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sure-sensitive adhesiv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 of Enhancers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on the Transdermal Delivery of Fentanyl

  • Lee, Ji-Young;Jang, Joon-Ho;Choi, Hoo-Kyu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4호
    • /
    • pp.223-22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TDDS) for fentanyl used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cancer pain. The effect of type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n the permeation of fentanyl from polyisobutylene (PIB), silicone and acrylic adhesive was evaluated. Due to the good adhesive force and relatively steady flux for 3 days, both acrylic and PIB adhesives were chosen for further study. The permeation rate of fentanyl was the highest from acrylic adhesive with hydroxyl functional group. Permeation rate increased linearly as the concentration of fentanyl in acrylic adhesive was increased from 2.5% to 10%. In case of PIB adhesive, crystals of fentanyl were developed above 5% drug load. $Crovol^{(R)}$ A40, $Crovol^{(R)}$ PK40 and Plurol $oleique^{(R)}$ provided higher flux of fentanyl.

Transdermal Delivery of Estradiol and Norethindrone Acetate: Effect of Vehicles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trix

  • Chun, Myung-Kwan;Choi, Hoo-Kyu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3호
    • /
    • pp.173-177
    • /
    • 2005
  • Addition of 30% propylene glycol was required to maintain sink condition in the evaluation of percutaneous absorption of estradiol and norethindrone acetate. The permeability of estradiol was higher in silicone and SIS adhesives. However, estradiol was crystallized in silicone, SIS, and SBS adhesive matrix. The permeability ratio of estradiol or norethindrone acetate from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varied widely depending on the functional group of the acrylic adhesives. PEO grafting to acrylic adhesive seemed to change physicochemical property of acrylic adhesive and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estradiol and norethindrone acetate significantly. On the contrary, highly cross-linked enhancer compatible acrylic adhesive decreased the permeability of both estradiol and norethindrone acetate. $Span^{\circledR}$ 20 provided the highest enhancing effect on the permeability of both estradiol and norethindrone acetate followed by oleic acid and $Crovol^{\circledR}$ EP40. The permeability of the drugs from the developed system was comparable to that from commercial $Combitran^{\circledR}$, although significantly lower amount of estradiol and norethindrone acetate were loaded in the developed system.

자외선이 차단되는 창문용 점착시트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UV Blocking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Window)

  • 김성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59-564
    • /
    • 2011
  • PVC 기재에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는 종래의 방법 대신, 점착제에 차단제를 혼합하여, 유리창에 부착하는 창문용 점착시트를 제조 하였다. 무기계차단제와 유기계차단제를 모두 사용 하였으며, 파장 280-400 nm 구간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자외선 차폐성능을 평가하였다. 무기계보다는 유기계차단제의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1%만 첨가하여도 투명도나 점착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대부분의 자외선을 차단하였다.

용액중합에 의한 편광필름용 아크릴 점착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Polarizer Film by Solution Polymerization)

  • 임창혁;정영재;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2호
    • /
    • pp.175-181
    • /
    • 2009
  • 편광필름용 점착제를 합성하기 위해 아크릴 모노머를 사용하여 용액중합을 수행하였다. 아크릴 모노머는 2-ethylhexyl acrylate, butyl acrylate, acryl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개시제는 benzoyl peroxide, 용매는 ethyl acetate가 사용되었다. 모노머의 비율은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 $-40^{\circ}C$에 맞추어 2-ethylhexyl acrylate: butyl acrylate: acrylic acid = 25:50:3.6 이였다. 개시제의 첨가량은 점착제의 젖음성과 초기점착력을 고려하여 모노머 대비 0.09%로 결정하였다. 모노머와 용매의 비율은 젖음성과 투과율을 고려하여 1:1.7로 하였다. 점착제 필름의 투과율은 점도가 낮을수록, 분자량이 작을수록, 분자들 간의 얽힘이 적어져서 굴절율이 낮아지고 투과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사용가능 기간의 측정에서 모노머와 용매의 비율이 1:1.7일 경우 점도가 200분이 지나도 커다란 변화가 없어 저장안정성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을 이용한 Pressure Sensitive Adhesive 제조 및 계면 가교 반응이 점착 물성에 미치는 영향 (Preparation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ing Reactive Polyurethane Resin and the Effect of Interfacial Crosslinking on the Adhesion Property)

