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e degree

검색결과 1,024건 처리시간 0.025초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손씻기 행위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Nurses' Handwashing Practice)

  • 이미라;소희영;조미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68-275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andwashing-related factors in nurses.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1) the applicability of the hypothetical model constructed for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nd 2) relationships between handwashing practice and other variables such as age, career, level of education, and level of recognition about handwash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87 nurses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Kyung-Ki province. Result: The hypothetical model based on TPB was revealed applicable, but the degree of the variance explaining handwashing practice was small(26%).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was the most strong variable explaining handwashing practice, and intention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andwashing practice. Norm and PBC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but attitude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of intention. Age, career,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handwashing practi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andwashing practice.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focus 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wareness of handwashing practice and subjective norm about handwashing practice to increase the level of nurses' handwashing practice.

  • PDF

간호대학생들의 기본간호실습태도에 대한 주관성 연구 (An Inquiry into Subjectivity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ttitude)

  • 한경순;박은희;조주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82-693
    • /
    • 2000
  •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attitude of nursing students to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through Q-methodology. A Q sample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nterviews. Forty statements made up the finalized Q-sample. The P sample consisted of 25 nursing students in S College. Q statements were written on separate cards and were given to the 25 subjects to sort according to degree of agreement or disagreement. The Q-sort by each subject was coded and analyzed with QUANL PC Program. The analysis discovered three major attitudes, namely "type 1: passive demand", "type 2: active self-confidence", "type 3: practical application". The correlation was .213 between type 1 and 2, .409 between type 1 and 3, .379 between t ype 2 and 3. The results revealed three different type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ttitude; 1) Passive demand type: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time, the number of persons, practice machines. They presented anxiety and worry through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Therefore, they will presenta passive attitude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2) Active self-confidence type: they experienced pride as a nursing student and fascination as a nurse was an acquired recognition. 3) Practical application type: they practiced that fundamental nursing skill was applied their family and oneself. Therefore they had tension through initial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but they gained self-confidence and interest through practical study. In conclusion,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education program would be more effective if it was planned considering to each types of attitude of nursing students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 PDF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가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ygiene Students)

  • 한양금;김한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57-464
    • /
    • 2015
  • 본 연구는 치위생전공 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편의 추출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충청북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70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10월 20일부터 2015년 4월 13일까지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평균은 $3.32{\pm}0.46$점,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평균은 $3.55{\pm}0.42$점이 었다.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임상실습 만족도는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p=0.003)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 이미지는 학년이 높을수록(p=0.013),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p<0.001), 실습경험 횟수가 많을수록(p=0.009), 실습기관 형태가 병원급 일수록(p=0.003), 입학 동기는 적성이 맞거나 치과위생사에 대한 깊은 인상이 되어 있는(p=0.039)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 간의 상관 분석 결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로는 실습횟수(p=0.009), 실습기관 형태(p=0.003), 임상실습 만족도(p<0.001)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위생 전공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자신의 전공 분야에 대한 실습 경험이 자신의 직업에 미치는 긍정적 이미지 함양을 위한 임상 실습지도안을 마련하고 임상실습 후 자신의 부족한 분야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생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군인의 손 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 조사 - KAP 모형을 중심으로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of Hand Washing for soldiers)

  • 한선임;권중목;안보영;안재훈;이승훈;임현정;김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72-482
    • /
    • 2017
  • 본 연구는 군인들의 손 씻기 실태와 지식, 태도 및 실천 정도를 조사해 보고 상호 관련성과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군대에서의 손 씻기 및 보건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병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R과 SAS를 이용하였으며 베타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손 씻기 지식과 태도 및 실천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고 손 씻기 교육이수 정도는 지식, 태도, 실천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관련 홍보물 노출 정도는 지식, 태도, 실천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군인의 손 씻기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홍보물의 지속적인 노출이 보건 교육보다 효과적이며, 홍보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손 씻기 지식, 태도, 실천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Level and Obstacle Factors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f Infant Teachers)

  • 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810-81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두 요인간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04명의 영아교사이며,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2013년 5월 6일부터 6월 13일까지 배포 수거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정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 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장애 요인은 "보통 정도" 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장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간에는 부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국민학교 학생의 시력관리 지식 및 실천과 시력장애에 관한 조사연구 -3, 4, 5, 6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isual Impairment State and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in Chonbuk Area)

