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nd

검색결과 875건 처리시간 0.025초

매립회를 사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재료 물성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valuation of Material Properties in Cement Mortar with Pond Ash)

  • 정상화;김주형;권성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08-117
    • /
    • 2013
  • 석탄화력 발전의 부산물 중에서 플라이애쉬는 콘크리트 혼화재료로서 많은 공학적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텀 애쉬를 포함한 나머지 부산물 등은 주로 매립되어 공학적 활용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된 부산물인 매립회 (PA: Pond Ash)를 이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하였으며, 매립회 시멘트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두 매립지로부터 유연탄 및 무연탄 매립회를 채취하였으며, 2가지 물-시멘트 비 (0.385, 0.485)와 3가지 잔골재 치환률 (0%, 30%, 60%)을 고려하여 시공성, 역학성능,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흡수율이 높은 무연탄 매립회의 경우, 적절한 시공성, 우수한 강도발현과 내구성능을 확보하였는데, 매끈한 표면과 내부의 풍부한 자유수로 인해 조직구조가 치밀한 시멘트 모르타르가 제조되었기 때문이다. 매립회 중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가진 무연탄 매립회의 경우 일반 잔골재의 성능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지역적 절멸 위험에 처한 도심 속 금개구리의 서식처 개선방안 연구 - 수인선 폐철도변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a Habitat of 'Gold-spotted Pond Frog (Pelophylax chosenicus)' in Danger of Regional Extinction in the Urban Area - Case on the Abandoned Railroad Site on Su-in Line -)

  • 양덕석;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107
    • /
    • 2016
  • The gold-spotted pond frog(Pelophylax chosenicus) classified as an Anura in Amphibia is sharply decreasing due to various changes of habitats environment, and designated as IUCN Red List Threatened species(VU; Vulnerable) internationally and domestic endangered species Class-II; therefore, it's in urgent need of the research on habitats restoration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in order to prevent its extin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 after restoration by introducing the inhabitation elements deducted by the literature research and a field survey on the habitats for the gold-spotted pond frog in danger of regional extinction in the urban area of Ansan city, Gyeonggi-do, Korea. Accordingly, the capacity for bio-species was increased by expanding the area of habitats into $11,845m^2$, and securing the place for hibernation and corridors and discharge within the habitats, etc.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by 9.5 times as the reproductive success rate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got higher, and by virtue of improvement in the habitats, biodiversity increased to 183 species(4 species of amphibians and reptiles, 4 species of mammals, 17 species of birds, 53 species of insects(terrestrial/Benthic), 4 species of fish, and 102 species of plants). It might be possible to verify the restoration effect of the habitat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nd suggest the restoration model on the habitats for continuously survivable the gold-spotted pond frog in the urban area by deducting the matters to be improved.

WEPP 모델을 이용한 고랭지밭 경사도별 침사지 적정용량 산정방법 (Design of Optimum Volume of Sediment Settling Pond at Highland Agricultural Watershed Using WEPP Model)

  • 현근우;박성빈;박정희;전상호;최재완;김기성;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5호
    • /
    • pp.87-95
    • /
    • 2010
  • The optimum volume of sediment settling pond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rainfall and surface peak rate runoff from crop field. Based on analysis of measured rainfall and runoff data, it was found that rainfall intensity of 2 mm/min would result in peak rate runoff from the agricultural field of study area. Optimum pond volume under various slope scenarios were determined using the WEPP model calibrated with measured flow and sediment data for the study watershed. For the agricultural field with the slope of 7 % and area of $2,600\;m^2$ at the study area, at least $6.4\;m^3$ of sediment settling pond is needed as shown in this study.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guide in designing appropriate volume of sediment settling pond at highland agricultural areas because both very detailed field measurement and calibrated WEPP model results are used in the analysis.

