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ature

검색결과 1,620건 처리시간 0.026초

방글라데시 지하수 내 비소 오염 현황 및 처리기술 (Current Status and Technologies for Treating Groundwater Arsenic Pollution in Bangladesh)

  • ;;전민수;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2-154
    • /
    • 2022
  • 지하수의 비소(As) 오염은 방글라데시의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 독성은 부종, 피부암, 방광암, 폐암, 각화 과다증, 조산, 흑사병과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 지하수의 오염은 주로 인위적 활동의 영향을 받는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에서 발생된다. 방글라데시 국민의 대부분이 지하수에 식수를 의존하고 있기에 비소 오염 현황을 조사하고 물이 부족한 지역에 안전한 식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소 처리를 위한 수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92개의 논문을 기반으로 방글라데시의 지하수 As 오염 관련 최근 현황과 다양한 저비용 정화 기술에 대한 트렌드를 조사하였다. 방글라데시에서 지하수 비소 오염이 가장 높은 지역은 Brahamanbariya, Tangail, Barisal, Pabna, Patuakhali 및 Kurigram등 총 4곳이며, Magura 및 Faridpur 등의 지역에서는 비소 농도가 0.05mg/L를 초과한다. WHO 표준 가이드라인 값(<0.01 mg/L)을 만족하는 지역은 Kushtia, Khagrachari, Jessore, Dinajpur, Meherpur 및 Munshiganj 등 총 6곳으로 나타났다. 수중에서 As를 처리하는 기술이 다양하다. 시간-비용효율적인 처리 방법은 Mg-Fe계 Hydrotalcite와 유사 화합물, electro-chemical As remediation (ECAR) reactor, aerated electrocoagulation 등이 적용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예산, 운영 및 유지 관리 비용, 재료의 가용성 및 전문 지식 요구 사항 등을 고려하여 수질 내 비소를 처리해야 한다.

Effect of Prenatal Antibiotic Exposure on Neonatal Outcomes of Preterm Infants

  • Kim, Hyunjoo;Choe, Young June;Cho, Hannah;Heo, Ju S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49-159
    • /
    • 2021
  • 목적: 산모의 산전 항생제 사용은 여러가지 면에서 태아 및 신생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소 미숙아 또는 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산모의 산전 항생제 투여 기간이 신생아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15년 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출생한 재태주수 32주 미만 또는 출생 체중 1,500 gram 미만인 신생아 및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산모의 산전 항생제 투여 기간에 따라 미투여 군, 7일 이하 군, 7일 초과 군의 세 군으로 나누어 산모의 특성, 환아의 특성 및 합병증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145명 중 93명의 환아가 산전 항생제에 노출되었으며, 그 중 35명(37.6%)는 7일 이하 군, 58명(62.4%)는 7일 초과 군이었다. 7일 초과 군은 미투여 군에 비해 재태 연령에 따른 출생체중의 Z-score가 교란변수 보정 후에도 유의미하게 높았다(beta, 0.258; standard error, 0.149; P<0.001).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7일 초과 군은 사망(adjusted odds ratio [aOR], 8.92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82-53.775), 그리고 사망, 괴사성 장염, 후기 패혈증의 복합 평가 결과와 연관이 있었다(aOR, 2.375; 95% CI, 1.027-5.492). 결론: 산모의 장기간 산전 항생제 투여는, 극소 미숙아 또는 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재태 연령에 따른 출생체중의 Z score을 증가시키며, 사망 뿐 아니라 사망, 괴사성 장염, 후기 패혈증의 복합 평가 결과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국내 키위 주산지 토양 및 엽 화학성과 과실 특성 (Soil and Leaf Chemical Properties and Fruit Quality in Kiwifruit Orchard)

