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ewater pressure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필댐의 안전관리를 위한 주요 계측 데이터의 최적 분석기법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n optimal analysis technique of primary measurements for safety management of fill dam)

  • 전현철;윤성규;김지성;임은상;강기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spc1호
    • /
    • pp.1155-11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필댐의 주요계측기인 침투수량계, 정상침하계, 간극수압계의 최적 분석기법을 제안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수행하였고, 이와 더불어 저수위, 강우량 데이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측기별 기술통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간극수압계는 주성분 분석을 통해 3그룹 또는 2그룹으로 분류가 가능하였고, 저수위가 상관성이 큰 그룹의 경우는 계측기 간의 상관성도 크게 나타났다. 침투수량의 경우는 극심한 비대칭 분포를 보이고 있어 정량적 분석을 위해 분류나무 분석을 통해 무강수, 강수시의 평균 침투수량을 추정할 수 있었다. 정상침하계의 경우는 상관분석 결과 계측기간의 상관성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저수위계와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분석하기 위해 EMD분석을 수행 하였다. 필댐의 주요 계측항목으로 간극수압계, 침투수량계, 정상침하계의 거동분석을 위해서는 각각 주성분 분석, 분류나무 분석, 데이터 필터 기법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유사한 계측항목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반 배수조건을 고려한 액상화 이후 과잉간극수압 소산에 따른 지반의 침하 (Post-Liquefaction Induced Ground Settlement by Dissipation of Porewater Pressure under Drained Condition)

  • 윤성규;김동환;양영찬;강기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5-16
    • /
    • 2022
  • 국내 내진설계의 경우, 일반적으로 비배수 조건 해석을 통해 구조물과 지반의 변형을 검토하여 이를 설계 및 유지보수에 적용한다. 하지만 지진과 같은 동적하중에 의해 발생한 액상화 현상 이후 과잉간극수압의 소산과정을 거치게 되면 추가적인 지반의 침하가 발생하고 그에 따른 더 큰 피해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배수조건의 해석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며, 지진이 끝난 후 소산과정을 거친 지반의 침하량을 산정하고 검토하는 등의 정확한 지반의 거동을 파악해 이를 설계 및 유지보수에 함께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수 사질토 지반을 Dr=30%의 느슨한 지반과 Dr=70%의 조밀한 지반으로 구분하여 비배수조건과 배수조건을 가정해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지진과 같은 동적하중이 작용할 때, 지반의 배수조건을 고려하여 느슨한 지반과 조밀한 지반의 침하량 및 과잉간극수압비를 비교하고, 지진이 끝난 후 지반의 소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침하량 및 과잉간극수압비를 비교, 분석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췄다. 그 결과 지진 시 발생한 지반의 침하량 보다 소산과정을 거친 지반의 침하량이 약 30~60배 큰 결과를 얻었다.

저소성 점토의 수정 Cam-clay 모델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Modified Cam-clay Model in Low Plastic Clays)

  • 이송;김태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247-256
    • /
    • 2003
  • 국내 서해안 지역에서는 실트질 저소성 점토가 두루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저소성 점토를 함유한 연약지반에 지반개량공법에 관련된 여러 해석을 실시할 경우, 일반적으로 수정 Cam-clay모델을 적용하여 FEM 해석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등방조건에서 개발된 Cam-clay이론의 특성에 대해서 충분한 검토를 하지 않고 비등방 조건을 갖는 현장을 해석하기 위해 두루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트질 저소성 점토지반에서 수정 Cam-clay 이론을 적용할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고려하기 위해 실내 등방 및 비등방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FEM 수치해석을 구성하여 시험결과와 비교ㆍ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수정 Cam-clay 이론을 적용한 해석치들은 비배수 전단강도를 평가함에 합리적인 결과를 나타냈지만, 하중적용시 발생하는 간극수압을 예측함에 모두 과대 평가를 나타냈다. 특히 비등방 조건에서는 등방조건보다 더욱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원인은 수정 Cam-clay 이론 자체가 등방조건의 이론인 관계로 등방조건보다 비등방조건에서 과잉간극수압 예측이 과대 평가되는 특징을 보인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등방조건에서 약간 과대 평가되는 이유는 실트질 저소성 점토가 전단시 시료 팽창에 의한 다일러턴시가 발생하여 간극수압 예측에 전반적인 과대 평가를 유발했음이라 판단된다.

