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phyritic granit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18초

경상분지 남서부 와룡산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마그마 불균질 혼합에 의한 화강암류의 조성변화 (Petrological Study of Cretaceous Granitic Recks in the Waryongsan Area, Southwestern Gyeongsang Basin: Compositional Change of Granitic Rocks by Magma Mingling)

  • 김건기;김종선;좌용주
    • 암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23
    • /
    • 2005
  • 와룡산 일대에 암주상으로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는 고도에 따른 수직적인 조성변화를 보인다. 이들 화강암류 내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염기성 미립 포유암들이 산출되며, 과냉각대, 망토조직, 그리고 벡베이닝 등과 같은 마그마 혼합의 뚜렷한 증거들이 나타난다. 화강암류는 암석기재적 특징과 모드분석결과로부터 반상화강암, 반상화강섬록암, 그리고 세립질화강암으로 세분되며, 염기성 미립 포유암은 석영섬록암, 석영몬조섬록암, 그리고 토날라이트 조성을 가진다. 화강암류 내에 염기성 미립 포유암의 분포 면적비는 반상화강암이 10∼15%, 세립질화강암이 약 20%, 그리고 반상화강섬록암이 약 50% 정도로 반상화강섬록암에 집중되어 분포한다. 화강암류 주성분 원소 분석결과를 하커변화도에 도시해 보면 반상화강섬록암에서 세립질화강암으로 가면서 선적인 변화경향을 보이며, SiO₂ 함량은 61.2∼72.0wt.%의 조성변화를 보이며, 반상화강섬록암은 평균 61.7wt.%, 반상화강암은 평균 68.6wt.%, 그리고 세립질화강암은 71.9wt.%의 조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조성의 변화는 마그마 불균질 혼합에 의한 것으로 매픽 마그마의 양적인 비율에 따른 혼합 정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픽 마그마의 양이 많은 부분에서는 열적 평형에 빨리 도달하여 화학적 혼합에 의한 반상화강섬록암의 조성이 우세하고, 매픽 마그마의 양이 적은 부분은 기계적인 혼합에 의한 반상화강암과 세립질화강암의 조성이 우세한 것으로 고찰할 수 있다. 따라서 와룡산 일대 화강암류는 화강암질 마그마가 어느 정도 결정분화된 단계에서 보다 매픽한 마그마의 주입으로 인해 마그마 불균질 혼합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혼합된 두 마그마의 양적인 비율에 의해 화강암류의 조성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유성(儒城) 서북부(西北部) 우산봉(雨傘峰) 일대(一帶)에 분포(分布)하는 화강암(花崗巖) 복합체(複合體)의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Petrology of Granitic Complex Distributed in the Woosanbong area, northwestern part of Yuseong)

  • 김승호;이대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14권3호
    • /
    • pp.123-142
    • /
    • 1981
  • Granitic complex in the Woosanbong area is composed of schistose granite, two-mica granite, biotite granite, porphyritic granite and pink feldspar granite in order of intrusion. In their boundary aspects, the gradational change between porphyritic granite and pink feldspar granite is observed in field relations. All the granites of the complex are classified to quartz monzonite by the modal compositions following Bateman's classification (1961) with the exception of pink feldspar granite which belongs to granite according to the petrographical classification. The first three granites are characterized by highly development of vein and/or lens-like pegmatites in their bodies, and two others contain green hornblende uniquely. These leucocratic two-mica granite shows an unusual character in ratio of muscovite to biotite 1: 0.7 to 1:13, and contains dominantly microcline. The content of muscovite varies in places in the field. Under the polarizing microscope it is revealed that the muscovite flakes occur as the products altered from biotite partly or completely, and it usually associates with chlorite flakes nearby. These features, therefore, suggests that biotite probably has been altered to muscovite and chlorite by hydration during deuteric processes. At the same stage, sericitization of plagioclase by the hydrolytic decomposition, and transformation of orthoclase to microcline may be taken place. Accordingly, it is obviously permissible to consider the two-mica granite as a kind of 'apo-granite' by deuteric alterations during the consolidation of magma.

