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orbat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8초

유변학적 특성과 표면장력측정을 통한 음이온성 폴리머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Anionic Polymer and Nonionic Surfactant with Rheological and Surface Tension Measurements)

  • 이정노;김동주;고하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0-166
    • /
    • 2007
  •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surface tensions of polymer solutions and polymer-surfactant mixed solutions were investigated. The polymers used in this study were a homopolymer of acrylic acid crosslinked with an allyl ether of pentaerythritol, an allyl ether of sucrose, or an allyl ether of propylene (CARBOMER), acylate/C10-30 alkyl acylate crosspolymer (AAAC), and ammonium acryloydimethyltaurate/VP copolymer (ADTV). A solubilizing agent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HCO-40) and an emulsifying agent 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stearate (POLYSORBATE 60) made the micelles intervening between AAAC polymers,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viscosity. However, HCO-40 made this behavior over the wider range of surfactant concentration than POLYSORBATE 60. From the view point of surface tensions in the same range of surfactant concentration, AAAC/HCO-40 solution showed the area of increasing surface tension with surfactant concentration in contrast to the AAAC/POLYSORBATE 60 solution showing no increasing area.

Polysorbate 80이 Sulfanilamide및 Sulfacetamide 과립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sorbate 80 on the Dissolution of Sulfanilamide and Sulfacetamide Granules)

  • 구영순;이정순
    • 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9-196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rfactant on the dissolution of relatively hydrophilic drugs, such as sulfanilamide (SF) and sulfacetamide (SFA) granules prepared by wet granulation. The additive incorporated in the granules is starch or microcrystalline cellulose(MCC) as an excipient, PVP as a binder, and polysorbate 80 (P-80) as a surfactant.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SF and SFA granules in distilled water were as follows: The values of T$_{75%}$ were 4.60 and 2.50min, respectively for SF and SFA granules. Incorporation of 0.1% P-80 in SF granule ratarded the dissolution of SF as compared with control, but addition of 0.1% P-80 to SFA granule improved the dissolution of SFA in comparison with control. In SF and SFA granules formulated with either starch or PVP, the release of the drug was in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In SF granule, the dissolution of the drug was further reduced by the inclusion of P-80 in the granule containing starch or PVP. Incorporation of P-80 in SFA granule with starch or PVP affected little on the dissolution of the drug. Addition of a nonswelling excipient, MCC decreased the dissolution rate of SF and SFA granules. as compared with each control. The presence of P-80 in these granules made the dissolution rate slower in comparison with the granules containing only MCC.

  • PDF

프로폴리스와 허브에센셜오일을 이용한 천연방부제형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Natural Antiseptic System Utilized Propolis and Herb Essential Oil)

  • 정노희;신광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9-108
    • /
    • 2007
  • The cosmetic and toiletries are necessary health care & household for common life. However we need antiseptic which is effecting harmlessly to the human body. There are propolis, Lavender, Lemon, essential oil in the natural antiseptic materials. This work proceeded design Natural-antiseptic system with three materials as above-mentioned. Natural-antiseptic system was accomplished with propolis (2%), Lavender essential oil (0.3%), Lemon essential oil (0.3%) safety out of Polysorbate 20 (0.5%), Polysorbate 80 (0.5%), PEG (60) hydrogenated castor oil (0.45%), ethanol (5%). The antimicrobial test was experimented on E. coli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In this antimicrobial test, we found that the effect of antisepsis against E. coli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with propolis 0.3%, Lavender essential oil 0.045% and Lemon essential oil 0.045% was improved. Therefore could expect Natural-antiseptic system product for moisturizing skin toner for face, nourishing essence and wet tissue for clean other things.

폴리솔베이트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함유한 3성분계의 상거동 (The Phase Behavior of Ternary System Containing Polysorbate Nonionic Surfactants)

  • 정진기;신도근;이진희;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8권4호
    • /
    • pp.617-623
    • /
    • 1997
  • 폴리솔베이트-핵산올-물의 3성분계의 상거동에 관한 메카니즘을 조사한 것으로, 등방성인 미셀영역에서 비등방성인 모자이크 액정상을 편광현미경에 의해 관찰하였다. 액정상 및 다른 상들은 약 20~70 wt% 범위에서 관측되었으며, 이 영역에서는 보다 안정한 유화계나 분산계의 포뮬레이션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 증가에 따라 3상 영역이 감소한 반면에, 2상 영역이 증가되었으며 비등방성 액정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상업적인 pickle product와 ingredient의 oxidant와 antioxidant로서의 역할 (Oxidants and Antioxidants Associated with Commercial Pickle Products and Ingredients)

  • 장미진;조일영;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08-413
    • /
    • 1995
  • Pickle성분이 linolenic acid의 산화효소인 lipoxygenase와 methemoglobin (nonenzymatic oxidant)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외, 피클 성분중 건조 양념내의 lipoxygenase, peroxidase와 catalase 활성도 조사하였다. 시중에 판매중인 일부 pickle brine은 lipoxygenase와 methemoglobin에 의한 linolenic acid의 산화를 억제하였다. Dill oil emulsion, 양파 농축액 (onion concentrate), oil cassia, polysorbate 80, turmeric acid와 같은 피클 성분들은 lipoxygenase와 methemoglobin에 의한 산화를 감소시켰다. Lipoxygenase의 활성은 garlic, mustard seed, red pepper에서 발견되었다. Peroxidase의 활성은 mustard seed에서만 존재하였으며, gall black pepper, allspice와 red pepper에서는 catalase의 활성이 있었다.

