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ed

검색결과 2,239건 처리시간 0.03초

관광자원화를 위한 문화재보호구역 내 미술관 리노베이션 계획연구 -사적 제314호 광주 분원리 조선백자도요지 내 폐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useum Renovation in the Preserved Area of Cultural Properties for Sightseeing Resources)

  • 정영환;유보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43-54
    • /
    • 2004
  • 문화재의 이해는 당시 사회상의 이해와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우리 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중한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ㆍ관리하여 후손에게 길이 물려주는 일은 가장 중요한 국가적 과업의 하나이며, 국민의 문화의식 제고와 민족문화의 창조적 발전을 위해서 그 무엇보다 먼저 지키고 보호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1962년 ‘문화재보호법’ 이 제정되어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문화재보호정책은 많은 전통문화유산을 계승ㆍ발전시키는데 큰 몫을 다하고 있다. 특히 문화재보호법 중 ‘문화재보호구역’ 은 보다 적극적으로 문화재와 문화재주변의 역사적 문화환경권을 보호할 수 있는 중요한 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는 반대로 해당 문화재 특히, 매장문화재의 발견과 문화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주민들은 해당지역에 적용되는 문화재보호법으로 인해 주변 사유지에 대한 재산행사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됨은 물론 지역 경제발전에도 많은 제약이 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까지 경제논리에 맞는 국토개발과 전통문화유산의 보호는 항상 정책논리에 의해 충돌하여 왔고 그 대립은 지역주민의 많은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보호구역 내 공공시설인 폐교의 리노베이션(renovation)을 통해 매장문화재 보호의 적절한 방법ㆍ전시공간계획 및 전시매체ㆍ부대시설을 제안함으로써, 부동산문화재(매장문화재)를 보호함과 동시에 주변 거주자들의 문화적 ㆍ경제적 혜택 증대를 위한 실증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세스를 모색한다. 즉, 이용자의 관찰을 통해 공간 행태의 본질과 행위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공간디자인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조형언어로 발전된다면 인간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가 나타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용자의 행위와 심리를 디자인에 반영함으로써, 물리적 데이터에 근거한 기존의 공공공간 디자인과는 달리, 인간 삶의 질적 향상을 지향하고 보다 인간 중심적인 디자인이 창출될 수 있다.하게 될 것이다이다.e design stresses and actual stresses are estimated.간공학적 실내 설계 및 부속실의 편의성 도모, 외관통합 색채디자인 등을 통해 한국 고유형 고속전철 차량 디자인을 개발하였다.원형이자 조형기호로 상징적 체계와 미의식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현대적 구현과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한국문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한 정보자료화ㆍ디지털 컨텐츠화 작업은 독창적인 디자인 표현양식과 모티브의 발굴ㆍ정리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로 승부하는 작금의 문화경쟁시대를 대비하는 하나의 노력이 될 것이다.>${\ulcorner}$바우하우스의 구성교육${\lrcorner}$ 과 일치하였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 PDF

우리나라 젓갈의 지역성 연구(2) - 젓갈의 담금법- (A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otkal -The ways of preservation of chotkal-)

