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der green tea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2초

식물추출 혼합제재인 phyto-extract mixture의 니트로세이션 억제능과 항산화능 분석 (Analysis of Nitrosation Inhibition and Antioxidant Effect by Phyto-Extract Mixture)

  • 김지훈;신미정;조희재;이상원;정종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56-663
    • /
    • 2001
  • 본 연구는 흡연에 의해 체내로 유입된 독성 물질들로 유발될 수 있는 폐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 기전을 in vitro 상에서 재현한 실험적 모델을 이용하여 8개의 식물로부터 추출한 phyto-extract mixture의 작용에 의하여, 체내 니코틴이 니트로사민으로의 전환되는 대사효율과 NNK의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in vitro 상에서 phyto-extract mixture에 의한 니트로소모폴린의 생성 억제와 CYP효소 활성 억제를 분석하였다. Phyto-extract mixture에 의한 니코틴으로부터 니트로소모폴린이 생성되는 대사 억제능 실험 결과, phyto-extract mixture(75%)는 비타민 C(64%)와 가루녹차(37%) 보다 우수한 억제 효능을 나타내므로서, phyto-extract mixture는 니코틴으로 부터 유독한 중간 대사물질이 생성되는 경로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에서 NNK 활성화에 관여하는 CYP 효소들에 대한 phyto-extract mixture의 효소 활성 억제능 분석 결과, phyto-extract mixture이 가루녹차보다 NNK로부터 발암물질이 생성되는 경로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phyto-extract mixture는 흡연으로 체내에 유입된 니코틴이 NNK와 같은 강력한 발암 물질인 니트로사민 유도체로 전환되는 경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암 발생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기능성 첨가제 혹은 식 음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in vitro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 PDF

Phytotherapy in periodontics as an effective and sustainable supplemental treatment: a narrative review

  • Abeer Saad Gawish;Mohammed Sherif ElMofty;Safa Jambi;Doaa Felemban;Yassmeen SalahEldin Ragheb;Shadia Abdelhameed Elsayed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4권4호
    • /
    • pp.209-223
    • /
    • 2024
  • Purpose: Periodontal disease is a chronic condition caused by microbial infection and mediated by the host's immune response. Phytotherapy is a therapeutic approach that utilizes a renewable resource capable of supplying less expensive medicines for the world's growing population. This review aimed to present clinical evidence on the use of complementary medicinal herbs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s. Methods: Different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the terms "herbal" and "periodontitis." All included studies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herbal indications, type, and prescription length. Dentists'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herbal prescribing habits were also assessed. Results: Various herbs such as turmeric, neem, aloe-vera, pomegranate, catechu, tulsi, cloves, lemon grass, green tea, tea tree oil, peppermint, garlic, pineapple, oak bark, babul, bakul, sage, coriander, moringa, amla, guava, and grape seed extract have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These herbs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a range of therapeutic effect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plaque, antihalitosis, antiresorptive,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vir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These components can be utilized in various forms such as mouth rinse, gel, oil, toothpaste, aqueous extract, mouthwash, or tooth powder. Conclusions: Several readily available herbal formulations are now available on the market and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as supplemental periodontal phytotherapy. However, these should be used under the supervision of a dental professional to ensure optimal benefits and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uggested herbal prescription practices among dental professionals.

입도별 홍화씨 분말 첨가가 양갱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Various Mesh Sifted Powders from Safflower Seed on Quality Characteristic of Yangeng)

  • 김준한;박준홍;박소득;김종국;강우원;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09-314
    • /
    • 2002
  • 홍화씨의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서 양갱의 주원료인 건조 팥소 분말에 대한 볶은 홍화씨 분말 20, 35, 45 및 60mesh별로 첨가한 제품과 홍화씨 45mesh분말의 첨가량을 0, 5, 10, 15 및 20%로 하여 제조한 제품 및 배합수로 녹차추출물을 이용한 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20mesh 체분리 분말 첨가 제품에서 가장 낮은 27.6% 이었고, 동일한 45mesh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양갱제품의 수분함량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활성도는 60mesh 홍화씨 분말 첨가 제품에서 0.93로 가장 높았고, 45mesh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수분활성도는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색도는 분말의 mesh 수가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반대로 b값은 다소 증가하였다. 동일한 입자크기를 가진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L, a 및 b값은 전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다. 또한, 조직감 특성 중 견고성과 부숴짐성은 홍화씨 분말의 입도가 미세한 첨가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동일한 입도를 가진 홍화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부숴짐성은 증가하였고, 접착성과 탄력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도 전반적기호도, 조직감 및 부숴짐성이 홍화씨 분말의 입도가 미세한 첨가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증류수를 배합수로 제조한 제품과 증류수와 녹차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제조한 제품에서 거의 같은 수준의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조미료류, 채소류, 과일류 등의 농산식품에 함유된 베타카로틴 함량 분석 (β-Carotene Content in Selected Agricultural Foods)