  • 김홍림;이목희;정경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58-166
    • /
    • 2022
  • BACKGROUND: Kiwifruit is a fruit tree with relatively small cultivation area in Korea and researches on its soil and physiology are very limited compared to those on cultivar development. Therefore, there are limited information for farmers to cope with the reduction in productivity due to various physiological disorders and premature ag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oil and leaf chemical properties, and fruit characteristics, whi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table kiwifruit orchard soil management. METHODS AND RESULTS: The soil and leaf chemical properties, and frui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wo years in 16 kiwifruit orchards growing 'Hayward' (Actinidia deliciosa) in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Soil and leaf samples were collected in July and fruit quality was investigated by harvesting fruits about 170 days after full bloom. The averag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kiwi orchard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e recommended level, except for pH, and especially, the exchangeable potassium reached about 300% of the recommended level. The proportions of orchards that exceeded the recommended level of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63, 31, 100, 69, 94, 88 and 69% for pH, EC, organic content,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respectively. Thirty-three percent of orchards had more than 100 mg/kg of nitrate nitrogen in soil. Available phosphate in soil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f nitrogen, phosphoric acid and calcium content, but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f potassium content. The magnesium content in the leav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il pH. The highest fruit weight was observed in about 25 g/kg of leaf nitrogen content which could be attained when plants were grown on the soil containing about 100 mg/kg of nitrate nitrogen content. The average soluble solids content among 16 orchards was 9.58 °Brix at harvest and 13.9 °Brix after ripening, which increased about 45%, and the average fruit weight was about 110 g. CONCLUSION(S): For fruit quality, fruit soluble solids (sugar compounds) cont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af potassium content, fruit hardiness with leaf total nitrate, calcium and magnesium, and fruit titratable acidity with leaf magnesium; however, leaf calcium and magnesium negatively affect the soluble solids contents in fruits.

임신 중 교통사고 환자의 한방치료에 대한 일반인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Traffic Accident Patients during Pregnancy)

  • 황보경;정우진;남궁진;김수덕;박미소;구승혁;김성현;문현우;백혜경;정재중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9-36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Korean Medicine (KM) treatment for traffic accident (TA) patients during pregnancy. Methods: A self-develop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outpatients and inpatients between the ages of 19 and 70 at KM hospitals located in Bucheon. The subjects were asked whether they thought KM treatment could be applied to TA patients during pregnancy. The perceptions of acupuncture, pharmacupuncture, herbal medicine, and Chuna treatment during pregnancy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87.50% answered that KM treatment could be applied to TA patients during pregnancy. Most respondents thought that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A could be treated with KM (85.71%). 93.75%, 87.50%, 56.25%, and 52.08%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ere willing to recommend acupuncture, pharmacupuncture, herbal medicine, and Chuna treatment to patients after TA during pregnancy.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acupuncture (95.83%), pharmacupuncture (91.67%), herbal medicine (62.50%), and Chuna (66.67%) is effective for pain controlling during pregnancy, and acupuncture (8.33%), pharmacupuncture (12.50%), herbal medicine (45.83%), and Chuna (39.58%) could be affect the risk of premature birth, miscarriage or birth defects. Conclusions: Acupuncture and pharmacupunture treatment are perceived positively, whereas herbal medicine and Chuna treatment are perceived negatively by the general public for the TA patients during pregnancy. In order to establish the correct awareness of KM treatment for TA patients during pregnancy, more clinical studies and case reports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KM treatment during pregnancy are required.

미숙아의 성장과 관련 요인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preterm infants)

  • 전지수;서원희;정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5호
    • /
    • pp.572-586
    • /
    • 2022
  • 본 연구는 미숙아의 체중을 추적 조사하여 성장곡선 체중 z-score 값으로 성장 상태를 확인하고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이다. 출생 체중, 재태연령, 출생 시 NICU에서의 의료적 처치 (CPR, 산소치료, 위장관 삽관), NICU 입원 기간 및 퇴원연령, 수유 문제, 일일 추정 수유량이 체중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출생 체중과 연령이 적은 그룹이 유의하게 초기 성장 정도가 더 낮았으나 교정연령 3개월 이후부터 12개월까지의 체중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재태연령 40주 이후의 연령-체중 z-score가 평균 이하인 그룹이 출생 체중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보아 장기적인 성장에 출생체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NICU에서 의료적 처치를 받고 NICU 입원 기간이 긴 경우 성장곡선의 50 백분율 이하로 성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퇴원 후 2개월간 수유과정 중 문제가 없으며 더 많은 양을 섭취한 그룹이 성장곡선에서 더 상위에 있었으며 더 잘 자랐다. 또한 NICU 퇴원 후 가정에서 자녀가 초기보다 하향 성장을 하고 있을 때, 외부의 도움 및 커뮤니티 케어를 필요로 하므로 미숙아 성장 지원을 위하여 커뮤니티 케어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미숙아의 출생 체중 및 연령, NICU에서의 처치는 초기의 체중 성장에 영향을 끼치며, 재태연령 40주 이후의 성장 증진과 성장지연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올바른 섭취를 통한 원활한 영양공급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미숙아 성장 추적은 NICU 퇴원 후에도 지속되어야 하며 성장 증진 관련 변수, 특히 영양 지원에 적극적인 개입과 지지가 필요하다.

