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ative Effect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4초

가토 하악과두 연조직 피개가 과두골성형술시 치유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CONDYLAR OSTEOPLASTY WITH PRESERVATION OF ARTICULAR COVERED SOFT TISSUE ON THE HEALING PROCESS IN RABBIT)

  • 장동호;이동근;김수남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3호
    • /
    • pp.241-251
    • /
    • 1991
  • During the condylar shaving procedure, the articular soft tissue cover can be removed. Author compaired the histological healing process of the articular soft tissue cover between the preservative and unpreservative group group with 45 New Zealand rabbits(Average wt. : about 2.5kg). In unpreservative group, the usual high condylar shave with the removal of soft tissue cover was performed. In the preservative group, the underlying bone, replaced in its original position and sutured. The animals were sacrified 1, 2, 3, 4, 6 weeks interval after operation. The specimens were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and decalcified, paraffin embedded and stained by Hematoxylin & Eosin, and Masson's trichrom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dyles of the both group were covered with an articular sop tissue layer. 2. The cartilage cells in subarticular layer has regular continuous patterns in the preservative group but frequently interrupted in the unpreservative group. 3. The incision made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articular surface for the elevation of the articular soft tissue frequently caused a deformity such as the interruption of the subarticular layer of cartilage. 4. By the above findings, the preservation of articular sop tissue cover may be the effective operation method on concept of bone remodelling.

  • PDF

기상열화가 방부처리재의 구리성분 용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celerated Weathering on the Leaching of Copper from Preservative Treated Wood)

  • 이명재;이동흡;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38-43
    • /
    • 2003
  • 본 연구는 앞서 발표한 「수용성 방부처리재의 촉진 기상열화 저항성 평가」의 부속실험으로서 기상열화가 방부처리재의 유효성분 중 구리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ACQ, CCA, CuAz 처리시편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외선 조사 유무에 따른 기상열화 조건에서 공통된 유효성분인 구리의 용탈량은 방부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인공강우만 실시했을 때보다 자외선 조사를 함께 겸했던 시편에서 높게 나타났다. 방부처리 전후와 방부처리재의 촉진열화 전후의 목재표면을 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구리가 정착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1731 cm-1, 1625 cm-1, 1510 cm-1 흡수대가 촉진열화에 의해 큰 변화를 나타냈다. 이는 리그닌과 결합되었던 구리가 리그닌의 자외선 열화시 리그닌과 함께 용출 되었음을 시사한다.

품종과 보존제의 처리가 춘계수확 연맥의 특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r and Preservative 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Spring Harvested Oat Hay)

  • 한건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7-314
    • /
    • 1996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 of cultivar and preservative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baled oat(Avena sativa L.) hay after 60 days of storage. Ihe main plots consisted of the cultivars such as 'Foothill' and 'Swan', and the subplots consisted of preservatives such as commercial propionic acid(CA), lactic bacteria inoculant(LB) and control(C0). Bale temperature of 'Foothill' oat hay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Swan' oat hay during storage. Bale temperature of oat hay treated with CA remained lowest during the earlier storage perio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preservatives during the latter storage period. Visual assessment of bale of 'Swan' oat hay was better in the evaluation of mold, odor and color than that of 'Foothill' oat hay after storage. DM content of Foothill oat hay increased markedly than that of 'Swan' oat hay through the storage period. CFU(Colony fodng unit) of total viable micmrganism of oat hay bales was not quite different between preservatives, but that of lactic bacteria of 'Swan' oat hay and 'Foothill' was different by over 16 and lo4, respectively. Total nitrogen content of 'Swan' and 'Foothill' oat hay was 1.45 and 2.22%, respectively(P<0.05) and effect of preservatives on total N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LB, CA, and CO. ADIN content of 'Swan' was lower than that of 'Foothill'(P

  • PDF

화학방부제 배합량 감소를 위한 폴리올류의 항균, 방부영향력 연구 (Effects of Polyols on Antimicrobial and Preservative Efficacy in Cosmetics)

