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stereotyp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일개 대학 간호학과생의 보건소 실습평가와 경험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and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 at Public Health Centers)

  • 박정모;이숙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1-170
    • /
    • 2002
  • Purpose: To evaluat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by nursing students for basic data to improve nursing practice education, and to determine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at public health centers. Method: According to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all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001 to June 2001 through prepared questionnaires with 62 Participants, and in depth interviews with 2 Participants, and content analysis with 8 Participants. Results: 1. Clinical practice content was needed to make up professionally. 2. Clinical practice instructor was satisfied with teaching by community health nursing professor, but not by public health center nurse. 3. Clinical environment was perceived as good. 4. Clinical practice time was perceived suitable, but practice evaluation was given a low grade. 5.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was grouped into 9 categories and 20 themes. 9 Categories are as follows: change of public health center image, difficulty in the personal relationship,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s, doubt about the attitude, doubt about the task, tension, worth, ambivalance of the conference, feeling about the end stage of the clinical practice. Twenty themes are stereotypic of the public health care center: recognition, difficulty between tasks and interrelationships with the clients, decrease of self esteem due to deficiency of trust with the students, exchange of feelings in the relationships, the situation of clients was not considered, feelings were disregarded, not systematic, regarding students as supplementory manpower, independent work but not enough contents, anxiety & fear, self-trust, be skilled in the practice, pragmatic knowledge formation, understanding of the old person, self-study of oneself. live up to the expectation, consider as the job, dissolve the stress and impose burden, feeling the lack regarding active approach in the practice. Conclusion: The students have perceived the need of community health nursing through the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of community health nursing requires content supplement, correction of instruction by public center nurses, environmental alteration, evaluation criteria set up.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in the public health center was as follows: Getting rid of the stereotype about public health center, nursing students comprehended variety and were worth while to do clinical practice in spite of tension& anxiety and fear. And they thought to be a community nurse someday.

  • PDF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 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29-259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 도구를 문헌연구와 심리측정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 수학 문제해결 신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수학적 자아개념의 4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하여 중학생용은 총 37문항으로, 고등학생용은 총 4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단위 표집 검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이 학교급별, 성별, 성취수준에 따라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 고등학교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이 유용하다고 믿는 신념, 수학에서 과정보다 정답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 신념, 많은 수의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고 믿는 신념 등이 강하게 나타났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급하면서 수학적 자아개념 중 '감정' 요인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여학생은 중 고등학교 모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중 '교사의 수업활동' 요인만이 남학생보다 강하였다. 성취수준이 '기초이하' 집단 학생들이 수학은 암기해야 하는 공식과 절차라거나 창의적 활동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이 가장 강하였다. 그 외요인에서는 '우수' 집단 학생들의 신념이 강하였다.

  • PDF

주생활 단원에서의 노인주거 관련 교과내용 분석 -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Contents Analysis of the Elderly Housing in the Unit "Family Life & Housing" - Focused on the 9th Grade Textbook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

  • 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46
    • /
    • 2008
  •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에 나타난 노인주거 관련 교과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노인주거에 관한 교과서 집필 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생활 단원의 노인주거 관련 교과내용의 총 분량, 참고자료, 활동자료, 정리, 그림, 사진, 평면, 도표의 분량은 교과서별로 편차가 커서 앞으로 교과서 개발 시는 이의 배분을 적절히 하도록 한다. 시각자료는 노인과 노인주거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발할 수 있도록 선정한다. 활동자료는 학습자가 노인주거를 가까운 장래의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일 수 있는 실천적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내용요소별로 중복되는 부분의 통합이 필요하며, 노인주거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지지 않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기술이 요구된다. 교과내용은 노인의 주거 내부 환경뿐만 아니라 외부환경과 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하며 장래의 인구구성 변화 및 자녀와의 동거 경향을 반영한 대비 내용이 필요하다. 노인주거 평면은 한국적 특성을 반영한 평면,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평면 등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