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dery mildew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31초

Podosphaera xanthii의 새로운 Race 2F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 국내 발병 보고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Caused by New Race 2F of Podosphaera xanthii on Cucumber in Korea)

  • 김영아;정아람;장민;박창진
    • 식물병연구
    • /
    • 제26권3호
    • /
    • pp.183-189
    • /
    • 2020
  • 흰가루병(powdery mildew)은 오이(Cucumis sativus)를 포함하는 박과(Cucurbitaceae) 작물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주요한 병 중 하나이다. 오이 흰가루병의 지속적인 발병과 방제의 어려움 때문에 그 원인 병원균을 밝히고 race를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내에서 발병하는 오이 흰가루병균의 조사를 위하여 경기도 광주(Gwangju), 경기도 이천(Icheon), 전라북도 김제(Gimje), 서울특별시(Seoul), 경상남도 밀양(Miryang) 지역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한 오이 잎을 채집하였다.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 특성 조사 결과 분리된 오이 흰가루병균들은 절대 활물기생균인 Podosphaera xanthii로 동정되었다. P. xanthii의 race 규명에 사용되고 있는 멜론(C. melo) 판별 품종을 이용하여 밀양, 이천 서울에서 분리된 MI180427, IC190611, SE180328의 레이스를 각각 조사하였다. 분리균주 MI180427과 IC190611는 국내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발병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race 1으로 규명되었다. 반면, 분리균주 SE180328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보고된 예가 없는 race 2로 판별되었다. SE180328의 정확한 race 판별을 위해서 추가적인 멜론 판별 품종에 접종한 결과, 흰가루병 race 2 중에서 중국 베이징의 주요 race로 알려진 race 2F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race 2F의 국내 발병을 보고하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오이 흰가루병 저항성 품종 육성에 고려 되어야 할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에스필과 수산화동 혼용에 의한 오이, 토마토, 고추 흰가루병의 친환경 방제 효과 (Envrionment-Friendly Effects of Espil and Copper Hydroxide for Prevention of Powdery Mildew on Cucumber, Tomato, and Red Pepper)

  • 소재우;한경숙;이성찬;이중섭;박종한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95-100
    • /
    • 2014
  • 본 연구는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에 의한 오이, 토마토, 고추의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오이 흰가루병에서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 처리는 4 : 1 혼용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8.9%와 방제효과 69.9%, 8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8.1%와 방제효과 71.1%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토마토 흰가루병에서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 처리는 4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2.4%와 방제효과 85.3%, 8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4.3%와 방제효과 83.0%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고추 흰가루병에서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 처리는 4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7.7%와 방제효과 76.4%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에스필과 수산화동 혼용처리에 의한 오이와 토마토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는 4 : 1 혹은 8 : 1 혼용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고, 고추 흰가루병에서는 4 : 1 혼용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법으로 구명되었다.

국내 멜론 흰가루병균의 race 동정 및 시판품종의 흰가루병 저항성 판별 (Identification of fungal races that cause powdery mildew in melon (Cucumis melo L.) and selection of resistant commercial melon cultivars against the identified races in Korea)

  • 김회택;박종인;노일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58-65
    • /
    • 2016
  • 국내 멜론 및 박과채소 재배농가(안성, 이천, 영암, 창녕, 순천)에서 발병하고 있는 멜론 흰가루병균을 채집한 후 흰가루병균의 형태학적 특성을 이용한 종류 구분 및 멜론 race 판별계통을 이용한 국내에서 발병하고 있는 흰가루병균의 race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내 멜론 흰가루병균의 종류는 Podosphaera xanthii (syn. Sphaerotheca fuliginea)였으며, 기존에 보고된 race 1, N2, A와 판별결과가 일치하는 3 종류의 균주가 분리되었다. 또한 기존에 보고된 race (1, N1, N2, A, S, 5)와 검정 결과가 다른 새로운 race의 흰가루병균 2종이 동정되었다. 그리고 5개의 분리 및 동정된 흰가루병균을 이용하여 국내 시판중인 멜론 15품종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race1에 대해서는 15품종 중 9품종이 저항성을 보였다. Race N2와 A대해서는 소수의 품종에서 저항성을 보였으며, 새로운 race BN968에서는 15품종 모두가 이병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멜론 흰가루병 race 1 저항성 DNA 마커 KPMR1M-1과 KPMR1M-2에 의한 이병성 및 저항성 판별 결과와 race 1 접종 결과는 일치하였다. 따라서 국내 멜론 품종 육종에 있어서 다양한 race 특이적 마커 개발 및 이를 활용한 복합 race 저항성 품종 개발이 요구된다.