  • PDF

R-134a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 속도에 미치는 식용 계면활성제 첨가의 영향 (Kinetics Change of the R-134a Gas Hydrate Formation in Seawater with the Addition of Edible Surfactants)

  • 정희철;김아람;임준혁;원용선
    • 청정기술
    • /
    • 제22권3호
    • /
    • pp.154-160
    • /
    • 2016
  •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을 이용하여 담수를 생산하고자 하는 어떠한 공정이라도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속도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공정변수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촉진제를 사용하여 R-134a(또는 HFC-134a)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형성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는데 최종목표가 음용수 생산이므로 촉진제로 세가지 다른 형태의 식용 계면활성제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음이온성인 카라기난(κ-carrageenan), 양쪽성인 레시틴(lecithin), 그리고 비이온성인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이 그것이다. 식용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R-134a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였다. 어떠한 경우이든 식용 계면활성제의 첨가가 R-134a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효과는 폴리소르베이트 80 > 카라기난 > 레시틴의 순서를 보였다. 이론적인 설명을 위해 범밀도함수(DFT)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분자모델링을 이용하여 각 식용 계면활성제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전하를 계산하였고 실험으로 관찰된 촉진제 효과가 계면활성제 내의 수소결합을 할 수 있는 산소들의 수와 그 산소들의 원자전하 값들이 음수인 정도에 비례하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물성 지방 대체재로 첨가된 액상 재료에 따른 식물성 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검사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Meat Analog Mixed With Different Liquid Materials as an Animal Fat Substitute)

  • 김홍균;배준환;위기현;김효태;조영재;최미정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1호
    • /
    • pp.62-68
    • /
    • 2019
  • 현재 본 연구에서 기름, 물 그리고 기름과 물의 혼합형태로 식물성 고기에 혼합하였을 때의 식물성 고기의 물성 및 관능 특성을 비교하고 각각의 결과값과 시료와의 관련성을 비교하였다. 식물성 고기의 단면은 물을 혼합한 물만 넣은 시료와 물과 polysorbate 80가 첨가된 시료보다 기름을 혼합한 MCT oil만 넣은 시료와 MCT oil과 lecithin이 첨가된 시료의 밀도가 높아 보였다. 가열감량은 기름을 넣은 시료가 낮게 물을 넣은 시료가 높게 확인되었으며, LHC는 반대로 물을 넣은 시료가 높게 기름을 넣은 시료가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물성검사는 부착성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MCT oil만을 넣은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ecithin이 혼합될 경우 경도,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 값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에 대한 PCA 분석에서 시료의 다즙성과 부드러움이 증가할수록 전반적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유화액을 첨가한 시료가 다른 시료들에 비해 다즙성, 부드러움, 전반적 기호도 모두에서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와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시료 간의 관련성을 본 PLSR 분석에서 실험에 사용한 시료들은 가열감량이 증가할수록 다즙성과 부드러움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부착성를 제외한 경도, 응집성 탄력성, 점착성, 씹힘성와 LHC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시료의 다즙성과 부드러움과는 반대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결과값을 확인하였을 때 유화액을 첨가한 시료가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균질화 과정에서 생성된 어떠한 요인 때문에 MCT oil과 물에 lecithin과 polysorbate 80을 첨가한 시료와 유화액을 첨가한 시료의 결과가 차이를 보이는 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인도메타신의 용해도에 미치는 계면 활성제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s on the Solubility Properties of Indomethacin)

  • 김경순;최영혜
    • 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1-167
    • /
    • 1984
  • To improve the solubility properties of indomethacin, a poorly water-soluble drug, some attempts were made with surfactants, such as sodium deoxycholate, sodium laurylsulfate and polysorbate-80. The enhancement effect in solubility was found to be due to the micellar solubilization and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surfactants, pH and temperature. The mechanism of interaction was suggested to be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mixed micelles between the drug and solubilizers.

  • PDF

국내 및 Codex에서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 비교 (Comparison between Use Levels of Food Additives by Codex and Korea)

  • 이미경;이서래;박성관;홍기형;이달수;장영미;권용관;박성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22
    • /
    • 2006
  • 국내와 Codex에서의 식품첨가물 사용기준패턴 및 식품분류방법에 따른 차이 때문에 양자간의 첨가물 사용기준을 비교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enzoic acid, food red No. 2, sulfur dioxide, polysorbate 60에 대해 첨가물별 사용기준 대조표와 된장, 고추장, 라면에 대해 식품별 사용기준 대조표를 작성하였다. 첨가물별 사용기준 대조표의 작성에서는 식품분류방법에서의 차이 때문에, 그리고 식품별 사용기준 대조표에서는 국내 첨가물 사용기준 설정 패턴의 혼용 때문에 많은 문제점과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기준대조표는 규제당국 및 식품산업계에서 긴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사용기준의 국가간, 식품간 비교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폴리머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젤타입 제형의 제조 (Gel Type Formulation Utilizing Polymer-Surfactant Interaction)

  • 김동주;강태준;이천구;이정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0
    • /
    • 2007
  • 수용성 폴리머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레올로지와 표면 장력을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폴리머는 acrylates/$C_{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C),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AV)이다. 계면활성제는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HC), polysorbate 60 (P60)이다. HC와 P60은 AC 폴리머 주위에서 마이셀을 형성하여 점도를 증가하였다. 그러나, HC는 P60보다 보다 높은 농도 범위에서 점도 증가 거동을 보였다. 같은 농도 범위에서 계면활성제들의 표면장력을 비교해보면, 표면장력이 AC/HC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한 반면, AC/P60의 농도증가에 대해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AC/HC 사이의 마이셀이 강하게 조직화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