농업용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한 오염물질 침강지 조성 기법 (Practical Research on the Advanced Detention Pond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

  • 배요섭;남귀숙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79-86
    • /
    • 2008
  • 전형적인 농촌유역을 가지는 충남 아산시 마산저수지는 상류 유역으로부터 다량의 점,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어 과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농업용 저수지이다. 주요 유입하천인 황산천과 초사천의 수질('05년~'06년)은 TN과 TP 등 영양염류와 유기물의 농도가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마산저수지의 수질은 COD가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 저수지 유입부에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조립식의 오염물질 침강장치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침강시설의 평균 정화효율은 부유물질(SS) 55.7%, 총질소(TN) 61.0%, 총인(TP) 55.9%로 장정렬등(2004)이 제시한 부댐형 침강지의 정화효율에 비해 안정적으로 높은 효율을 보였을 뿐 만 아니라 저비용으로 높은 수질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경제적인 시설로서 저수지 수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밀도 축제식 양식장의 질소역학과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 성장 (Nitrogen Dynamics and Growing of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in the High Density Aquaculture Ponds)

  • 강윤호;윤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4-32
    • /
    • 2004
  • A mathematical model is used to investigate nitrogen dynamics in the intensive aquaculture pond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Parameters associated with water quality, sediments and growing of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are measured to calibrate the model for feeding ponds A and B and storage ponds. The model describes the fate of nitrogen including loadings of ammonia from feeds, phytoplankton assimilation, nitrification, sedimentation, volatilization and discharge. The model obtains good agreements with the measured values of TAN $(NH_4,\;NH_3),\;NO(NO_2,\;NO_3)$ and Chl (chlorophyll a). Impacts of water exchange on TAN and Chl are investigated, showing that the range of 0.01-0.2 (/day) cannot effectively reduce TAN but reduces Chl. Nitrogen in the ponds A is removed by sedimentation $66\%,$ volatilization $8\%,$ discharge of particulate and dissolved $8\%.$ The pond B shows $56\%\;and\;26\%$ of sedimentation and volatilization, respectively, to yield $10\%.$ decrease and 8c/o increase compared to those in the pond A. While the pond A has larger area (1.02:0.66 ha) and same stocking density (0.025 md./L) at the beginning of culture, the pond B obtains higher stocking density (0.0065:0.0091 md./L), longer feeding period (103:121 day) and resultant higher shrimp production (1.15:2.13 t/ha/cycle) at harvest. This is possibly due to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driven by paddlewheels. At low ratio of the low speed area and the pond area, the rate of sedimentation is high, while the rate of gas exchange is low. Thus, the measurement and model analysis suggest that water quality and shrimp produc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shrimp ponds.

A geochemical study on the saline waters circulating in an ash disposal pond of Seocheon Power Plant. Korea

  • Kim, Kang-Joo;Park, Seong-Min;Kim, Jin-San;Natarajan Rajmohan;Hwang, Gab-Soo;Yun, Seong-Taek;Kim, Hyun-Jung;Kim, Suk-Hwi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338-341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geochemistry of saline water circulating in an ash disposal pond of Seocheon power plant, Korea. For this study, ash pond waters, slurry water and sea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major ions and trace elements. Results show that ash pond waters and slurry water are alkaline in nature due to high calcium content, and have high concentration of Ca, B, Li, As, Ba, Al, Si and Mn over seawater, suggest that these elements leached from fly ash even at high alkaline condition and ionic strength. Slurry water has high concentration of B, Ba, Li, Mn, Si and Sr compare to ash pond waters, expresses that these elements seem to be easily reached at initial stage fly ash-water interaction, and also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surface of the fly ash particles. Additionally, PHREEQC program predicted several secondary solid phases, which are also influenced in the leaching of elements in to the saline water.

  • PDF

갈대 및 부들 습지셀의 연못시스템 방류수 질소제거 비교 (Comparison of Nitrogen Removal Between Reed and Cattail Wetland Cells in a Treatment Pond System)