  • 신정아;최용민;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18-424
    • /
    • 2015
  • 본 연구는 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농산식품인 조미료류 5개, 차류 2개, 채소류 2개, 곡류 3개, 견과류 및 종실류 6개, 유지류 2개, 과일류 20개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영양성분 중 하나인 베타카로틴 함량을 분석하였다. 대표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베타카로틴의 분석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참값을 알고 있는 표준인증물질인 slurried spinach(SRM 2385)의 베타카로틴 함량을 측정한 결과 RSD 1.73%였으며, 회수율은 102%로 아주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농산식품 분석 결과 채소류와 차류에서 비교적 높은 베타카로틴 함량이 검출되었다. 보리순가루 $17,293.95{\mu}g/100g$($2,882.33{\mu}gRE$), 보리순 생것 $2,755.15{\mu}g/100g$($459.19{\mu}gRE$), 녹차가루 $7,579.04{\mu}g/100g$($1,263.17{\mu}gRE$), 마른 녹차잎 $13,671.85{\mu}g/100g$($2,278.64{\mu}gRE$)으로 베타카로틴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견과류 및 종실류의 베타카로틴 함량 분석 결과 검은 참깨 마른 것 $41.27{\mu}g/100g$($6.88{\mu}gRE$), 들깨 마른 것 $33.06{\mu}g/100g$($5.51{\mu}gRE$), 흰 참깨 마른 것 $25.36{\mu}g/100g$($4.23{\mu}gRE$) 순으로 베타카로틴 함량이 검출되었다. 유지류의 베타카로틴 함량 분석 결과 들기름 $58.56{\mu}g/100g$($9.76{\mu}gRE$)과 참기름 $11.41{\mu}g/100g$($1.90{\mu}gRE$)으로 측정되었다. 과일류 20개에서는 살구 생것 $2,280.35{\mu}g/100g$($380.06{\mu}gRE$)과 파파야완숙 생것 $242.57{\mu}g/100g$($40.43{\mu}gRE$), 파파야적숙 생것 $162.70{\mu}g/100g$($27.12{\mu}gRE$)으로 비교적 높은 베타카로틴 함량을 나타내었다. 거봉 생것, 청포도 생것, 켐벨얼리포도 생것의 경우 껍질을 포함하였을 때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Effects of Plant Vinegar Extract on the Reduction of Blood Concentration of Alcohol and Acetaldehyde in Alcohol Administrated Rats

  • Kwon, So-Yeon;Choung, Se-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3권2호
    • /
    • pp.107-112
    • /
    • 2005
  • Excessive drinking causes 'alcohol hangover' within 8-16 hours. The cause of 'hangover' has not been elucidated exactly until now, but it is reported that it is caused by the creation of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as ethanol metabolites. In this study vinegar extract of wood (VE) or OC-1, to which the powder extract of green tea leaves extract is added, was administered to the rats 30 minutes before the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3 g/kg) and the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beverage material for detoxification. As a result, the blood ethanol concentration in the group of the VE-1(vinegar crude extract) and VE-2 (double diluted solution) is statistically lower (P,0.05) than the exclusive alcohol administered control group. The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of all groups of VE and OC-2, which is the double dilution of OC-1, is statistically low after 7 hours following ethanol administration. Especially, the AUC value of OC-2 group is statistically low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it indicates the conclusion that VE and OC-1, reducing the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which are two leading factors of 'hangover' after drinking, and worthwhile to be developed as beverage materials to eliminate 'hangover'.

저온 및 재래식 공정에 따른 쌀·야채류 압출성형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uded Rice with Vegetables by Cold and Conventional Extrusion)

  • 안상희;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212-1218
    • /
    • 2015
  • 본 연구는 저온 및 재래식 압출성형 공정에 따른 쌀 야채류 압출성형의 항산화 활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수분 함량 25%, 스크루 회전속도 150 rpm으로 고정하였다. 저온 압출성형 조건은 사출구 온도 $80^{\circ}C$, $CO_2$ 주입량 300 mL/min, 재래식 압출성형은 사출구 온도 $140^{\circ}C$, $CO_2$ 0 mL/min으로 조절하였다. 원료는 쌀 분말에 단호박, 토마토, 딸기 및 녹차 분말을 각각 10%씩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단호박 및 토마토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저온 압출성형 공정보다 재래식 압출성형 공정에서 더 높았다. 단호박, 토마토 및 딸기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은 압출성형 후 총 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저온 압출성형물보다 재래식 압출성형물에서 총 페놀 함량이 다소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차를 첨가한 재래식 압출성형물이 18.8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압출성형 후 단호박을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낮아졌으나 토마토 압출성형물은 증가하였다. 토마토 압출성형물의 라이코펜 함량은 압출성형 후 증가하였으며, 재래식 압출성형에서 더 높았다. 딸기 압출성형물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저온 압출성형보다 재래식 압출성형 공정에서 높았다. 압출성형 후 녹차 압출성형물의 총 클로로필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클로로필 a, b 및 총 클로로필은 저온 및 재래식 공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신안 섬초(시금치) 분말을 대체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Manufactured with Shinan Seomcho (Spinacia oleracea L.) Powder)

