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verty

검색결과 903건 처리시간 0.026초

아동의 수면시간과 수면시간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특성과 아동의 생활시간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children's sleep duration and sleep time poverty)

  • 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3호
    • /
    • pp.141-159
    • /
    • 201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sleep duration and sleep time poverty in terms of family characteristics, child characteristics, and time use. A series of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on children's time use in two-parent families based on the 2013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One major finding is that children's sleep duration and the probability of having a sleep time poverty are related to their mothers' job classification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sleep time and the sleep time poverty are similar in terms of family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time use. The mother's job classification, family income, number of younger siblings, number of older siblings, children's private tutoring hours, computer game hours, and TV hou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duration of sleep time and the probability of having a sleep time poverty. However, the factor with greatest influence on sleep time duration is private tutoring hours and the factor most affecting sleep time poverty is computer game hours. The mother's job classification is a relatively powerful determinant for predicting her children's sleep duration and sleep time poverty.

Tax Incidence of Philippine Tax Reform: Poverty and Distributional Effect

  • DIZON, Ricardo Lauri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281-288
    • /
    • 202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poverty and distributional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Tax Reform for Acceleration and Inclusion Law. Th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Top Down Behavioral Microsimulation was used to obtain the effects of the tax reform on macroeconomic and microeconomic levels. Moreover, the Poverty Gap Index, Squared Poverty Gap Index, Foster, Greer, and Thorbecke Measures of Poverty, and Sen-Shorrocks-Thon Index were used to measure the poverty effect of the tax reform. Meanwhile, the Gini Coefficient and SST Gini Coefficient Index were used to measure the distributional effect of the tax reform.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tax reform ha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and disposable income. Region IV has the highest estimated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Meanwhile, Region IV remained to have the lowest household income. Fur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ax reform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poor and the number of poor in the Philippines. However, the result of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effect of tax reform manifests no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overty gap measured through the Foster, Greer, and Thorbecke poverty index due.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able Youth's Poverty Transition -Focused on Employment Stability and Employment Status-)

  • 변금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3호
    • /
    • pp.257-279
    • /
    • 2012
  • 높은 청년실업률과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청년층의 경제적 불안이 심화되고 있지만 청년층의 빈곤을 고용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특히 청년빈곤이 근로빈곤의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이들의 고용불안정과 고용특성이 빈곤의 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한국복지패널데이터의 제3차(2007년)~제5차(2009년) 자료를 이용해 청년 근로능력자의 빈곤이행(빈곤탈출과 빈곤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용형태와 고용상태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은 빈곤진입 및 탈출이 활발했으며 교육수준이 높고 비취업 상태에 놓인 경우가 많았다. 정규직일수록, 취업상태를 지속할수록 빈곤을 탈출할 가능성은 높아지고 빈곤에 진입할 가능성은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년층의 빈곤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높은 교육수준과 불안정 고용을 고려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PDF

한국사회 빈곤구조의 지역 편차 분석 -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 격차를 중심으로 - (Regional Variations of Poverty in Korea -How are Capital and Metropolitan Area Different from Non-Capital and Non-Metropolitan Area?-)

  • 이상록;백학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4호
    • /
    • pp.205-230
    • /
    • 2008
  • 빈곤은 개인 및 가구의 특성 뿐 아니라 거주 지역의 특성에 의해서도 규정되는 현상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 격차의 양상 및 빈곤 결정에의 지역(수도권과 지방)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격차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절대 빈곤 뿐 아니라 상대 빈곤 측면에서 빈곤은 수도권보다 지방에 편중되어 있었다. 지방을 보다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방 대도시보다는 지방 중소도시에서, 지방 중소도시보다는 지방 군 지역에서 빈곤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 빈곤은 지역 발전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둘째,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 분포를 보다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 동일한 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경우라 할지라도 지방에 거주할 경우 빈곤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 빈곤 구성에서 지역간 차이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빈곤결정에 거주지역(수도권/지방)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 거주가 빈곤 확률을 높이는 지역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 격차를 거주자의 특성 효과와 지역 효과(계수효과)로 분해한 결과, 빈곤 격차의 $49.2{\sim}73.7%$는 지역 효과에 의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 격차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사회의 빈곤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지역적으로 차별화된 빈곤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의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 요인 분해 (A Decomposition of Gender Differences on the Poverty among the Urban Working Households in Korea)

  • 이은혜;이상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333-354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 가구 중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격차분해를 시도하였다. 연구는 남녀 가구주 간 빈곤격차의 정도를 살펴보고, 옥사카 분해 방식을 사용하여 격차 요인을 분해를 실시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1982년부터 2008년까지의 (도시)가계조사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빈곤여부는 상대빈곤율(중위 소득 50%)로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여성가구주 가구와 남성가구주 가구의 빈곤 격차에서 계수 효과가 전체 격차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기별로 가구주 성별에 따른 빈곤 격차의 추세는 1980년대 증가하다 1990년대 감소, 다시 2000년대 들어서 빈곤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기별 빈곤격차 요인 분해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특성 효과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근로자 가구 중 남성가구주에 비해 여성가구주 가구의 특성이 점차 더 열악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계수효과가 여전히 크다는 것은 도시 근로자 가구들의 경우, 여성가구 주에 대한 차별 또는 사회적 지원의 부족 문제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다차원적 아동빈곤 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연구 (Effect of Multi-dimensional Child Poverty Experience on Child Development: A Qualitative Study)