  • 정영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8-68
    • /
    • 199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grasp the knowledge and practice the level about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also analyse the state of visual impair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re 347 students composed of 456 boys and 391 girls in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has been made through studying references. These were carried out from the 10th to 30th of June 1992.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tilizing SPSS for percentage, mean, S.D.,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the knowledge about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was in intermediate range (mean on 20 point scale of 12.34, with O=definitely no), but low in aspects of preventive care for overwork of eye (mean on 5 point scale of 2.67). 2. The level of the practice about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was intermediate range (mean on 20 point scale of 12.34, with O=definitely no), but low in aspects of preventive care for overwork of eye (mean on 5 point scale of 2.58). 3.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knowledge of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were sex (p<0.01) and grade (p<0.001). 4.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practice of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was living area (p<0.01). 5.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Those who have more knowledge score have more practice score (p<0.001). 6. vision impairment state 1) Student with subnormal in 0.9 or less were 26.3% in left eye and 28.4% in right eye. 2) Student with subnormal in 0.6 or less were 11.9% in left eye and 10.9% in right eye. 7. Vision impairment programs 1) Males are slightly higher in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than females. 2) Visual impairment we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grade. 3) Urban students are higher in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than rural students, but these seem to have no statistical meaning.

  • PDF

노인의 TV 건강프로그램 시청과 건강행위 실천과의 관련성 (Correlations between Old People's Watching of Television Programs and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 이현정;박재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4-301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시청행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2008년 3월 17일부터 3월 28일까지 경상북도 포항시에 거주하는 노인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최근 1개월간의 시청경험은 86.3%이었고, 학력, 비만도, 병력이 시청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행위 실천도는 62.1%가 높다고 하였고, 17.7%가 낮다고 하였다. 건강행위 실천확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건강관심도, 시청경험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1.78배, 건강관심도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3.3배, 시청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6.1배 건강행위 실천도가 높았다. 노인들의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시청빈도가 높을수록 건강행위 실천이 높았다. 또한 노인들의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시청률은 건강프로그램 내의 정보에 노출될 기회가 많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TV 건강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요구에 충족할 수 있는 올바른 건강정보를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도시부부의 생활예절수행, 가족체계역동성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ies, Dynamics of Family Syst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arried Couples)

  • 김연화;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8
    • /
    • 2003
  • In recent years,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observance of everyday life proprieties, building healthy famil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member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ies, dynamics of family syst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arried coupl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married couples with a child over four-years-old who are currently residing in Seoul. 513 couples(1026 individual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Cronbach'α, Pearson correlation, paired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y was relatively high in both husbands and wives, an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Yet,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rtain sub-dimensions. Wives showed a higher degree of performance in public decorum and social etiquette, whereas husbands exhibited a higher degree of performance in family decorum and communication manners. The family systems were highly dynamic, according to both husbands and wiv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As for the sub-dimensions, the extent of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husbands than among wive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gain relatively high for both husbands and wives, with husband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ves. Secon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ausal model did fit the data well, and that a myriad of background variables had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s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several variables in the sub-dimension of proprieties observance, family adaptability, and the degree of communication. The implication is that the practice of life propriety, an intervening variable, is crucial in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coupl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y, family systems dynamic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observance of proprieties is shown to be a concept tha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predictor in the area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and its focus on the practice of proprieties in the family resource management. More concrete and specialized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help build healthy families. Lastly,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prieties education needs to be incorporated in family policies in order to promote the quality of family life.

임상실습에 대한 임상병리(학)과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임상실습 만족이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 Survey of Satisfaction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tudents on Clinical Practice)

  • 신경아;김효신;이선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52-259
    • /
    • 2019
  • 이 연구는 임상실습을 실시한 임상병리(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전공 만족도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차이와 전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만족도 요인을 확인하였다. 2018년 8주의 동계 임상실습을 수행한 4년제 2개교, 3년제 7개교 임상병리(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2월 20일부터 2019년 3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44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46문항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문항,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문항 4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임상실습에 대한 영역별 만족도 중 임상실습 평가부분의 만족도가 5점 만점에 평균 3.88점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았으며, 임상병리(학)과 전공 만족도가 보통 이하인 군보다 보통을 초과한 군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임상병리(학)과 전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만족도 요인으로는 임상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와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한 조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전.충남 지역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to Vitalize Culinary Education Based on Recognition Survey of Culinary Practice - Focused on Universities Located in Daejeon.Chungnam Areas -)

  • 강경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6-139
    • /
    • 2011
  • 본 연구는 조리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일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조리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성과 학년, 졸업학교 유형에 따른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다음과 같다. 조리 실습 교육의 흥미도와 필요성은 매우 높으나, 조리 실습 교육의 실시 정도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효과적인 조리 실습 교육을 위해서는 이론 교육과 실습시연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호텔요리와 기능사요리에 중점을 두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자세한 실습 시연과 보충실습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변인에 따라서는 남학생과 고학년, 전문계고 출신 학생들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에서 실습의 비중을 높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열린 실습실의 운영, 사회 변화를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등을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성취 욕구를 발산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면 조리 실습 교육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