  • 신계호;곽일영;이성원;서경희;문성준;장이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1-115
    • /
    • 2007
  • 일반적으로 화장품에는 제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paraben, 파라벤), 이미다졸리 디닐우레아, 페녹시에탄올, 클로로페네신 등의 화학 방부제가 배합되어 있다. 화학 방부제는 제형의 안정성 및 방부 유효성이 우수하지만,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를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배합량을 줄이거나 배제하고도 제품의 안정성 및 유효성이 높은 보존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부터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BG), 프로필렌글리콜(PG), 디프로필렌글리콜(DPG) 등의 폴리올류들은 보습성분 및 용매로 범용되고 있으며, 고농도로 사용할 경우 항균력이 있지만, 사용성을 떨어뜨리고,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등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폴리올류의 조성별 항균, 방부력 영향을 평가하고, 스킨케어 유화제형에서 방부제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올 조성을 도출하여 방부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사용성 및 안정성도 개선하는 것이다.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류의 항균 증가력을 측정한 결과 글리세린의 항균 증가력은 미미한 반면 BG, PG의 영향력은 유의(p < 0.05) 하였다. S. aureus를 대상으로 화학 방부제의 항균력 증가를 측정하고 상관성을 회귀분석한 결과 폴리올 1 %를 증량할 때 PG는 $2.1{\sim}8.4 %$, BG는 $1.8{\sim}8.4 %$ 방부제의 항균력을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되었다. 로션, 크림 등 유화제품에서 폴리올에 의한 방부력 증가율을 측정한 결과 글리세린의 경우 5 %까지 함량을 증가시켜도 방부력이 증진되지 않았으며, BG 및 PG는 $5.5{\sim}9.9 %$ 증가할 때 40 % 이상까지 방부력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폴리올의 항균, 방부 영향력 측정으로 유화 제품에서 폴리올 배합을 조정하여 방부제 사용량을 40 %까지 감소시키고 사용성과 안전성 그리고 제품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paraben-free, 저방부, 무방부 시스템 도입시 베이스 처방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경이 첨가가 국수와 떡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Shelf-life Extension of Noodle and Rice Cake by the Addition of Plantain)

  • 김건희;오석태;정해옥;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8-72
    • /
    • 1999
  • 식품 산업의 가공화, 인스탄트화에 따른 식품 보존을 위하여 합성식품보존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대체할 천인 보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질경이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식품 부채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한 결과, 2,000 $\mu\textrm{g}$/ml 도에서 B. subtilis, L. monocytogenes 및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질경이가 첨가된 국수와 떡은 대조군에 비하여 미생물의 집락이 적게 생겼으며 5, 3, 1% 순으로 총균수가 적었는데 대조군보다 총균수가 적었다. 질경이를 첨가한 국기 관능적 특성은 씹힘성과 전반적인 바람직한 정도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는데 1% 첨가군이 5% 첨가군보다 더 좋았다. 떡의 경우는 모든 항목에서 3% 첨가군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다(P<0.05).

  • PDF

아보카도 씨와 씨 껍질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as a Potential Natural Preservative)

  • 여지윤;이충현;박소영
    • 생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9-54
    • /
    • 2021
  • As the consumption of avocado fruits and avocado oils is steadily increasing, the amount of avocado seeds which are thrown away as by-products is also inceasing. Thus, the possibility of use of avocado seeds as natural preservatives was studied focused on the antioxidant effect. The extraction of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with 100% ethanol by maceration showed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and lowest IC50 values compared to 80% ethanol extract. Furthermore, 100% ethanol extract of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includ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polyphenols than 80% extract. However, total flavonoid content of 100% avocado seed extract was not signigicantly different from 80% seed extract, whereas that of 100% avocado seed husk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80% seed husk extract. In case of acid values, heating of oil alone for 120 and 180 m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id values, whereas the treatment of oil with seed and seed husk extract signficantly decreased the acid valu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oxidant effects of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protected the oil against heat-induced acidification. Thus,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have a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n natural antioxidant and natural preservative which could be used commercially.

Decay Resistance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 Lee, Hyun-Mi;Yang, Jae-Kyung;Kim, Jong-Ma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6호
    • /
    • pp.7-13
    • /
    • 2004
  • In this study, the Korean pine wood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Italian poplar wood (Populus euramericana Guinier) was treated with a mixture of monoammonium phosphate (MAP) and boric acid. Their usability as fire retardant and as decay-resistant construction and interior materials were evaluated by testing of chemicals, corrosion rate and absorption rate, weight loss and chemical contents.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mpare treated pine wood and Italian poplar wood. According to the results, Italian poplar wood had higher specific gravity and retention of chemicals than pine wood, and treated wood showed higher decay-resistance than untreated one. Weight loss was less in treated wood than untreated one because the degree of decay was lower in the former than the latter. Corrosion rate and absorption rate met the KS standard for wood preservative performance. The chemical contents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cay and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ative effect of chemical treatment was lower in Italian poplar wood than in pine wood.