Sabkha층 탄산질 모래의 삼축압축시 입자파쇄로 인한 응력경로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 Path of a Sabkha Layer Consisting of Carbonate Sand, as Obtained by the Triaxial Test after Particle Crushing)

  • 김석주;이장덕;장재호;한희수
    • 지질공학
    • /
    • 제24권1호
    • /
    • pp.23-38
    • /
    • 2014
  •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Ruwais지역 Sabkha층 탄산질 모래는 석영질 모래와는 구성성분이 다르며 낮은 외부하중에서 쉽게 입자파쇄가 발생한다. 이러한 지반은 상부하중으로 인한 입자파쇄를 유발하여 추가 침하가 발생하며 전단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위하여 표준압밀시험과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여 탄산질 입자의 파쇄에 대한 다양한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탄산질 모래는 선행입자파쇄 정도에 따라서 파괴시 전단 응력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응력경로를 나타내는 p-q 다이어그램에서 p' > p인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때 내부 공극이 외부로 노출되어 음(-)의 간극 수압이 발생되었다. 또한, 입자파쇄로 인하여 증가하던 q값이 감소하였다. 삼축압축시험결과 탄산질 모래의 선행입자파쇄 정도에 따라서 압축시 발생되는 간극수압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 Sabkha층 탄산질 모래의 입자파쇄시 나타나는 다양한 거동특성을 알 수 있다.

경남 거제 지역 붕적토 사면의 붕괴 및 보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collapse and Reinforcement of Colluvial Deposit slopes in Kyeong-Nam Geo-Je area)

  • 정창덕;장정욱;박춘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70-877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a case of collapse and reinforcement of the colluvial deposit slope in Kyeongnam Geoje Area. The reason for the collapse was found first in the reduction of the resistant force due to slope-cut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This decreased the resistant force against sliding, which enabled precipitation during the rainy period to seep into the ground in the upper colluvium, resulting in increase in porewater pressure. This leads to decreased shear strength and increased sliding force, which ultimately caused the collapse of the slope. For the long-term stability, methods attained for stability reinforcement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 PDF

산사태 위험도 추정을 위한 간극수압 예측에 관한 연구 (III)-모델 매개변수 분석- (Porewater Pressure Predictions on Hillside Slopes for Assessing Landslide Risks(III)-Model Parameter Identification-)

  • 이인모;박경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4호
    • /
    • pp.41-50
    • /
    • 1992
  • In general, the conceptual lumped-parameter groundwater flow model to predict the groundwater fluctuations in hillside slopes has unknown model parameters to be estimated from the known input -output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optimal model parameters of the groundwater flow model developed by authors. The Mazilnum A Posteriori( MAP) estimation method is utilized for this purpose and it is applied to a site which shows the typical landslide in Korea. The result of application shows tllat the 반AP estimation method can estimate the unknown parameters properly well. The groundwater model developed along with estimation technique applied in this paper will be used for assessing risk of landslides.

  • PDF

Physical modelling of soil liquefaction in a novel micro shaking table

  • Molina-Gomez, Fausto;Caicedo, Bernardo;Viana da Fonseca, Antoni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9권3호
    • /
    • pp.229-240
    • /
    • 2019
  • The physical models are useful to understand the soil behaviour. Hence, these tools allow validating analytical theories and numerical data. This paper addresses the design,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a physical model able to simulate the soil liquefaction under different cyclic actions. The model was instrumented with a piezoelectric actuator and a set of transducers to measure the porewater pressures, displacements and accelerations of the system. The soil liquefaction was assessed in three different grain size particles of a natural sand by applying a sinusoidal signal, which incorporated three amplitudes and the fundamental frequencies of three different earthquakes occurred in Colombia. In addition, such frequencies were scaled in a micro shaking table device for 1, 50 and 80 g. Tests allowed identifying the liquefaction susceptibility at various frequency and displacement amplitude combinations. Experimental evidence validated that the liquefaction susceptibility is higher in the fine-grained sands than coarse-grained sands, and showed that the acceleration of the actuator controls the phenomena trigging in the model instead of the displacement amplitude.