노랑무당벌레의 발생기주 및 생물학적 특성 (Host plants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leis koebelei Timberlake (Coleoptera: Coccinellidae: Halyziini) in Gyeonggi-do)

  • 이영수;장명준;이진구;김준란;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5-301
    • /
    • 2015
  • 경기도 8개 지역에서 2010년부터 2012년 동안 식균성인 노랑무당벌레의 발생기주를 조사한 결과, 흰가루병에 감염된 12종의 식물에서 관찰이 되었다. 특히 가장 밀도가 높았던 배과원에서 노랑무당벌레는 7월 상순부터 11월 상순까지 발견되었다. 식균성인 노랑무당벌레의 장내에서는 흰가루병 균사나 포자 외에 다른 먹이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고, 알과 번데기를 제외한 전 발육단계에서 균을 섭식하는 특성을 볼 때 절대적 식균성 곤충으로 생각된다. $25^{\circ}C$에서 오이 흰가루병균을 섭식한 노랑무당벌레의 발육기간은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이 각각 3.9, 10.4, 4.1, 37.7일 이었고, 발육단계별 오이 흰가루병 섭식량은 45.6, 144.4, 372.2, 628.1, $473.7mm^2$로 4령, 성충, 3령, 2령, 1령 순으로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노랑무당벌레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섭식능력을 바탕으로 향후 유용 토착천적으로써 대량사육기술, 저독성 약제 선발 등 작물 흰가루병 종합방제기술(IPM)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owdery Mildew Resistance Phenotype Test & Genotype Test in C. moschata

  • Jong-Gyu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0-290
    • /
    • 2022
  • Powdery mildew is known to be one of the serious diseases in C. moschata cultivation. Plants infected with powdery mildew cause damage to cultivation areas such as occurrence of deformity fruit and decrease in quantity. also, it has been reported that many farms have difficulties in controlling powdery mildew due to the outbreak under various conditions throughout the yea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erform a phenotype test and a genotype test for C. moschata 60 lines grown in Jenong S&T. Podospareaxanthii, known as a pathogen that causes powder mildew disease in pumpkins in Korea, was collected and used as an inoculation source, phenotype test was performed by examining the infection area rate(%) of powdery mildew disease that occurred in leaves 25 days after inoculation. It was determined that 0% of the infection area rate was in the first stage, 1 to 5% in the second stage, 6 to 15% in the third stage, 16 to 30% in the fourth stage, and 31% or more in the fifth stage, The first and second stages were judged as resistance, the third as moderate resistance, and the fourth and fifth stages as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e phenotyp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stance was 21 points, moderate resistance was 14 points, and sensitivity was 25 points. After searching for the genes related to powdery mildew resistance resistance, pm-0, CmbHLH87, and LOC111453072, 21 points of resistance and 9 points of moderate resistance identified through phenotype tests were identified through gel electrophoresis after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using 5 primers related to 3 genes. As a result of genotype testing of a total 30 points, the CmbHLH87 and LOC111453072 gene were found to be resistant bands in all points, PMR1 was identified as 20 points for resistance, 4 points for moderate resistance, and 6 points for sensitivity, PMR2 was not identified in the entire band, and PMR5 was identified as 18 point for resistance, 3 points for moderate resistance, and 9 points for sensitivity. As a result, when comparing the phenotype test results and genotype test results, CmbHLH87 and LOC111453072 genes was 100% consistent in resistance and moderate resistance, PMR1 was 95.2% in resistance, 44.4% in moderate resistance, and PMR5 was 90% in resistance and 33.3% in moderate resistance, PMR2 was not consistent in resistance and moderate resistanc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ore accurate PMR test will be possible by using molecular markers(PMR1, PMR5) and by developing CmbHLH87 and LOC111453072 gene-related molecular markers.

  • PDF

난황유를 이용한 파프리카 흰가루병 방제 (Control of Paprika Powdery Mildew Using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 이정한;한기수;권영상;김동길;김희규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112-116
    • /
    • 2008
  • 파프리카 흰가루병(Leveillula taurica)은 우리나라 시설재배에서 아주 심각한 피해를 주는 병해 중의 하나이다. 이 균은 내부 기생성으로 잎의 내부에 균사가 발달한 뒤 잎의 표면에 황화현상이 발생하여 병반이 나타나고, 잎의 뒷면에 있는 기공을 통하여 균사가 외부로 뻗어 나오면서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흰가루를 형성한다. 난황유를 0.3, 0.5% 농도로 2, 3회 처리한 시험구에서 발병지수가 1 이하로 아주 우수한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약 3주간 발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Y의 처리는 환경 친화적이면서 경비도 저렴하여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난황유 처리 3일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잎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흰가루병이 대부분 제거되어 아주 빠른 시간에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일 수 있었으나, 흰가루병에 감염된 잎은 건전 잎에 비하여 광합성과 증산작용이 크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발병을 예방하거나 초기에 발병을 억제하는 것이 최선의 대책으로 판단되었다. 난황유 처리로 인한 잎의 광합성이나 증산작용도 무처리구에 비교하여 아무런 차이가 나지 않아 잎에 해로운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형태적 특징 및 분자적 분석에 의한 밤나무 흰가루병균 Erysiphe castaneigena의 확인 (Confirmation of Chestnut Powdery Mildew, Erysiphe castaneigena, in Korea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Analyses)