  • 조준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82-196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에 연계된 질적패널 중 성인 19명과 아동 20명에 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빈곤가구의 아동빈곤의 경험에 대한 다차원적인 범주 분석을 실시하고, 빈곤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현상학적 주제분석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상대적 박탈감에 초점을 두고, 빈곤화 과정, 주거, 건강, 교육, 양육, 문화, 가족, 아동의 꿈 차원에서 드러나는 빈곤 경험을 내부자 관점에서 기술하고, 빈곤 경험을 아동발달 관점에서 발견적이고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아동기의 빈곤경험은 트라우마, 성장과 기회의 박탈, 애어른, 빈곤의 대물림, 꿈의 제한이라는 부정적인 아동발달 경험과 결부되어있었다. 이러한 내부자 시각에 기반한 질적 연구는, 다차원적 아동빈곤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대상 밀착형 정책수요를 가능하게 하여, 빈곤 정책연구 외연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아동 빈곤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Estimating the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Poverty)

  • 김수정;정익중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9-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아동빈곤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추계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직접비용과 간접비용 항목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각 비용 항목에 대해 기존 데이터 수집과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사회경제적 비용을 산출하였으며, 이러한 총 비용을 우리나라의 GDP에 대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 우리나라 아동빈곤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절대 빈곤율 기준 총 55조3,009억(GDP대비 3.5%),상대 빈곤율 기준 99조6,858억원(GDP대비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빈곤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직접비용에 비해 간접비용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비용 항목 중에서 절대 빈곤율과 상대 빈곤율 기준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생산성 손실과 미취업/실직 등의 고용 관련 비용이었고, 그 다음에 범죄비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빈곤 아동에 대한 조기 개입, 부모와 자녀에게 동시에 개입하는 이세대 프로그램 실시, 빈곤 아동 같은 고위험 집단의 경우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개입과 더불어 통합적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

Microfinance and Poverty Alleviation: An Empirical Reflection

  • Mago, Stephe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권2호
    • /
    • pp.5-1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rry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link that exists between microfinance and poverty alleviation. The analysis is driven by literature searches on empirical works done by different researchers in different context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adopted, following a desktop approach. An empirical literature review took a centre stage in this investigation. An analysis of empirical works shows that microfinance enhances poverty alleviation despite the challenges such as the Indian Andhra Pradesh crisis. The paper is limited to a review of empirical sources of literature. A field survey, supported by an econometric analysis would have helped to generate robust results. This paper attempts to bring together the empirical works that were done in different contexts to shed light on the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microfinance and poverty. Many research works on microfinance depend upon personal anecdotes, thus this present paper attempts to compile the scattered empirical findings on microfinance and poverty alleviation.

복지국가의 아동·가족복지지출과 아동빈곤율의 관계 -OECD 국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overty Rate and Family Policy Expenditure of Welfare States -Focused on OECD Countries-)

  • 류연규;백승호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6호
    • /
    • pp.65-99
    • /
    • 2011
  • 본 연구는 OECD 국가를 대상으로 복지국가의 아동 가족복지지출과 아동빈곤율의 관계를 분석한 탐색적 연구이다. 아동 가족복지지출은 복지국가의 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복지 노력(welfare effort)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본 연구에서는 아동 가족복지지출 총량뿐 아니라 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분야의 복지지출을 구분해서 분석함으로써 아동 가족에 대한 구체적인 복지국가의 복지노력과 아동빈곤율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아동빈곤율 자료는 LIS와 OECD에서 계산한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아동 가족복지지출 자료는 OECD SOCX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3개국을 대상으로 상관관계 군집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아동빈곤율에 대한 급여전략(benefit strategy)과 근로전략(work strategy)의 유효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동빈곤율이 높은 국가들은 대부분 전체빈곤율보다 아동빈곤율 수치가 더 높은 반면,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은 아동빈곤율 수준이 전체빈곤율 수준보다 낮았다. 아동 가족복지총지출과 아동빈곤율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고, 특히 서비스지출, 휴가급여지출과의 상관관계가 높았으나 현금급여지출과 아동빈곤율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아동빈곤율 완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아동 가족 분야 사회복지 예산과 지출을 증가시켜야 하며, 아동 가족복지지출 중에서도 서비스지출, 휴가급여지출을 증대시켜야 하며, 아동이 있는 가구 부모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적극적노동시장 정책 등 아동가구 부모에 대한 근로지원정책을 확대시켜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빈곤가정 아동의 환경지각 연구 (The Study of Poverty Children's Environmental Perception)

  • 이순형;신양재;김영주
    • 아동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3-128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nvironment of poverty children as reported by the children on a questionnaire. The conception of the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 The dimension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cluded household, cultural, and play conditions. The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 included structural (family values,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reinforcement system) and process variables(affect, care, and communi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administered to 122 children living in a poverty area and 102 children living in a middle-high income area.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ile, mean and one-way ANOVA. Major findings showed that (1) The physical environment as reported by the poverty children was meager compared with that of children in the middle-high income area: the households were more overcrowded, and cultural conditions, play materials, and space was more limited. (2)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the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 as perceived by poverty children were more material and physical than that of children in the middle-high income area: family values were oriented more toward materialism: family relationships were more negative and distant: and the reinforcement system was based more on material reward and physical punishment. (3) Process variables were perceived by poverty children as more laissez-faire and rigid; the parents neglected their children and communicated unilaterally more than the middle-high income parents. (4) Poverty children's perception of the causes of poverty and wealth were perceived as personal and social fa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