  • PDF

장석광상 모암인 제천반상화강암의 암석학적 특성 (Petrology of Host Body of Feldspar Deposits in Jechon Ganites)

  • 이한영;김대업;박중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05-414
    • /
    • 2001
  • 제천화강암은 반상화강암(거정질 K-장석 함유 화강암)과 중립질 화강암으로 나눈다. 장석광상모암인 반상 화강암은 직경 8${\sim}$11km, 면적 약 80$km^{2}$이다. 반상 화강암의 주 구성광물은 정장석, 사장석, 흑운모, 석영이며 부구성광물은 자철석, 져어콘, 스핀, 인회석이다. 직경 3${\sim}$10cm 거정질 정장석에 포획된 광물들은 각섬석, 사장석, 석영, 자철석, 스핀, 인회석, 져어콘이다. 주로 각섬석, 사장석, 석영으로 구성된 염기성 포획암이 반상 화강암에 자주 관찰된다.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은 주로 정장석, 사장석, 흑운모, 각섬석으로 구성되고 부구성광물은 적철석, 백운모, 인회석, 져어콘이다. 반상 화강암,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 거정질 장석 및 염기성 포획암의 사장석 입자 중앙부와 주변부의 An[Ca/(Ca+Na)] 함량은 각각 36과 21, 40과 32, 37과 32, 43과 36이다. 각섬석의 $X_{Fe}$ 함량은 흑운모 화강암에서 0.57, 석기부분이 0.51, 염기성 포획암이 0.47이다. 흑운모와 각섬석은 모두 화학적 누대구조가 없이 균질한 성분분포를 보인다. 거정질 정장석은 화성기원이며 동일 기원의 흑운모 화강암이 먼저 형성된후 잔류마그마 에서 H$_{2}$O가 불포화되면서 K-장석의 고체곡선 부근에서 성장속도가 핵결정속도보다 매우 빨라져서 거정질로 된 것으로 해석된다. 염기성 포획암의 성인은 마그마가 염기성과 규장질의 성분층을 이룰 때 하부의 염기성 마그마가 상부의 규장질 마그마를 관입하여 혼재되어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흑운모 화강암의 평형온도 및 압력은 약 $800^{\circ}C$와 4.83${\sim}$5.27Kb로 추정된다.하는 $30^{\circ}$ 위도대에서 낮았으나(r<0.6) 그 외의 지역에서는 대체로 높았다(r>0.6). 한반도 부근에서 하부 성층권 온도의 냉각화 경향은 모든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는 SC4(-0.82K/decade)에서 가장 컸으며, MSU4(-0.38K/decade), GEOS(-0.28K/decade), ECMWF(-0.07K/decade) 순으로 나타났다.층과 수온 약층의 의미, 온대저기압 통과 전후의 날씨 변화이며, 지구과학 II 에서는 달의 위상과 위치변화, 화성암의 구성광물 ${\cdot}$ 화학조성 ${\cdot}$ 조직 변화와 마그마 분화 및 풍화와의 관계, 지진파 주시곡선, 대기순환의 종류와 규모, 해파, 혼합층과 수온 약층, 서안강화 현상, 행성의 위치와 운동, H-R도상에서의 별의 특성과 진화 등이다.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는 비교적 높으므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대해 학생의 오답 유형을 참고하여 기본 개념 지도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제거속도는 Fw5&6에서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벼가 자라고 있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풍부한 FW1&2, FW3&4 토양과 상층수에서는 유기물의 분해 활동이 활발하였지만, 벼가 경작되지 않는 FW5&6과 SW 에서는 유기물이 상대적으로 결핍되어 유기물의 분해활동이 적었을

  • PDF

청산 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광물조성과 주성분원소 지구화학 (Mineral chemistry and major element geochemistry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Cheongsan area)

