지역의 간흡충증은 수십년전에 비해 적게 유행되고 있으며 계속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캔디다 패혈증의 발생 추이와 위험 인자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andida Sepsi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최익선;임석환;조창이;최영륜;황태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7호
    • /
    • pp.836-846
    • /
    • 2002
  • 목 적: 신생아 캔디다 패혈증은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시행되지 않을 경우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특히 집중 치료가 필요한 저출생 체중아의 예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저자는 최근 6년간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캔디다 패혈증 발생 빈도와 추이, 임상 형태와 특징 및 위험 인자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방 법: 1995년 7월부터 2001년 6월까지 만 6년간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환아 4,587명 중 캔디다 패혈증으로 확진된 환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률, 임상 양상, 선행된 항생제 치료, 검사 소견, 장기 침범 유무, 위험 인자 및 사망 여부 등을 환아의 의무 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출생 시기, 출생 체중 및 재태 주령이 비슷하면서 캔디다 패혈증이 없었던 환아 29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위험 인자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6년간 캔디다 패혈증의 발생 빈도는 전체 입원 환아의 0.61%, 극소 저출생 체중 환아의 3.68%였으며, 연간 발생률은 전체 환아 및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캔디다 패혈증 환아에서 대조군에 비해 기도내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경피 중심 정맥 도관술(PCVC, percutaneous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제대 정맥 도관술, 총정맥 영양 사용, 지방유제 사용 및 dopamine 사용 빈도가 의의 있게 높았다(모두 P<0.01). 또한 기도내 삽관 유지 기간, PCVC 또는 제대 동 정맥 도관의 유지 기간, 금식 기간, 입원 기간이 캔디다 패혈증 환아에서 의의 있게 길었다(모두 P<0.01). 3) 캔디다 패혈증 발병 전 사용했던 항생제는 ampicillin/ sulbactam, ceftazidime, amikacin, netilmicin, teicoplanin, imipenem/cilastatin이 대조군에 비해 많았고(P<0.05), 이 중 ampicillin/sulbactam, ceftazidime, netilmicin, imipenem/cilastatin의 사용 기간이 길었다(P<0.01). 결 론 : 최근 6년 동안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캔디다 패혈증 연간 발생률은 전체 환아 및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의의 있게 밝혀진 이들 캔디다 패혈증 위험군에 대한 조기 감시 및 치료가 저출생 체중아를 중심으로 한 신생아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1996년 대전시 서북부에서 발생한 A형 급성 간염 (Outbreak of Hepatitis A in TaeJon in 1996 : Clinical and Epidemiologic Study in Children)

  • 최진욱;이경일;이동준;한지환;황성수;이경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1호
    • /
    • pp.90-96
    • /
    • 1997
  • 목 적 : 과거 소아기 간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A형 간염은 경제 발전에 따른 보건 위생 상태의 호전으로 최근 소아에서 점차 성인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며 소아기에서 보기드문 질환이 되었다. 저자들은 치근 대전지역에서 발생한 A형 간염의 환아에 대한 임상 및 역학적 연구로 A형 간염에 대한 관심을 다시 주지하고 폭발적 발생 가능성에 대비하는데 도움을 받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에 입원한 급성 A형 간염환아 31명을 대상으로 하여 발생시기, 발생지역, 성별, 연령, 임상증상 및 검사실 소견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발생시기는 7월, 8월, 9월에 각각 6례, 16례, 2례로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였으며(76%), 10월에 1례, 12월에 6례가 발생하였다. 2) 발생지역은 대전 서구가 27례로 87%를 차지했으며 특히 도마동에서 18례(58%)가 발생 하였다. 3) 발병 연령은 3세 이하는 없었으며 4~5세가 3명, 6~10세가 13명, 11~15세가 15명이었고, 남녀의 비는 1.4:1이었다. 4) 입원시의 주된 증상(symptom)으로는 짙은 소변 (83%), 오심 및 구토(74%), 식욕부진 (68%), 상복부통(65%), 발열(54%), 피로감(41%)이었으며, 그외 소양감(22%), 두통(19%), 관절통(6%), 변비(6%), 설사(6%), 어지러움(3%) 등을 보였고 입원하기 전까지의 증상 지속기간은 펑균 5.3일이었다. 징후(sign)로는 황달(77%), 간비대(90%)와 비장비대(48%)가 촉진 및 초음파 검사로 관찰되었다. 5) 검사실 소견으로 입원시 AST, ALT의 굉균치는 각각 910IU/dl, 1239IU/dl, ALP (alkaline phosphatase)는 856IU/이었으며, 입원중 최고 총빌리루빈치의 평균치 5.6mg/dl(직 접 빌리루빈 4.8mg/dl)이었다. 대부분 1달 후 정상화 되었으며 심각한 합병증을 보인 증례 는 없었다. 결 론 : 소아에서의 A형 간염은 중한 합병증이 없이 회복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오염원에 의해 전염성 A형 간염이 폭발적으로 발생(outbreak)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형 간염 항체의 역학적 연구를 통해 예방 접종의 필요여부 결정 및 오염원의 제거 등 예방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일부 도시노인들의 고혈압증 유병률 (Prevalence of Hypertension Among the Aged in Urban Area)