  • 서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9-161
    • /
    • 1987
  • 발효 원리에 의한 젓갈 담금법은 크게 젓과 식해로 구분된다. 젓은 9가지로 (1) 소금, (2) 소금 고추가루, (3) 소금 익힌 곡류, (4) 소금 고추가루 곡류, (5) 소금 메주가루, (6) 소금 누룩가루 콩가루, (7) 간장, (8) 젓갈, (9) 소금물 등에 담그는 것이다. 식해는 14가지로 (1) 쌀밥 소금 엿기름, (2) 쌀밥 소금 엿기름 밀가루, (3) 쌀밥 소금 고추가루 엿기름, (4) 조밥 소금 고추가루 향신료, (5) 쌀밥 소금 고추가루 엿기름 향신료, (6) 조밥 소금 고추가루 엿기름 무우채 향신료, (7) 조밥 소금 고추가루 무우채 향신료, (8) 쌀밥 소금 밀가루 고추가루 엿기름(설탕) (향신료), (9) 쌀밥 소금 고추가루 무우채 향신료 엿기름(설탕), (10) 찰밥 소금 고추가루 향신료, (11) 소금 무우채 고추가루 향신료, (12) 찰밥 소금 고추가루 엿기름 향신료, (13) 찰밥 소금 고추가루 엿기름 무우채 향신료, (14) 밀가루죽 소금 고추가루 엿기름(무우채) 향신료 등으로 담그는 것이다. 젓 담금법의 지역적 특색은 관서지방에서는 갑각류 중 게를 소금물에 담그는 가정이 많았고, 중부지방에서는 부족류 및 복족류 중 굴을 소금 고추가루, 소금 고추가루 익힌 곡류로 어리굴젓을 담그며 남부지방에서는 갑각류 중 민물새우를 소금, 소금 고추가루, 소금 익힌곡류, 소금 고추가루 익힌 곡류로 담그며, 관북지방에서는 어류를 소금 고추가루로 담그는 것을 알 수 있다. 식해 담금법의 지역적 특색은 우리나라의 동부지역에서 담근다. 이것은 동해에서는 사계절 생선을 잡을 수 있으므로 구태여 오래 보존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이며, 또한 동해안은 소금 생산량이 적기 때문에 소금이 풍부한 서해안에서는 젓이 발달하고, 소금이 부족한 동해안에서는 식해가 발달하게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식해 담금법 중 엿기름을 넣어 담그는 곳은 남부지역이고, 무우채를 넣어 담그는 곳은 관북지역이며, 관북지방보다 남부지방에서는 익힌 곡류의 양을 많이 넣는다. 고추가루는 관북 남부 모두 넣으나, 남부지방에서는 제찬용 식해에는 넣지 않는다. 식해에 넣는 곡류의 종류는 그 지역에서 생산이 많이 되는 곡류를 사용한다.

  • PDF

Contact lens care system의 미생물 오염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ntact lens care systems)

  • 김상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63
    • /
    • 1996
  • Soft contact lens 착용자 40명의 lens 관리체계와 결막의 미생물 오염을 조사하였다. Contact lens 착용자의 연령은 19-27세(평균22세)로 대부분 hydrogel contact lens를 1년 이하 착용하고 있었고 lens case의 사용기간은 1주-3개월 43%, 4-6개월 52%였다. lens의 소독은 27명(67%)이 화학소독을 실시하고 있었고, hydrogen peroxide와 열소독은 각각 8명(20%), 5명 이었다. Rinsing solution의 경우 14명이 시판되는 nonpreserved saline을, 26명(65%)은 preserved saline을 사용하고 있었다. Lens case 및 결막의 세균오염률은 각각 62%, 17%로 lens case의 세균오염률이 가장 높고 unpreserved saline(8/14), chemical(5/27), 그리고 결막순이었다. 진균 오염율은 lens case 및 결막에서 각각 67%, 15%이였고, 주로 lens case, unpreserved saline, 결막에서 오염이 심했다. Hydrogen peroxide 소독은 화학소독의 경우보다 hydrogen peroxide 용액 자체는 오염률이 현저하게 낮았으나 hydrogen peroxide 소독에 의한 contact lens 관리체계는 오염률에 있어서 다른 소독방법을 사용하는 관리체계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seudomonas aeruginosa는 각각 5개의 lens case(l3%)와 2개의 결막(5%)에서 또 Candida albicans는 11개의 lens case(27%)와 5개의 결막(12%)에서 각각 분리되었으며, 오염원 lens case와 결막으로부터 각각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Candida dlbicans, Aspergillus fumigatus와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fumigatus가 분리 확인되었다. 조사대상중 Acanthamoeba의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 PDF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preserved with sodium metabisulfite as a high-moisture ingredient in total mixed ration for ruminants: effect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in vivo metabolism