악교정수술 병력을 가진 과도한 치아 마모를 보이는 환자의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n the patient with severely worn-out dentition and orthognathic surgery history: A case report)

  • 탁상명;정창모;허중보;이소현;윤미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33-43
    • /
    • 2023
  • 전체 치열에 걸쳐 나타나는 병적 마모는 교합 평면의 붕괴, 수직고경의 감소, 전치부 조기 접촉, 부적절한 전방유도 및 치아 이동의 문제를 야기하여, 측두하악관절 장애 및 저작 효율의 감소, 치아 과민반응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과도한 치아 마모(wear)를 보이는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원인에 대한 분석과 함께 수직고경 변화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45세 여성으로 악교정수술 병력이 있었으며, 임상 검사, 방사선 검사, 모형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치아의 마모, 상악 전치부의 치간 이개, 하악 과두의 후방위, 보철 수복을 위한 악간 공간 부족을 확인하였다.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구강회복술을 계획하였으며, 가철성 교합 안정장치 및 임시보철물로 새로운 수직고경에 대한 환자의 적응을 평가하였고, 적응된 수직고경을 유지하기 위해 임시 수복물을 기준으로 교차 마운팅을 시행해 최종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교합 관계의 안정적인 회복을 통해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유치 치수치료가 치아 탈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Effect of Pulp Treatment on the Exfoliation of Primary Teeth)

  • 방세정;한미란;김종빈;이준행;김종수;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4-34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 치수치료가 치아의 상실에 미친 영향과 관련 요인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는 단국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유치 치수치료를 받은 6개월 - 12세의 환자 97명의 167개 치아가 포함되었고, 치수치료와 치아상실에 관련된 정보가 수집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남자 56명(57.7%), 여자 41명(42.3%), 치아는 유전치 72개(43.1%), 유구치 95개(56.9%)였다. 평균 관찰기간은 106.1 ± 38.7개월이고, 치료 시 연령은 평균 유전치 34.8 ± 15.4개월, 유구치 69.1 ± 25.1개월이었다. 한 악궁에서 한쪽 치아만 치수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좌우측 동명치 탈락 또는 발치 시기를 비교하였을 때 치수절제술된 치아가 유의하게 빨리 상실되었다(p < 0.05). 또, 치료 전에 치근단 염증을 보이는 경우, 치수치료 후에도 염증으로 인해 발치할 확률이 유전치에서 증가했고(p < 0.05, Odds Ratio = 11.04), 유구치에서는 그렇지 않았다(p > 0.05). 치수절제술이 시행된 유치는 유전치에서 평균 7.8개월, 유구치에서 평균 8.5개월 조기 탈락하였다. 유치의 조기 탈락은 공간상실과 계승 영구치의 조기 맹출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유치의 치수치료 및 치료계획 수립 시 판단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orbidity and Mortality Trends in Preterm Infants of <32 Weeks Gestational Age with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 A 14-Year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 Eui Kyung Choi;Hyo-jeong Kim;Bo-Kyung Je;Byung Min Choi;Sang-Dae Ki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316-323
    • /
    • 2023
  • Objective : Owing to advances in critical care treatment,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preterm infants born at a gestational age (GA) <32 weeks has consistently improved. However, the incidence of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has persisted, and there are few reports on in-hospital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surrounding in-hospital morbidity and mortality of preterm infants with severe IVH over a 14-year period. Methods : This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620 infants born at a GA <32 weeks, admitted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20. After applying exclusion criteria, 59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fants were grouped based on the most severe IVH grade documented on brain ultrasonography during their admission, with grades 3 and 4 defined as severe. We compared in-hospital mortality and clinical outcomes of preterm infants with severe IVH for two time periods : 2007-2013 (phase I) and 2014-2020 (phase II). Baseline characteristics of infants who died and survived during hospitalization were analyzed. Results : A total of 54 infants (9.0%) were diagnosed with severe IVH over a 14-year period;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rate was 29.6%. Late in-hospital mortality rate (>7 days after birth) for infants with severe IVH significantly improved over time, decreasing from 39.1% in phase I to 14.3% in phase II (p=0.043). A history of hypotension treated with vasoactive medication within 1 week after birth (adjusted odds ratio, 7.39; p=0.025) was found to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mortality. When comparing major morbidities of surviving infants, those in phase II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undergone surgery for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29.2% vs. 0.0%; p=0.027). Additionally, rates of late-onset sepsis (45.8% vs. 14.3%; p=0.049) and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25.0% vs. 0.0%; p=0.049)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hase II survivors than in phase I survivors. Conclusion : In-hospital mortality in preterm infants with severe IVH decreased over the last decade, whereas major neonatal morbidities increased, particularly surgical NEC and sepsi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multidisciplinary specialized medical and surgical neonatal intensive care in preterm infants with severe IVH.