  • 김석범;강복수;정종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23-128
    • /
    • 1987
  • 도시 노인들의 고혈압증의 빈도 및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1986년 1월부터 동년 12월 사이에 대구시에 거주하는 노인 남자 565명, 여자 762명 총 1,327명에 대해 조사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축기혈압의 평균치는 $134.2{\pm}24.78mmHg$로 남자 $136.0{\pm}25.01mmHg$, 여자 $133.0{\pm}24.56mmHg$였다. 이완기혈압의 평균치는 $83.0{\pm}14.43mmHg$로 남자 $83.7{\pm}14.41mmHg$, 여자 $82.4{\pm}14.43mmHg$였다. 세계보건기구의 기준에 따른 고혈압증 유병률에 있어 pure systolic hypertension (${\geq}160$/<95mmHg)인 자는 7.2%로 남자 7.8%, 여자 6.8%였다. Pure diastolic hypertension (<160/${\geq}95mmHg$)인 자는 4.8%로 남자 6.0%, 여자 3.9%였다. Both systolic and diastolic hypertension (${\geq}60/{\geq}95mmHg$)인 자는 12.9%로 남자 13.5%, 여자 12.9%였다. 합동위원회의 기준에 의하면 normal (/<90mmHg)인 자는 49.1%로 남자 46.7%, 여자 50.8%였다. Mild hypertension (/90-104mmHg)인 자는 34.6%로 남자 34.5%, 여자 34.6%였다. Moderate hypertension (/105-114mmHg)인 자는 3.6%로 남자 5.1%, 여자 2.5%였다. Severe hypertension ($/{\geq}115mmHg$)인 자는 2.7%로 남자 2.3%, 여자 3.0%였다. Boderline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140-159/<90mmHg)인 자는 7.6%로 남자 9.0%, 여자 6.6%였다.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geq}160$/<90mmHg)인 자는 2.4%로 남자 2.3%, 여자 2.5%였다.

  • PDF

일부 도시지역 주민의 약물 장기복용에 관한 사회의학적 연구 (A Study on the Long-Term Use of Drugs Among Some Urban Residents)

  • 유호상;송동빈;염용태;차철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2권1호
    • /
    • pp.102-110
    • /
    • 1987
  • One of the familiar medical facility that most people reach easily in Korea is the drug store. In Korea, it is possible to purchase all kinds of common drugs without physician's prescriptions, which caused some problems. In other words, such treatment without professional supervision has led to medical,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In view of the above, this study is aimed at revealing the actual status of long-term use of drugs in some urban residents. Long-term use of drugs is operationally defined as using certain drugs at least once a week for more than 3 months. This survey took the residents of Guro 6-Dong where was one of the target areas for Community Health Development Project managed by Korea University as a target population. A sample of 1,517 residents was selected by the multistage sampling metho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on September 21st and 22nd in 1985.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 with that of the rural area which was obtained by the same method, tools and research team, prior to this study in 198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ge-standardization of the study showed that 97 per 1,000 urban residents were actually on long-term drug use. The prevalance of long-term use is high in accordance with aging and low with education level. 2) Out of 1,000 urban samples the most popular item involved in the long-term drug use was antipyretic-analgesic-antiinflammatory drug (26), and next in order was vitamin (23), antibiotics (13), digestives (10) and antacids (7). In the rural samples as for compare, that was antipyretic-analgesic-antiinflammatory drug (100), antacids (36), digestives (23), adrenocortical hormones (12) etc. 3) With antipyrctic-analgesic-antiinflammatory drugs, 50% of the urban samples were taking for more than a year, whereas such were 82.7% of the rural samples. Using such a high percentage of antipyretic-analgesic-antiinflamatory drugs in the rural residents is probably due to the high prevalence rat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4) The urban long-term drug users of antipyretic-analgesic-antiinflammatory drugs were influenced mostly by the mass media (43.6%), next in order was pharmacist (35.9%) and physician (10.3%). Comparing with the result from the rural areas the role of mass media was much more influencial in the urban areas. 60% of them consulted with pharmacists, 14.3% with physicians and 25.7% had no history of consultation in the urban samples. 5) Considering the incidence of knowing the possible side-effects of each drug, 28.2% of the urban residents had no recognition about side-effects prior to use antipyretic-analgesic-antiinflammatory drugs. In the rural residents, 29.67o had no knowledge about the side-effects before using the drug. 6) For the solution of the abov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advertisement of some drugs by the parmaceutical company. And therapeutic drugs which may bring on side effects in case of long-term use should not be sold at drug stores without physician's prescrip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