  • 사공희;좌용주
    • 암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209
    • /
    • 1997
  • 청산지역의 화강암류는 기재적인 특징으로부터 백록 화강섬록암, 청산 반상 화강암 및 청산복운모 화강암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백록 화강섬록암의 각섬석은 외각섬석군에 속하고, 중심부의 Mg- 보통각섬석에서 주변부의 양기석질 보통각섬석으로 조성적 변화를 보인다. 청산 지역 화강암류의 흑운모는 금운모와 애나이트의 중간 조성을 나타낸다. 복운모 화강암에서 산출되는 백운모는 그 산출상태와 조성으로부터 마그마 정출의 1차적인 백운모로 판단된다. 주성분 산화물의 변화 경향에서 각각의 화강암류는 체계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백록 화강섬록암은 청산 반상 화강암 및 복운모 화강암과는 주성분의 변화 경향에서 매우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반상 화강암과 복운모 화강암의 경우 일부 성분에서는 연속성이 관찰되지만, 몇몇 원소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청산 지역의 세 화강암류는 각각 이질적 성인의 다른 조성의 마그마로부터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화강암류의 전암 화학조성으로부터 청산 지역 화강암류는 칼크-알칼리질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백록 화강섬록암과 청산 반상 화강암은 그 전암 조성이 I-타입과 메타알루미나질임에 비해, 청산 복운모 화강암은 I-/S-타입 양쪽과 과알루미나질을 나타낸다. 불투명광물의 함량과 전암 대자율값으로부터 청산지역 화강암륜느 모도 티탄철석계열에 속해 비교적 환원적인 환경에서 관입·고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 화강암류는 활동성 대륙연변부에서 일어난 화성활동의 결과로 형성되었음이 추정된다. 청산 반상 화강암에 나타나는 알칼리장석의 거정은 그 결정의 크기, 형태, 배열 및 포유물의 분포 양상 등으로부터 마그마 기원임을 추정할 수 있다. 반상 화강암의 조직적 특징은 2단계 정출작용으로 설명된다. 즉, 알칼리장석 거정의 크기와 형태는 과냉각 정도가 적은 상태에서 결정의 느린 핵형성과 빠른 성장속도로 말미암아 형성된 반면, 석기는 과냉각 정도가 큰 상태에서 핵형성 밀도와 속도가 증가하여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용화(龍化)-설천(雪川) 지역(地域)에 분포하는 백악기 반상화강암(斑狀花崗岩)의 암석화학(岩石化學) 및 유체포유물(流體包有物)에 관한 연구(硏究) (Petrochemical and Fluid Inclusion Study on the Porphyritic Granite in the Yonghwa-Seolcheon Area)

  • 윤석태;박희인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5호
    • /
    • pp.445-454
    • /
    • 1995
  • The petrochemical data of the porphyritic granites of Cretaceous age in the Yonghwa-Seolcheon area show the trend of subalkaline magma, calc-alkaline magma, I-type granitoid and magnetite series. This granite is the relevant igneous rock of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this mining district Fluid inclusions have been studied in phenocryst quartz from the Cretaceous porphyritic granite. Three main types of fluid inclusion were found : liquid-rich inclusion(I type), gas-rich inclusion(II type) and solid-bearing inclusions(III-A, III-B). The solid-bearing inclusions(III-A,B) represent the earliest trapped fluids. They have salinities between 41.0 and 67.5 wt% equivalent to NaCl. These are high saline inclusions containing NaCl and KCl daughter crystals. Homogenization temperature inferred from the fluid inclusion study ranges from 650 to $75^{\circ}C$ Type I and II inclusions were observed within the same fracture. This cause for these differences in degree of filling is evidence of boiling. Salinities of type I and II inclusions range from 9.87 wt% to 15.29 wt%, from 8.40 wt% to 14.64 wt% NaCl equivalent, respectively.