  • 조성은;이상현;이선근;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5-152
    • /
    • 2017
  • 국내에서 밤나무 흰가루병균은 1958년에 Microsphaera alni로 처음 기록되었다. 1988년에는 이 흰가루병균의 형태적 특징과 기주를 고려하여 M. sinensis로 동정되었다. 이 학명은 '식물명명에 관한 국제규약'의 규칙에 따라 2006년에 E. castaneigena로 변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밤나무 흰가루병균의 형태적 특징 및 분자적 분석에 의한 분류학적 재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대학교 진균표본실에 보존된 34점의 밤나무 흰가루병균 시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무성세대와 유성세대의 형태적 특징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밤나무 흰가루병균은 E. castaneigena로 확인되었다. 또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E. castaneigena와 밤나무 유래의 E. alphitoides는 계통학적으로 근연 관계임을 제시하였다.

Virulence Structure of Blumeria graminis f. sp. avenae Populations in Poland across 2014-2015

  • Cieplak, Magdalena;Terlecka, Katarzyna;Ociepa, Tomasz;Zimowska, Beata;Okon, Sylwi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15-12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irulence structure of oat powdery mildew (Blumeria graminis f. sp. avenae, Bga) populations in Poland collected in 2014 and 2015. Powdery mildew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18 locations in Poland. In total, nine lines and cultivars of oat, with different mildew resistance genes, were used to assess virulence of 180 isolates. The results showed tha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Bga isolates found in Poland were virulent to differentials with Pm1, Pm3, Pm6, and Pm3 + Pm8 genes. In contrast Pm4, Pm5, Pm2, and Pm7 genes were classified as resistant to all pathogen isolates used in the experiment. Based on obtained results we can sta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virulence pattern and diversity parameters between sites and years, but clear trends are not deducible.

오이 흰가루병의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설정 (Determinants of Economic Threshold for Powdery Mildew on Cucumber)

  • 김진영;홍순성;이진구;박경열;김홍기;김진원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31-234
    • /
    • 2006
  • 오이 흰가루병(Sphaerotheca fusca)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오이 잎 제거를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적정 잎수에 관한 모의시험 및 발병도 조절에 따른 흰가루병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을 검토하였다. 오이 잎 제거 수준과 수량과의 시뮬레이션 결과 봄작기에서는 오이 잎 수를 10매, 가을작기에서는 13매 정도를 유지하면 표준방제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오이 흰가루병 발병도가 증가할수록 수량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상품성 수량의 감소폭이 전체 수량의 감소폭보다 더 커서 상품성 수량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이 흰가루병 발병도와 수량과의 회귀식은 Y=-57.237x+6143.1, $R^2=0.9628$로 방제비용을 감안하여 수량 3% 지점의 발병도 17.6%를 경제적 피해 허용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오이 흰가루병 방제적기는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종합할 때 흰가루병으로 발병된 잎이 $1{\sim}2$장일 때 방제를 시작해야 하는 시점으로 생각된다.

Combined Effect of CO2 andTemperature on Wheat Powdery Mildew Development

  • Matic, Slavica;Cucu, Maria Alexandra;Garibaldi, Angelo;Gullino, Maria Lodovic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4호
    • /
    • pp.316-326
    • /
    • 2018
  • The effect of simulated climate changes by applying different temperatures and $CO_2$ levels was investigated in the Blumeria graminis f. sp. tritici/wheat pathosystem. Healthy and inoculated plants were exposed in single phytotrons to six $CO_2$+temperature combinations: (1) 450 ppm $CO_2/18-22^{\circ}C$ (ambient $CO_2$ and low temperature), (2) 850 ppm $CO_2/18-22^{\circ}C$ (elevated $CO_2$ and low temperature), (3) 450 ppm $CO_2/22-26^{\circ}C$ (ambient $CO_2$ and medium temperature), (4) 850 ppm $CO_2/22-26^{\circ}C$ (elevated $CO_2$ and medium temperature), (5) 450 ppm $CO_2/26-30^{\circ}C$ (ambient $CO_2$ and high temperature), and (6) 850 ppm $CO_2/26-30^{\circ}C$ (elevated $CO_2$ and high temperature). Powdery mildew disease index, fungal DNA quantity, plant death incidence, plant expression of pathogenesis-related (PR) genes, plant growth parameters, carbohydrate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evaluated. Both $CO_2$ and temperature, and their inter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powdery mildew development. The most advantageous conditions for the progress of powdery mildew on wheat were low temperature and ambient $CO_2$. High temperatures inhibited pathogen growth independent of $CO_2$ conditions, and no typical powdery mildew symptoms were observed. Elevated $CO_2$ did not stimulate powdery mildew development, but was detrimental for plant vitality. Similar abundance of three PR transcripts was found, and the level of their expression was different between six phytotron conditions. Real time PCR quantification of Bgt was in line with the disease index results, but this technique succeeded to detect the pathogen also in asymptomatic plants. Overall, future global warming scenarios may limit the development of powdery mildew on wheat in Mediterranean area, unless the pathogen will adapt to higher temper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