  • Ahmadi, Farhad;Lee, Won Hee;Oh, Young-Kyoon;Park, Keunkyu;Kwak, Wan Su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3호
    • /
    • pp.446-455
    • /
    • 2020
  • Objective: Our recent series of laboratory- and large-scale experiments confirmed that under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sodium metabisulfite (SMB) was effective in preserving nutri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highly perishable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FVD).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artial inclusion of SMB-treated FVD in total mixed ration (TMR) influences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whole-tract digestibility, nitrogen metabolism, blood metabolites, and voluntary feed intake of sheep. Methods: The FVD were mixed thoroughly with 6 g SMB/kg wet biomass and kept outdoors under aerobic conditions for 7 days. Four TMRs including four levels of SMB-treated FVD (as-fed basis) at 0%, 10%, 20%, and 30% (equaling to 0%, 1.9%, 3.8%, and 5.7% on dry matter basis, respectively), were prepared as replacement for corn grain. The ruminal fermentation metabolites were studied using an in vitro gas production test. Four mature male Corriedale sheep were assigned at random to the 4 diets for two separate sub-experiments; i) digestibility trial with four 21-d periods, and ii) voluntary feed intake trial with four 28-d periods. Results: Inclusion of SMB-treated FVD in the TMR tended to quadratically increase partitioning factor. No effect was seen on total-tract digestibility of organic matter, ether extract, crude protein, and acid detergent fiber, except for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that tended to linearly increase with increasing SMB-treated FVD in the TMR. The progressive increase of FVD preserved with SMB in the diet had no effect on nitrogen metabolism. Treatment had no effect on serum antioxidant capacity and blood metabolites assayed. Voluntary feed intake was not impaired by inclusion of SMB-treated FVD in the TMR. Conclusion: It appears that FVD preserved with SMB can be safely incorporated into TMR as replacement of corn grain without impairment of nutrient metabolism and feed intake.

한국전통 밑반찬류에 사용된 보존 Hurdle의 발굴 (Exploration of Preservation Hurdles in Korean Traditional Side Dishes)

  • 정순경;류은순;이동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9-268
    • /
    • 2006
  • 우리나라의 전통 밑반찬류에 대한 재료 및 가공에 대하여 보존적 burdle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첫째는 밑반찬에 사용되는 재료들에서 1차적인 hurdle이 적용되고, 2차로 양념류에서 burdle이 적용되어 저장성과 안전성을 부여하고 있다. 둘째는 조리과정에서 삶고, 데치고, 끊이고, 볶고, 튀기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수분활성도 및 pH를 조절하여 보존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밑반찬들의 염 농도는 $1{\sim}5%$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장아찌 종류를 제외한 채소류를 이용한 무침과 나물에서 약간 높은 염 농도를 보이고 있다. pH는 pH $4.7{\sim}6.4$범위 이며, 장아찌와 절임류 보다는 조림, 볶음, 무침, 나물이 높은 pH를 유지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조림과 볶음의 경우 $40\;^{\circ}Bx$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무침과 나물 그리고 장아찌, 절임의 겨우는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수분활성도는 나물의 경우 $0.93{\sim}0.95$이고, 강낭콩조림과 생선조림의 경우 $0.77{\sim}0.88$ 이다. 총균수는 조리과정에서 튀김 또는 데치기를 거친 반찬의 경우 $10^2-10^4cfu/g$과 같이 낮은 수준 이었으나 장아찌와 무침의 경우는 $10^5cfu/g$이상의 균수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 밑반찬들의 보존 hurdle은 사용하는 재료들의 배합 비율과 삶기, 데치기, 볶기 등의 조리과정에 의해 수분활성도, pH 그리고 염 농도를 조절함으로서 보존상태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대건축 등록문화재의 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ation Method of Modern Registered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 신웅주;이상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9-127
    • /
    • 2014
  • This study suggests institution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preservation of South Kore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The suggested approach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registration and preservation system for cultural properties, we need to employ both structure-based classification and style-based classification. Registration criteria for modern architecture properties need to includ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in terms of their structure: brick structure, steel concrete structure and post lintel structure. In terms of construction style, the properties need to b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western style, the traditional style and the Korean-western eclectic style. In addition, protec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eed to be achieved through legislation of a protection system. Second, while the current system sets out six methods for preserv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more specific preservation methods types and plans need to be continuously introduced. In particular, as for the method of partial preservation, the method needs to be further classified based on the usage of the relevant structure so as to allow for more diverse options. First, the 'Preservation by Interior Alteration' needs to be added to the category, where the exterior is preserved as it is and the interior is preserved through alteration. Also needs to be added the preservation method where the interior space is preserved as it is and the exterior space is altered, in case the finishing materials of the exterior has deteriorated. Third, if the records on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are to provide the functions of legal evidences regarding management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sources of knowledge required for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and past management record for the future, each phase needs to be closely connected in an organic manner, and we need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and plan that go beyond the relevant organizations. Fourth, in order to preserve South Kore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in its original state, it is imperative to prepare separate criteria for registration of technicians with expertise on modern architecture, and train experts and technicians on modern architectur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족배동맥 유리피판술을 이용한 수부 재건: 공여부 이환율 최소화 방법 (Dorsalis Pedis Free Flap for Hand Reconstruction: A Technique to Minimize Donor Deformity)

