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al services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4초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포털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s Integrated Portal)

  • 이수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7-275
    • /
    • 2006
  • 이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포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모형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모형개발을 위해 먼저 도서관 포털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런 다음 5 가지의 주요 사례를 선정하여 포털의 주요한 특성을 구분하고, 도서관 포털이 갖추어야할 기본요건을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운영을 준비하고 있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을 기반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포털 서비스의 모형을 정의하고, 기본이 되는 검색과 참여 서비스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게 된다.

검색포털과 대학도서관 소장목록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ethod for Linking Portal Sites and OPAC of University Libraries)

  • 조재인;이지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2호
    • /
    • pp.75-92
    • /
    • 2006
  • 인터넷 항해의 관문으로 검색포털의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학술연구정보 시장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공공지식정보의 대국민 접점으로 민간검색포털을 이용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많은 지식정보 생산 유통기관이 검색포털과 개방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도서관 서비스의 검색포털 연계 서비스도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특히 아직까지 대학의 사적 시설로 인식되고 있는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와 연계된 공공시설로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관점에서 검색포털과 대학도서관 소장목록의 연계방안을 모색한다.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해외 사례와 국내 검색포털 서비스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상황에 적합한 검색포털과 대학 도서관 소장목록의 연계방안을 마련한다.

한.미간 e-finance 금융포털사이트의 활용실태 비교 (Comparison of the Practical Use Condition of e-finance Portal Site between Korea and U.S.A.)

  • 김동균;차순권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7권
    • /
    • pp.21-51
    • /
    • 2001
  •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Korea's finance industry under the new e-finance paradigm, this paper compared the practical use of finance portal site' on service parts and stage between Korea and U.S.A.. The services which can be served from site are banking, mortgage and credit loan, stock, card, retirement tax, PFM(Personal Finance Management), EBPP(Electronic Bill Presentment and Payment) and Account Aggregation and so on. The stage of site can be divided as the information provide stage which only gives information about service parts, on-line transaction stage which real-time transaction is possibile and PFM services provide stage according to development process. As a result, the beginning of finance portal service in Korea was lated about 10years and more than it of U.S.A. So the development stage of domestic portal site is still staying in the first step and the providing services and contents or business model development parts are also in the same stage than U.S.A. Resides, Korea's sites mainly focus on their first service parts even though they recently aim internet finance portal, and provide not real time transaction but financ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U.S.A. site support substantially not only various on-line transactions but also distinctive personal services like PFM(Personal Finance Management), EBPP(Electronic Bill Presentment and Payment), Account Aggregation and Trans-account, brokerage, education center, mortgage loan, mutual fund, option, pension fund and IPOs and so on. Thus, the site of Korea need to establish real type of internet finance portal which provides one-stop services on every type of finance to customers in the real time and also require the strategic integration among finance institutions. The next turn, they need to build information system and education center to give best satisfaction to customers and acquire customer information and marker environment changes and need to provide distinctive services to quality customers throughout database from this. Also the site should provide various type of banking services which refereed above like PEM, EBPP and education center etc, and the government of Korea should support the building of IT infrastructure to Physical, legal, systematic, sociocultural, technical and human resource sections. This paper provided the future movement direction of the domestic finance portal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practical use of it between Korea and U.S.A. and also wanted to contribute for developing and reading of Korea finance portal in the new era of the finance paradigm.

  • PDF

공공포털의 정보서비스 평가 프레임웍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Framework for Public Portal Information Services)

  • 김혜선;신기정;최희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0-444
    • /
    • 2007
  • 본고의 목적은 이용자 인식도 조사를 통해 공공포털과 민간포털의 정보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프레임웍을 개발하는 것이다. 평가 프레임웍을 구체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공공포털로는 yesKISTI와 민간포털로는 Google을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공공포털과 민간포털의 정보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공공포털의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웍을 개발하였다.