우리나라 포화사질지반의 액상화 포텐셜 평가 (구함관계 개발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Liquefaction Potentional on Saturated Sand Layers in Korea (on the Development of Constitutive Relationships))

  • 도덕현;장병욱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6권3호
    • /
    • pp.41-52
    • /
    • 1990
  • To investigate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sands, a series of untrained cyclic triaxial compression tests is carried out on the samples of Ottawa, Joomoonjin, Hn river and Hongseung sands. The constitutive equations of sands are derived to explain the mechanical behavior of sands under cyclic stresses, and are applicable to liquefact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ded in this study. 1. Sands with the lower confining pressure or relative density are to be easily liquefied, and when the amplitude of cyclic stress are large, liquefaction takes places over only a few cycles. 2. Stress ratio, porewater pressure ratio and cyclic shear strains are to be good criteria to evaluate liquefaction potential of sands. 3. Hongseung sands which contains some silty clay shows higher dynamic properties than other sands. 4. The dynamic behaviors of undisturbed Hongseung sand are about same as those of dense sands. It is noted that undisturbed Hongseung sand shows higher liquefaction potential than the samples made by pluviation under same relative density, 5. The constitutive equations of soils under cyclic loads are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of elasto-plasticity, logarithmic stress-strain rela'tionship, non-associated flow rule and the concept of the boundary surface. The derived equations is applicable to predict the behavior of sands under cyclic loads and liquefaction potential with a higher accuracy. 6.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it may be concluded that cracks of the foundations and dislocation of the structures at Hongseung earthquakes(Oct. 7, 1978, Richter scald 5.2) are not brought by the liquefaction process.

  • PDF

해저면의 수직 지진 진동에 의해 유발된 해진에 대한 해상 개단 강관 말뚝 기초의 거동 (Response of Open-ended Pipe Pile Foundation at Offshore Sites to Seaquake Induced by the Vertical Seismic Excitation of the Seafloor)

  • 최용규;남문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1-21
    • /
    • 1998
  • 해상에 설치된 기초말뚝의 경우 지진의 3가지 성분 즉, 지반의 수평운도, 지반의 연직진동에 의해 발생된 상부구조물과의 피드백 (feedback)에 의한 말뚝의 연직진동, 그리고 지반의 연직진동에 의해 유발된 해진(seaquake)의 진동이 말뚝 기초의 거동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유발된 해진의 진동을 해저면에서 유사화된 sine 정현파 형상의 동수압으로 모델링하였다. 해진(seaquake) 작용중 약 220m 이상의 심해에 설치된 개단 말뚝의 지지력은, 지반내에 유발된 과도한 과잉 간극수압으로 인하여, 심각하게 저감도었으며, 관내토 폐쇄력도 80% 이상 감소되었다. 해진중 관내토 선단 하부에서 발생된 과도한 과잉 간극수압으로 인하여 관내토내에 과도한 상향의 침투력이 유발되어 관내토 폐색이 손상되었다. 약 220m 이하의 천해에 설치된 개단말뚝의 지지력은 해진에 의해 약 10% 감소하였으며, 관내토의 폐쇄력은 5%이하만큼 감소하였다.

  • PDF

수치해석을 이용한 산사면에서의 간극수압 예측에 관한 연구 (A Numerical Analysis of Porewater Pressure Predictions on Hillside Slopes)

  • 이인모;서정복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1호
    • /
    • pp.47-62
    • /
    • 1994
  • 산사면에서 강우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은 사면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강우로 인한 지하수위 상승을 예측하는 일은 산사면의 안정성을 해석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포화흐름과 비포화흐름을 고려한 산사면에서의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기 위한 수치해석 모델의 개발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수치해석이 갖는 큰 약점인 입력상수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해주기 위하여 매개변수분석 및 예측법을 제시하였다. 수치해석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한 수치해석기법은 유한요소법과 유한차분법을 동시에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2차원 수치해석모델을 개발한 후, 수치해석모델의 입력값들이 갖는 불확실한 상수들에 대한 매개변수분석을 수행하여 본 수치해석모델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예측방법은 Maximum-A-Posteriori(MAP)방법을 이용하여 불확실한 입력상수인 $K_e$,$\psi_e$, b에 대한 배개변수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수치해석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제 산사태가 빈번히 일어났던 서울시 시흥동에 위치한 현장에 적용하여 계측된 지하수위와 비교, 검토하였다. 이 적용결과로부터 본수치해석모델이 강우로 인한 산사면에서의 지하수위 상승을 비교적 잘 예측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