  • 고상희;빙동주;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66-77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신안 섬초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식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신안 섬초 분말 2, 4, 6 및 8%를 대체한 식빵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신안 섬초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pH와 총산도는 대조군과 대체군과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식빵의 비용적과 굽기 손실률은 신안 섬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수분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수분 활성도는 대조군과 대체군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식빵의 색도 측정 결과 crust의 L, a, b값은 신안 섬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rumb의 L, a 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식빵의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부서짐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복원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색상, 향기, 부드러움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신안 섬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신안 섬초 분말을 대체한 식빵의 제조 시 2~4%로 대체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분 첨가량과 설탕 첨가에 따른 녹차 절편의 품질특성 (Effects of Different Moisture Addition and Sugar on the Quality of Nokcha-julpyun)

  • 최은희;김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8-3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moisture addition and sugar on the quality of Nokcha-julpyun, during 24hrs. As the result of the Hunter's color values,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were increased slightly or not after 24hrs and showed middle levels in $30%{\sim}40%$ moisture addition groups. It seemed that the addition of sugar to Nokcha-julpyun affected the redness and yellowness of 40% and 45% moisture addition groups more than the other groups. In texture profile, springiness of Nokcha-julpyun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all the groups during storage. Cohesiveness was getting higher by increase of moisture level and getting lower by storage. Sugar addition seemed to lower the rate of decrease of cohesiveness. Chewiness and hardness were getting lower by increase of moisture level and getting higher during storage. In this case sugar addition seemed to interfere the Nokcha-julpyun to be hard. Adhesiveness showed to be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didn't show any correlations with water level. Sugar addition to Nokcha-julpyun seemed to increase springiness and adhesiveness slightly. 35% moisture and sugar addition group had the lowest values in springiness, hardness and cohesiveness. Both 40% groups and 45% moisture and sugar addition group had high values in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but had the lowest values in hardness and chewiness. In sensory evaluation, $30%{\sim}40%$ moisture addition groups showed good preferences in color, flavor, taste, tenderness and chewiness, and the 35% moisture and no sugar addition group showed the best overall acceptance among the groups.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moisture addition level with $30%{\sim}35%$ seems to give the best quality to Nokcha-julpyun added green tea powder with 6% level, and for the purpose to reduce the changes of texture profiles during storage, it is benefit to add sugar a little to Nokcha-julpyun.

흡착법을 이용한 어유의 탈취 (Deodorization of Fish Oil Using Adsorption Method)

  • 김귀식;배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65-373
    • /
    • 2003
  • 어유의 탈취장치 대신 컬럼에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 실리카겔, 대나무 숯 등 흡착제를 단독 혹은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충진시켜 탈색과 동시에 탈취시킴으로서 효율적인 탈취효과를 검토하였다. 대멸치유의 탈검효과는 수산 30%를 어유 100 ml에 대하여 18 ml첨가한 것이, 탈산은 수산화 나트륨을 2.5%로 하여 $40^{\circ}C$에서 30분간 처리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탈취의 경우 흡착제(활성탄, 활성알루미나, 실리카겔)를 농도별로 단독 첨가할 경우는 실리카겔30% 첨가가, 그리고 흡착제를 혼합하여 첨가할 경우는 활성알루미나 30%와 실리카겔 10% 혼합 첨가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흡착제에 녹차분말 2%를 첨가할 경우 큰 효과가 없었다. 대멸치유의 탈검, 탈산 및 탈취 후의 주요지방산 조성은 16:0, 20:5n-3, 18:1n, 16:1n-7, 22:6n-3 및 18:0이었다. 대멸치 정제유에 $\alpha$-tocopherol를 첨가하여 $25^{\circ}C$에서 40일간 저장시 산화 안정성은 대조구는 20일까지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는 30일까지라 생각되며 $\alpha$-tocopherol 0.02%첨가보다 0.01% 첨가가 더 효과적이었다.

지역 농특산물의 베타카로틴 함량 조사 (A Study on Contents of Beta-Carotene i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 엄현주;강혜정;윤향식;권누리;김영호;홍성택;박진주;이준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5-341
    • /
    • 2019
  • Beta-carotene is the most prominent member of the group of carotenoids, natural colorants that occur in the human diet. Beta-carotene is also an effective source of vitamin A in both conventional foods and vitamin supplements, and it's generally safe.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beta-carotene contents in agricultural products widely and specifically grown in Korea. The beta-carotene contents were ranging from 223 to $27,908{\mu}g/100g$ in leaves, and 0 to $7,588{\mu}g/100g$ in vegetables. In leaves and vegetables, the amount of beta-carotene was the highest in green tea powder ($27,908{\mu}g/100g$), followed by pepper ($7,588{\mu}g/100g$). In fruits, the beta-carotene content was found to range from $0{\mu}g/1,011g$ to maximum of $293.66{\mu}g/100g$(plumcot). However, there beta-carotene was not detected in strawberry. In the case of cereals and specialty crops, the beta-carotene contents were $326{\mu}g/100g$ for non-glutinous rice, $313{\mu}g/100g$ for glutinous rice, $57{\mu}g/100g$ for amaranth and $15{\mu}g/100g$ for pine nut, respectively. However, the beta-carotene content was not detected in other samples. This study revealed the presence of beta-carotene content in agricultural products specifically grown in Korea for nutritional information and food composition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