  • PDF

포털사이트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상호작용성, 보상, 몰입과 충성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line Community's Interactivity, Reward, Commitment and Loyalty on Purchase Intention in Portal Sites)

  • 안태윤;김종욱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5-43
    • /
    • 2006
  • This research studied the interactions of online communities, reward, commitment and loyalty to purchase intention in portal sites based on relevant theori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users who had purchase experiences in potal site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ractions and loyalty. An empirical analysis regarding the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using SPSS 10.0 and PLS Graph 3.0. As the result, the interactivity of communities was found significant to commitment and loyalty, the reward of community was shown to significantly influence commitment, but not loyalty. And the commitment and loyalty of community were shown to have much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Finally, trust on portal sites were found to have an interactio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문화예술인의 정보포털 어포던스 및 시스템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 퍼지셋 질적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Information Portal Affordances and System Literacy of Cultural Artists: Focusing on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 김현영;이환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5-70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a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s to ensure practical and universal use and activation of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s. The capabilities and influence of affordances and system literacy according to user experience regarding accessibility to cultural arts information portal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ffordances in the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 were key conditions for the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 user experience regarding system accessibility, system understandability, system usability, system usability, and system literacy. Second, the functional affordance of the user experience in the cultural arts information portal was relatively low and unimportant, and when the functional affordance was low, the user's system accessibility, system understanding, system usefulness, system usability, and system literacy were increased. Third, if the user's functional affordance and sensory affordance are low in the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 the system accessibility, system understanding, system usability, and system literacy of the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 users are increased. Fourth, cultural arts information portals must build an innovative system with a systematic approach appropriate for the user base by linking system literacy capabilities with a focus on physical affordances.

인터넷 포털이미지가 장기지향성, 소비자 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mage of Internet Portal on Long-Term Orientati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김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33-340
    • /
    • 2009
  •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인터넷 포털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인터넷 포털이미지와 장기지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포털이미지가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만족도 및 추천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이미지평가속성은 정보제공성, 오락 및 부가서비스, 고객서비스, 편리성 등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네 요인 모두 이용포털사이트에 대한 장기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제공성과 오락 및 부가서비스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기지향성은 소비자의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해당 포털에 대한 만족도는 추천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장에서 차별적인 인터넷 포털의 경쟁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공공데이터포털 이용자 서비스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 시민참여형 데이터포털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User Service in Open Data Portal - Focusing on Citizen Participation Data Portal -)

  • 한희정;황성욱;이정민;오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55-279
    • /
    • 2020
  • 최근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이용자의 범위가 전문가부터 학생, 정부 관계자, 일반 시민까지 확대됨에 따라, 공공데이터포털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포털은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Data Repository)로서의 역할에 치우쳐 시민의 참여를 통한 데이터 활용을 높이는 데에는 다소 소홀하였다면, 현재는 이용자가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해·협업·공유 가치에 방점을 두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공공데이터 포털은 시민의 참여를 장려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포털에 시민참여를 위한 주요 기능을 규명하고 현재 운영 중인 공공데이터포털 이용자 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 제시를 최종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시민참여를 위해 포털 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능들을 조사하고 분류하여 이용자 서비스 유형을 도출한 후, 이를 기준으로 국내외 공공데이터포털 이용자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데이터포털이 제공하는 이용자 서비스의 문제점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 후 시민참여를 위한 이용자 중심의 공공데이터 포털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psXML: 서비스 중심적 개방형 아키텍처를 가지는 수용가포털을 위한 XML 기반의 표준화 (psXML: A New XML-based Standard Protocol for Service-oriented, Open Architecture of Consumer Portal)

  • 홍준희;최중인;김진호;김창섭;손성용;최준영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08-117
    • /
    • 2007
  • 고전력수용가포털(Consumer Portal)은 소비자의 다양한 장치들과 광역 네트워크, 그리고 에너지서비스사업자(ESP: 한전 등)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연결하는 물리적 링크이자 논리적 결합으로, 전력서비스 체계에서 소비자-공급자 간 정보교환과 서비스 거래를 담당하는 양방향 통신의 핵심 인프라로서 포털이다. 전력수용가포털(Consumer Portal)의 성공적인 설계와 개발을 위해서는 효율성, 경제성, 확장성을 고려한 서비스 중심적 표준화 전략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수용가포털 설계에 필요한 XML기반의 표준화 안을 psXML(Power System XML)로 제안하고 이를 설계, 구현하여 실제 구축 중인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는 네트워크 및 프로세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용가포털을 위한 개방형 표준을 구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