  • 손대구;김현지;김준형;한기환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3권1호
    • /
    • pp.43-50
    • /
    • 2004
  • One of the major advantages of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for defects of the hand is that these techniques allow for selection of the most ideal tissue to reconstruct a particular defect, thus optimizing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outcome. The dorsalis pedis free flap is an excellent reconstructive tool for various hand reconstructions. It has a reliable vasculature with vessels that are relative large on a long pedicle. It provides thin pliable tissue and be innervated by deep peroneal nerve. Coupled with its thinness and pliability, it is ideal for innervated cover of critically sensitive area, especially such as the hand. Thus it can be used as a cutaneotendinous flap, or an osteocutaneous flap. Otherwise, the major criticism with this flap is related to its uncertain vascularity and the donor defect.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outline our technique of flap elevation and donor site closure and to indicate our current use of this flap in hand reconstruction. We have treated 10 cases (6 burn scar contracture cases, 4 acute hand trauma cases) of hand reconstruction from Dec. 3, 1997 to Mar. 4, 2004 using dorsalis pedis free flap. The key points for sucess in terms of a viable flap and acceptable donor site are the preservation of the critical dorsalis pedis-first dorsal metatarsal vascular axis and the creation of a viable bed for grafting. In addition, we substituted preserved superficial fat skin graft for split thickness skin graft and wet environment was offered for good graft take. Preserved superficial fat skin is defined as composite graft containing epidermis, dermis and superficial fat layer. With sufficient care in flap elevation and donor site closure, a good graft take of preserved superficial fat skin under wet environment can be achieved with no functional disability and minimal cosmetic deformity in donor site. This flap has proved itself to be a best choice for hand reconstruction.

  • PDF

Should an Aberrant Left Hepatic Artery Arising from the Left Gastric Artery Be Preserved during Laparoscopic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Treatment?

  • Kim, Jieun;Kim, Su Mi;Seo, Jeong Eun;Ha, Man Ho;An, Ji Yeong;Choi, Min Gew;Lee, Jun Ho;Bae, Jae Moon;Kim, Sung;Jeong, Woo Kyoung;Sohn, Tae S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6권2호
    • /
    • pp.72-77
    • /
    • 2016
  • Purpose: During laparoscopic gastrectomy, an aberrant left hepatic artery (ALHA) arising from the left gastric artery (LGA) is occasionally encounter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fine when an ALHA should be preserved during laparoscopic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2009 to December 2014, 1,340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underwent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One hundred fifty patients presented with an ALHA; of the ALHA was ligated in 116 patients and preserved in 34 patients. Patient characteristics, postoperative outcomes and perioperative liver function tes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Correlations between the diameter of the LGA measured on preoperativ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nd postoperative liver enzyme levels were analyzed. Resul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of the LGA and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on postoperative day 1 in the ALHA-ligated group (P=0.039, P=0.026, respectively). Linear regression analysis estimated the diameter of the LGA to be 5.1 mm and 4.9 mm when AST and ALT levels were twice the normal limit on postoperative day 1. Conclusions: We suggest preserving the ALHA arising from a large LGA, having diameter greater than 5 mm, during laparoscopic gastrectomy to prevent immediate postoperative hepatic dysfunction.