  • 양홍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4-239
    • /
    • 2004
  • [ $NO_3$ ]-N and T-N removal rates of cattail wetland cell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eed wetland cells. The examined cells were a part of a pond-wetland system composed of two ponds in series and six wetland cells in parallel. Each wetland cell was 25m in length and 6m in width. Cattails (Typha angustifolia) were transplanted into three cells and reeds Phragmites australis) into another three ones in June 2000. Water of Sinyang stream flowing into Kohung Estuarine lak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pumped into the primary pond, its effluent was discharged into the secondary pond Effluent from the secondary pond was funneled into each cell. Two cattail and reed cells were chosen for this research. Water quantity and quality of influnt and effluent were analyzed front May 2001 through October 2001. The volume of influent and effluent of the cells averaged about $20.0\;m^3/day$ and $19.3\;m^3/day$, respectively.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approximately 1.5 days. Influent $NO_3$-N concentration for the four cells averaged 2.39 mg/L. Effluent $NO_3$-N concentration far the cattail and reed cells averaged 1.74 and 1.78 mg/L, respectively. Average $NO_3$-N retention rate for the cattail and reed cells by mass was 30 and 29%, respectively. Influent T-N concentration far the four cells averaged 4.13 mg/L. Effluent T-N concentration for the cattail and reed cells averaged 2.55 and 2.61 mgL respectively. Average T-N retention rate for the cattail and reed cells by mass was 39 and 38%, respectively. $NO_3$-N and T-N concentrations in effluent from the cattail cells were significantly low (p=0.04),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reed cells. Cattail wetland cells were more efficient for $NO_3$-N and T-N abatement than reed ones.

Optimized cultivation of Ettlia sp. YC001 in eutrophic pond water for nutrient removal and biomass production

  • Oh, Hyung-Seok;Ahn, Chi-Yong;Srivastava, Ankita;Oh, Hee-Mock
    • ALGAE
    • /
    • 제33권4호
    • /
    • pp.319-327
    • /
    • 2018
  • Ettlia sp. YC001, a highly settleable and productive microalga,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removing nutrients and capturing suspended solids from eutrophic pond water.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Ettlia sp. YC001 cultiv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water from a landscape pond. The pond water wa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N : P ratios by weight, and the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removal compared in batch cultures. The maximum removal rate of N and P was with an N : P ratio of 16 : 1. Plus, the turbidity dropped to near zero within 4 days. Meanwhile, chemostat cultivation showed that the biomass productivity and nutrient removal rate increased when increasing the dilution rate, where a dilution rate of $0.9d^{-1}$ showed the highest N and P removal rate at $32.4mg\;L^{-1}\;d^{-1}$ and $1.83mg\;L^{-1}\;d^{-1}$, respectively, and highest biomass and lipid productivity at $0.432g\;L^{-1}\;d^{-1}$ and $67.8mg\;L^{-1}\;d^{-1}$, respectively. The turbidity was also reduced by 98% in the chemostat cultivation. Moreover, auto-flocculation and pH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 turbidity removal.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e optimal N : P ratio for small pond water treatment using an Ettlia sp. YC001, while also establishing the optimal conditions for nutrient removal, turbidity reduction, and biomass production.

축산폐수 처리 연못시스템의 처리수 재활용 양어 (Aquaculture Recycling Effluent from a Pond System Treating Animal Excreta Ecologically)