  • PDF

금산지역 형석광화작용과 관련된 화강암질암의 지구화학적 자료 해석 (Geochemical Data Analysis of the Granitic Rocks Potentially Related to Fluorite Mineralization in the Geumsan District)

  • 진호일;전효택;민경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4호
    • /
    • pp.369-379
    • /
    • 1995
  • About forty ore deposits of $CaF_2{\pm}Au{\pm}Ag{\pm}Cu{\pm}Pb{\pm}Zn$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Geumsan district and are believed to be genetically related to the Mesozoic Geumsan granitic rocks. Based on their petrogeochemistry and isotopic dating data, the granitic rocks in this district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 the Jurassic granitic rocks(equigranular leucocratic granite, porphyritic biotite granite, porphyritic pink-feldspar granite, seriate leucocratic granite) and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seriate pink-feldspar granite, equigranular alkali-feldspar granite, equigranular pink-feldspar granite, miarolitic pink-feldspar granite, equigranular biotite granite). Spatial distribution of fluorite ore deposits, fluorine contents of granitic rocks and fracture patterns in this district suggest that three granitic rocks(equigranular biotite granite, equigranular pink-feldspar granite, miarolitic pink-feldspar granite) of the Cretaceous period be genetically related to the fluorite mineralization. In these fluorite-related granitic rocks, fluorine is most highly correlated with Cs(correlation coefficient(r)>0.9), and also highly with MnO, U, Sm, Yb, Lu, Zn, Y, Li(r>0.7). Statistically the variation of fluorine in the fluorite-related granitic rocks can be explained in terros of only three elements, such as Lu, CaO and Cs, and the fluorite-related granitic rocks can be discriminated from the fluorite-nonrelated granitic rocks by a linear functional equation of La, Ce, Cs and F($Z_{Ust}=-1.38341-0.00231F-0.19878Ce+0.38169La+0.54720Cs$). Also, equigranular alkali-feldspar granite is classified into the fluorite-related granitic rocks by means of the linear functional equation($Z_{Ust}$).

  • PDF

금산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암석지구화학 (Petrogeochemistry of Granitic Rocks Distributed in the Geumsan District, Korea)

  • 진호일;민경원;전효택;박영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2호
    • /
    • pp.123-137
    • /
    • 1995
  • The Mesozoic Geumsan granitic rocks of various composition are distributed in the Geumsan district, the central part of the Ogcheon Fold Belt. About 40 ore deposits of $CaF_2{\pm}Au{\pm}Ag{\pm}Cu{\pm}Pb{\pm}Zn$ are widely distributed in this district and are believed to be genetically related to the granitic rocks. Based on their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the granitic rocks in this district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 the Group I( equigranular leucocratic granite, porphyritic biotite granite, porphyritic pink-feldspar granite, seriate leucocratic granite) and the Group II(seriate pinkfeldspar granite, equigranular alkali-feldspar granite, equigranular pink-feldspar granite, miarolitic pink-feldspar granite, equigranular biotite granite). Interpreted from their isotopic dating data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Group I and the Group II are inferred to be emplaced during the Jurassic(~184Ma), and the Cretaceous to the early Tertiary period(~59Ma), respectively. Both Group I and Group II generally belong to magnetite-series granitoids.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 of Group II are more highly evolved than those of the Jurassic Group I. The Rb-Sr variation diagram suggests that the granitic rocks of the Jurassic Group I and of the Cretaceous Group II be evolved mainly during the processes of fractional crystallization and partial melting, respectively.

  • PDF

경기육괴 북부 광덕산 일대에 분포하는 쥐라기 고알루미나 화강암질암의 성인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ies on the Petrogenesis of Jurassic Peraluminaous Granitic Rocks in the area of Gwangdeoksan in the Northern Gyeonggi Massif)