Effects of plant preservative mixtureTM on in vitro germination of Dendrobium thyrsiflorum Rchb.f. and its application in orchid conservation

  • Tran Trung Chanh;Nguyen Tan Huy;Nguyen Thu Ha;Khanh Le;Nguyen Huu Hoa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08-114
    • /
    • 2023
  • In vitro conservatio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for rare plant protection, especially for orchid species. To maximize the success rates of in vitro explant establishment (stage I) in conservation programs, the application of tissue culture additives such as Plant Preservative MixtureTM (PPMTM) should be emphasized. In this study, we used Dendrobium thyrsiflorum Rchb.f. (1875) seeds and seedlings as a model for the evaluation of PPMTM's phytotoxicity in the meristematic tissues of epiphytic orchids. PPMTM had no observable inhibitory effect on protocorm, shoot, or root development when it was supplemented at 0.1%. PPMTM supplementation caused adverse effects on D. thyrsiflorum explants at concentrations > 0.2%. At high concentrations, young in vitro seedlings showed damage, especially at the root tissue level. Based on this model, supplementation of 0.1-0.2% PPMTM to culture media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to establish in vitro cultures of other rare orchid species in our conservation program.

펙틴분해물의 항균특성과 식품보존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Pectin hydrolysate and its Preservative Effect)

  • 박미연;최승태;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5
    • /
    • 1998
  • Citrus 펙틴을 효소로 가수분해시켜 얻은 펙틴 분해물이 35%가 되면서부터 항균력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하여 75%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완전분해(100)%)된 펙틴 분해물을 배지에 2.0% 첨가하면 $35^{\circ}C$에서 24시간까지 Escherichia coli ATCC 11229의 생육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펙틴분해물의 항균력은 pH 4.9~5.5 범위에서 가장 좋았으며 균종별로는 젖산균을 제외한 대부분의 세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젖산균과 곰팡이류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약하였으며 효모에 대하여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대부분의 세균은 펙틴 분해물을 2.0~3.0% 첨가하므로써 $35^{\circ}C$에서 48시간까지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Lactococcus Lactis ATCC 19435, Lactobacillus Bulgaricus, Pencillium funiculosum ATCC 11797은 대조구에 비하여 30~40% 만이 억제되었으며 Saccharomyces formosens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glycine, ethanol, sodium ascorbate, sodium chloride 또는 sodium acetate 등의 화학보존료를 병용하면 펙틴 분해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항균력이 상승하였다. 김치에 펙틴 분해물을 1.0% 첨가하여 $4^{\circ}C$에 저장하면 섭취하기에 알맞은 김치를 pH를 유지하는 기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적어도 15일 이상 연장되었다. 또한 빵속에 펙틴분해물을 1.5% 첨가하면 $25^{\circ}C$에서 저장 4일째 대조구에 비하여 4 log cycles 그리고 저장 10일까지도 2 log cylces 정도 균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펙틴 분해물은 천연식품보존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젖산균이나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작용이 미약하거나 없으므로 젖산균이나 효모를 이용하는 발효식품의 품질보존제로서 아주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의 화학 보존료와 병용하므로써 화학 보존료의 첨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화장품의 방부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onionic surfactant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ervatives in cosmetic products)

  • 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2-63
    • /
    • 1992
  • 방부제와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하였을 경우 미생물에 대한 방부력 변화를 검토하고자 Imidazolidinyl urea, Methylparaben, Imidazolidinyl urea와 Methylparaben 혼합체 3종의 농도에 따른 각 농도별 계면활성제 Tween 20, Tween60, Tween 80의 첨가가 S. aureus ATCC E. coli ATCC 10536, P. aeruginosa NCTC 10490에 대한 방부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으며, 아울러 제품내에서 Tween 60 계면활성제 농도에 변화를 주었을 때의 방부력 변화를 조사하였다. 1. S. aureus ATCC 6538 Methylparaben과 Imidazolidinyl urea 혼합체에 대해 내성을 전혀 갖지 않았다. 2. E. coli ATCC 10536은 Mithylparaben에 대하여 내성을 전혀 갖지 않았다. 3. Mithlparaben과 Imidazolidinyl urea 혼합체는 Gram 음성균, Gram 양성균에 넓은 향균 spectrum을 나타났다. 즉, 방부제는 단일 사용시보다 혼합 사용시 상승효과를 가졌다. 4. Imidazolidinyl urea는 Polyoxyethylene(20) Sorbitan fatty acid ester류에 의해 전혀 방부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에 시험균주 3종에 대해 내성이 잘 되었다. 5. Muthylparaben은 Polyoxyethylene(20) Sorbitan fatty acid ester류에 의해 불활성화가 큰 폭으로 나타났다. 6. 방부제 Methyparaben 0.2%를 함유하는 제품에 비이온 계면활성제 Tween 60의 량을 0.5, 1.0, 2.0%로 달리 첨가하였을시 D-value는 제품내 비이온 계면활성제 Tween 60의 량이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커졌다. 즉, 비이온 계면활성제 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stearate에 의해 Methylparaben이 제품내에서도 불활성화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