소 수정란의 세포주기조절 핵이식에 의한 재구축배의 세포학적 특성 (Cytogenetic Properties of Bovine Reconstituted Embryos by Cell Cycle-Controlled Nuclear Transfer)

  • 정희태;박춘근;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1-278
    • /
    • 1999
  • 본 연구는 핵이식 기술에 의한 재구축 배의 작성과정에서 핵의 세포주기단계에 따른 재구축 배의 염색체의 핵상변화를 검토하고, 염색체의 핵상변화와 핵이식란의 체외발육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공핵란은 nocodazole 처리에 의해 분할구가 분열기에 정지되도록 한 후, 분열개시 1.5 시간 이내, 분열 후 3 시간째 핵 및 무처리 분할구 핵올 활성화 전 (metaphase-II기 : M II기 ), 후 (S 기)의 탈핵 미수정란 세포질에 이식하였다. MII기 수핵란에 핵이식 된 재구축 배의 극체상 방출, 미성숙 염색체응축, 염색질구조 변화 등과 같은 핵형 변화 형태 및 재구축 배의 발육능은 핵의 세포주기 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극체상 방출 유무에 따라서도 재구축 배의 발육율에 차이가 있었다. S기 수핵란에 핵이식 된 경우에는 이식된 핵의 형태변화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구축 배의 핵형 변화가 핵 및 세포질의 세포주기단계에 따라 다양하며, 이것이 핵이식 재구축 배의 발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증한다.

  • PDF

The gene expression programming method to generate an equation to estimate fracture toughness of reinforced concrete

  • Ahmadreza Khodayari;Danial Fakhri;Adil Hussein, Mohammed;Ibrahim Albaijan;Arsalan Mahmoodzadeh;Hawkar Hashim Ibrahim;Ahmed Babeker Elhag;Shima Rashidi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8권2호
    • /
    • pp.163-177
    • /
    • 2023
  • Complex and intricate preparation techniques, the imperative for utmost precision and sensitivity in instrumentation, premature sample failure, and fragile specimens collectively contribute to the arduous task of measuring the fracture toughness of concrete in the laborator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and refine an equation based on the gene expression programming (GEP) method to calculate the fracture toughness of reinforced concrete, thereby minimizing the need for costly and time-consuming laboratory experiments. To accomplish this, various types of reinforced concrete, each incorporating distinct ratios of fibers and additives, were subjected to diverse loading angles relative to the initial crack (α) in order to ascertain the effective fracture toughness (Keff) of 660 samples utilizing the central straight notched Brazilian disc (CSNBD) test. Within the datasets, six pivotal input factors influencing the Keff of concrete, namely sample type (ST), diameter (D), thickness (t), length (L), force (F), and α, were taken into account. The ST and α parameters represent crucial inputs in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marking the first instance that their influence has been examined via the CSNBD test. Of the 660 datasets, 460 were utilized for training purposes, while 100 each were allotted for testing and validation of the model. The GEP model was fine-tuned based on the training datasets, and its efficacy was evaluated using the separate test and validation datasets. In subsequent stages, the GEP model was optimized, yielding the most robust models. Ultimately, an equation was derived by averaging the most exemplary models, providing a means to predict the Keff parameter. This averaged equation exhibited exceptional proficiency in predicting the Keff of concrete.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lies in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the Keff parameter without investing copious amounts of time and resources into the CSNBD test, simply by inputting the relevant parameters into the equation derived for diverse samples of reinforced concrete subject to varied loading ang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