  • 양홍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9-344
    • /
    • 2000
  •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연못시스템의 1차연못 처리수(평균 $BOD_5\;49.1mg{\cdot}L^{-1}$, $T-N\;48.6\;mg{\cdot}L^{-1}$)를 1주에 2 - 3회 실험양어지에 공급하여 잉어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처리수 공급유량과 실험양어지의 유량이 1:4가 유지되도록 공급하였으며, 실험양어지의 평균 $BOD_5$$15\;-\;20\;mg{\cdot}L^{-1}$였다. 양어지에 수용한 잉어의 평균 체중은 8월에 204.2 g에서 9월과 10월에 210.4 g와 219.3 g로 각각 늘었으며 60일간 사육에서 생잔율이 82%였다. 운반 및 조사시 잉어에 주는 스트레스를 감안하면 양어지의 수질과 환경은 잉어 성장에 나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8월부터 10월 사이의 다소 낮은 성장률은 양어지의 물을 빼내고 잉어를 잡아 체중과 체장을 측정하는 과정이 잉어에 스트레스를 준데 원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월동 후인 이듬해 4월에 잉어의 평균 체중은 205.3g로 감소하였으며 전년도 10월과 비교하여 생잔율은 83%였다. 일반적으로 잉어는 월동 후에 체중이 약 10 - 20%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양어지 실험결과 양어지의 평균 $BOD_5$$15\;-\;20\;mg{\cdot}L^{-1}$로 유지되면 용존산소결핍으로 잉어가 일시에 죽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평균 $BOD_5$와 T-N이 각각 27.9, $30.8\;mg{\cdot}L^{-1}$인 2차연못에 체중 약 100g 정도의 잉어 10마리를 8월에 넣어 보았으나 1주일 이내에 모두 죽었다. 새벽 무렵의 급격한 용존산소결핍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연못시스템의 3차연못에 잉어를 직접 털어 성장을 분석하였다. 3차연못의 평균 $BOD_5$와 T-N은 각각 $19.8\;mg{\cdot}L^{-1}$, $21.0\;mg{\cdot}L^{-1}$였다. 3차연못은 2차연못에서 발생한 조류(algae)가 죽어 연못바닥으로 침전되는 마무리연못(maturation pond)으로 연못전체가 호기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3차연못에 8월에 넣은 잉어의 평균체중은 107.5g였으며 2개월 후에 165.2g으로 증가하였다. 사육 1년 후의 평균체중은 478.2g으로 약 3배 증가했으며, 1년 후의 잉어 생잔율도 86%로 높게 나타났다. 월동을 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매우 좋은 성장이다. 생잔율이 높게 나타난 원인은 측정 횟수가 적어 측정에 따른 스트레스가 적었다는 점과 3차연못의 환경조건 (수질, 먹이 등)이 잉어사육에 적합했다고 사료된다. 사료공급 없이 하${\cdot}$폐수를 재활용하는 세계 여러나라의 잉어 생산량은 약 $18\;-\;l37g{\cdot}m^{-2}year^{-1}$이다. 3차연못 잉어생산량은 $125\;g{\cdot}m^{-2}year^{-1}$로 아주 양호한 생산량이다. 산업폐수가 유입되지 않은 생활하수나 축산폐수의 처리수를 이용한 양어의 고기는 생체실험결과 인체에 해가 없다고 규명되어 왔다.$^{15,16),17)$ 축산폐수를 자연생태적으로 처리하는 연못시스템의 연못에서 잉어를 사육할 경우 연못의 수질이 2차처리수준인 $BOD_5\;20\;mg{\cdot}L^{-1}$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연못시스템은 축산지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어의 수확으로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 PDF

통일신라시대 월지(月池) 입·출수 체계의 원형과 구조 (The Prototype and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of the Wolji Pon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 김형석;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4호
    • /
    • pp.124-141
    • /
    • 2019
  • 연구는 월지(안압지)의 수질 관리 문제를 유지용수의 순환 체계와 연관지어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연못의 순환체계와 관련 깊은 입·출수 체계를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입·출수시설 외에 선행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추정 입·출수시설을 분석하였다. 입수시설을 검토한 결과, 현재 입수구인 월지 동남측 호안 입수시설은 남북 담장을 사이에 두고 동편의 정원시설(경석, 곡수로, 저수시설)과 수로로 연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월지 동편 조사에서 별도의 시설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1920년대 실측 도면에 경석군이 확인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추정 입수구인 남서측 호안 입수시설은 월지 서편 건물지 임해전(臨海殿) 터에 남아 있는 화강암 수로와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월지 남서측 호안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고, 거름망을 꽂았던 홈, 1920년대 실측 도면과 1975년 측량 도면의 입수구에 경석이 배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깨끗한 물을 입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출수시설과 관련하여 북측 호안 출수시설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목제 수로와 장대석군 집수시설의 기능은 월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설만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목제 수로에 나무 물마개가 있는 점과 마지막 단계에 집수시설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상황에 따라 발천의 물이 역으로 입수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즉 북측 호안 출수시설은 양방향으로 물이 드나들었으며 장대석군 집수시설을 통해 개폐 가능한 목제 수로로 입수되기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 출수구인 서측 호안 출수시설은 북측 호안의 출수시설과 매우 유사함을 볼 때 신라시대에 존재하였거나 후대의 어느 시점에 북측 호안 출수시설을 모방하여 만들었을 것이라는 추정 외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조선시대 어느 시점까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출수시설로 기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월지는 신라 왕경 중심부인 동궁의 시설과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체계화된 배수망에 의해서 입·출수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월지를 비롯한 각 시설군에 물이 입수되었으며 왕경 중심부의 중요한 인공 하천인 발천(撥川)을 통해 남천(南川)으로 연결되는 배수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