  • 신진섭;김지헌;정인우;김중현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81-85
    • /
    • 2005
  • 카르복실화된 비반응성 및 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을 이용, 아크릴 단량체의 반회분식 유화중합법을 통해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레진의 종류, 함량 그리고 가교제의 투입 방법에 제조된 점착제의 점착 성능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실험에서 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에 의해 제조된 점착제가 비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에 의해 제조된 것에 비해 우수한 점착 성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acetoacetoxy ethyl methacrylate와 1,6 hexane diamine을 가교제로 도입하여 제조된 점착제는 혹독한 가습조건에 계면가교반응으로 인해 월등한 peel strength를 보여 주었다.

알루미나와 흑연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아크릴 점착제의 연구 (A Study on Thermal Conductiv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Alumina and Graphite)

  • 오지환;장선호;유성식;조을룡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3-98
    • /
    • 2017
  • 2-Ethylhexyl acrylate, but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nd 2-hydroxyethyl methacrylate were polymerized to synthesiz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Alumina and graphite as a filler were added to acrylic PSA to give thermal conductivity. In case of addition of both graphite and alumina,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SA was increased compared with alumina alone due to enhancement of contact between two fillers followed by increasing thermal path in PSA matrix.

  • PDF

편광필름용 아크릴 점착제의 합성에서 커플링제와 가교제의 효과 (The Effects of Coupling Agent and Crosslinking Agent in the Synthesi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Polarizer Film)

  • 임창혁;류훈;조을룡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19-325
    • /
    • 2009
  • 편광필름용 점착제를 합성하기 위해 아크릴 단량체를 사용하여 용액중합이 수행되었다. 사용된 아크릴 단량체는 2-ethylhexylacrylate, butylacrylate, acrylic acid였으며, 비율은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 $-40^{\circ}C$에 맞추어 2-ethylhexylacrylate: butylacrylate: acrylic acid=25:50:3.5로 하였다. 중합된 점착제에 커플링제를 1 wt% 첨가하였을 때 점착제의 광투과율이 매우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커플링제의 Si-O 결합이 액정셀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킨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가교제를 단량체 대비 0.5, 1.0, 1.5 wt% 첨가하였을 매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점착력은 감소하고 응집력은 증가하였다. 접촉각 분석에서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표면에너지가 커져 접촉각이 감소하였다. 내열성 측정에서 가교제의 증가나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아크릴 점착제는 우수한 내열성을 보였으며 절단면의 관찰에서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절단면이 매끄럽고 깨끗하였다. 종합적으로 점착제의 초기점착력, 응집력, 표면에너지, 절단면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정 가교제의 투입량을 1.0 wt%로 확정하였다.

가교제 및 pH 조절제가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 물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rosslinking Agent and pH Controlling Agent on Adhesive Properties of Water Soluble Acrylic PSA)

  • 서인선;박명철;이명천
    • 접착 및 계면
    • /
    • 제4권3호
    • /
    • pp.9-1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점착제의 유지력 개선과 pH 조절을 위해 각각 첨가해 주는 가교제와 pH 조절제의 종류 및 첨가량이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합된 점착 시료에 여러 가지의 가교제와 pH 조절를 첨가해 준 후 초기점착력, 유지력 및 점착력 등의 점착 물성과 수용성을 측정하였다. 가교제를 0.2 wt% 미만 첨가해 주었을 때, 초기 점착력은 감소하였고 유지력과 점착력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0.2 wt% 이상 첨가해 주었을 때는 초기 점착력은 증가하였지만 유지력과 점착력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pH 조절제를 첨가해 주었을 때 pH 조절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점착력과 수용성은 감소하였고 점착력과 유지력은 증가하였으며, LiOH, KOH, NaOH 순으로 점착 물성과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