혈관문합 연습을 위한 보존된 복재정맥의 활용 (Microsurgical Training using Preserved Saphenous Vein)

  • 송제니퍼김;황소민;임광열;정용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91-395
    • /
    • 2010
  • Purpose: Given that the critical nature of the microvascular anastomosis to what is often a long and difficult reconstructive operation, trainees need to have a high level of microsurgical competence before being allowed to perform microsurgery on patients. Some artificial substitutes and dead or live animal models have been used to improve manual dexterity under the operating microscope. Yet, most surgeons are not equipped with such models, so search for easy available and appropriate microsurgical practice model have been an issue. Umbilical artery, placental vessels and gastroepiploic arteries have been previously suggested as a microsurgical training model, which involves other surgical departm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at saphenous vein specimen obtained from varicose vein surgery is useful and has many advantages as training model for the practice of microvascular anastomosis. Methods: The conventional technique using perforation/inversion method with a metallic stripper is widely performed for varicose vein patients. The stripper is inserted through disconnected safeno-femoral junction and retrieved at the knee or the medial side of ankle. The length of saphenous vein specimens removed is about that of one's leg and inversed from inside out. Obtained saphenous vein specimens are re-inversed and cleansed with normal saline, to be readily available for microsurgical practice. Preserved in a squeezed wet saline gauze and refrigerated, frozen or glycerated specimens were investigated into their comparative quality for microsurgical practice. Results: Varicose vein surgery remains one of the common operations performed in the field of plastic surgery. Convenient informed consent regarding the vessel donation can be easily signed. The diameter of the obtained saphenous vein is as variable as 1.5 to 6 mm, which is already stripped, and is in sufficient length corresponding to that of patient's leg. Vessels specimens were available for microsurgical practice within 1 week period when preserved with squeezed wet saline gauze, and the preservation period could be extended monthly by freezing it. Conclusion: Saphenous vein obtained from varicose vein patients provide with variable size of vessel lumen with sufficient length. The practice can be cost effective and does not require microsurgical laboratory. Additionally there is no need of involving other surgical departments in acquiring vessel specimens. Furthermore, simple preservation method of refrigerating for a week or freezing with squeezed wet saline gauze for a month period, allow the saphenous vein obtained after varicose vein surgery as an excellent model for the microsurgical practice.

에탄올 및 글리세린 처리방법이 카네이션 '데지오' 보존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Treatment Methods of Ethanol and Glycerine on Preserved Flower Quality of Carnation 'Desio')

  • 임영희;오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37-45
    • /
    • 2012
  • 본 연구는 보존화의 가공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화훼장식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카네이션(Dianthus caryophyllus) 'Desio' 꽃잎으로 에탄올 용액과 글리세린에 의한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에탄올 침지시간과 글리세린 처리 농도 및 침지시간이 보존화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탈수 및 탈색처리 효과는 꽃잎의 탈색이 완전히 이루어져 명도가 가장 높고, 채도가 낮은 24~48시간에서 적절하였다. 글리세린의 적정처리 농도는 30%에서 36시간 처리구의 먼셀값이 H값 4.0R, V값 6.49, 채도를 나타내는 C값은 19.8로 신선한 꽃잎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다. 건조 후 무게 변화에 있어서는 침지 시간이 길어지고 글리세린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율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2시간 침지 후 무게 변화는 글리세린 무처리구에서 시간에 따라 86~90%까지 감소한 반면, 40%로 농도가 높을수록 51~69% 감소하였고, 48시간 침지 후의 변화에서는 글리세린 무처리구에서 건조시간에 관계없이 90% 감소에 비하여 글리세린 40%에서는 46~54%로 감소율이 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소요시간은 글리세린 10~20% 농도에서는 글리세린 침지 6시간을 제외하고 모두 24시간이 소요되었고, 30~40%, 12시간 침지부터는 48시간이 소요되어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건조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