  • 한충희;전혜수;박영록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4호
    • /
    • pp.325-337
    • /
    • 2020
  • 경기육괴 북부 화천군과 철원군 경계부의 광덕산 일대에 분포하는 쥐라기 화강암은 복운모화강암, 함석류석복운모화강암, 운모화강암, 반상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암석들은 서브알칼리 계열 중 칼크-알칼리 계열에 해당하며, Al 포화지수를 이용한 A/CKN vs. A/KN 다이어그램에서 고알루미나질 영역에 도시된다. 암석기재학적·지화학적 자료는 연구지역에서 가장 후기에 관입한 것으로 알려진 반상흑운모화강암은 복운모화강암, 함석류석복운모화강암 및 운모화강암과는 별개의 모그마로부터 기원하였음을 지시한다. 이들 화강암질암을 형성한 마그마의 근원암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Rb/Sr vs. Rb/Ba 다이아그램과 Al2O3/TiO2 vs. CaO/Na2O 다이어그램에 도시한 결과, 반상흑운모화강암은 복운모화강암, 함석류석복운모화강암, 운모화강암 보다 이질 성분을 덜 함유하는 근원암으로부터 유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스파이더 다이어그램에서 친석원소인 Cs, Rb, Ba의 값이 부화되어 나타나고, 고장력 원소인 Nb, P, Ti의 값이 결핍된 값의 지화학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광덕산 일대에 분포하는 쥐라기 고알루미나질 화강암질암은 섭입대 환경에서 형성되었으며, 전암 저어콘 포화지온계로부터 692-795℃ 온도 조건에서 용융되었음을 알 수 있다.

언양(彦陽) 및 울산지역(蔚山地域) 화강암질암류(花崗岩質岩類)의 암석화학적(岩石化學的) 연구(硏究) (Petrochemistry of granitic rocks from the Eonyang and the Ulsan area)

  • 이윤종
    • 자원환경지질
    • /
    • 제13권2호
    • /
    • pp.69-79
    • /
    • 1980
  • Granitic rocks, from the Eonyang and the northwestern part of Ulsan area, were mainly studied from the petrochemical point of view. From field work,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he result of K-Ar ages, these granitic rocks are divided into six rock types of a, b, c, d, e and e', of which modal composition are given. Type a, c, e and e' are mainly granodiorite, type b is adamellite, and type d is granodiorite, adamellite and others (porphyritic rock, porphyry and felsitic rocks). Bulk chemical analyses of 22 samples of the granitic rocks are given. The petrographical and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rocks are discussed briefly. In the petrochemical compositions with their characteristic variation trends of several oxides and norm Or-Ab-An triangular diagram, type a, b and c show some similarity to that of San-yo granite of Japan and younger granite of Ogcheon geosynclinal zone, and then, type e and e', to San-in granite of Japan. But, some of granitic rock samples of type d are similar to San-yo granite and the others of type d to San-in granite because this type is composed of porphyritic rock, porphyry and felsitic rocks. According to the result of K-Ar ages (1976, Lee et al.) of rock samples from type a, b and care Cretaceous, on the otherwise, type d, e and e', are Tertiary granitic rocks. Judging from these evidences, granitic rocks in the area are correlated to the Cretaceous and Tertiary granitic rocks in the, southwestern Japan, that is, type a, band c are correlated to San-yo granite, and type d, e and e' to San-in granite.

  • PDF

광주화강암체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Petrochemical Study On the Kwangju Granite Body)

  • 김용준;오민수;박재봉
    • 자원환경지질
    • /
    • 제26권1호
    • /
    • pp.83-96
    • /
    • 1993
  • Kwangju granite body located in vicinity of Kwangju city consist of three rock bodies-Kwangju rock body, Jangsung rock body and Youngkwang rock body. Petrochemistry of Kwangju granite is as follows: Kwangju granite body is igneous complex which compose of a series of differential products of a magma. Kwangju granites are divided into four rock facies based on the geologic age, mineralogical and chemical constituents and texture: Triassic hornblende-biotite granodiorite and biotite granite, and Jurassic porphyritic granite and two mica granite. Harker and other variation diagrams of Kwangju granites plot on trend of calc-alkali rock series and range of peraluminous granite. Parental magma type of Kwangju granites correspond to I-type, Syn-Collision type in compressive stress field by collision movement between both rock block. In chondrite normalized REE patterns of Kwangju grnites, LREE enriched than HREE in REE amount and have more steep negative slope with slightly (-) Eu anorma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