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ic compound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초

쌀겨발효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작용 (Bioactive Materi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Rice-bran Extract)

  • 안희영;최다정;김보경;이재홍;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14-1020
    • /
    • 2015
  • ㈜한국바이오솔루션에서 제공받은 쌀겨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Bran, FRB)과 현재 시판 중에 있는 제품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Soybean, FRS)을 대조군으로 in vitro상에서의 이 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flavonoid 함량을 측정하였고,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은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Fe/Cu 환원력,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flavonoids 함량은 각각 19.92 mg/g과 11.56 mg/g으로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능에서도 69.8%로 상당히 높은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또한, 처리농도 증가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 쌀겨발효 추출물이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식품소재 개발을 위해 쌀겨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C57BL/6 마우스에서 고지방 식이와 CCl4로 유발한 간섬유증에 미치는 커큐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urcumin on CCl4-Induced Hepatic Fibrosis with High Fat Diet in C57BL/6 Mice)

  • 제갈승주;민병운;박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51-258
    • /
    • 2015
  • 커큐민(curcumin)은 강황 내 주요 폴리페놀 화합물의 한 성분으로 비만과 관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막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지방 식이로 키운 비만 마우스에서 사염화탄소($CCl_4$)로 유발한 간섬유증에 미치는 커큐민의 보호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군간 비교를 위해, 정상 식이와 고지방 식이로 키운 마우스에 7주간 $CCl_4$를 투여하면서 동시에 커큐민을 투여한 것과 투여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었으며, 체중이나 혈당과 같은 대사 프로파일이나 지방세포의 크기 및 간섬유증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혈청 생화학적 검사, 조직학적 검사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간세포 내자멸세포의 관찰을 위해 TUNEL 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CCl_4$ 마우스에 커큐민을 투여한 군에서는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체중, 공복혈당 수치, 혈청 AST, ALT 수치가 낮았고, 지방조직 내의 지방세포 크기와 대식세포 및 비만세포 수가 감소하였다. 이와 반대로 정상식이+$CCl_4$ 마우스에 커큐민을 투여한 경우에는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체중과 비만세포 수 이외에는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더욱이 커큐민은 간조직의 간실질세포의 자멸세포 수는 줄인 반면 활성 간성상세포 모양의 비실질세포의 자멸세포 수를 증가시켰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커큐민은 비만 마우스의 간질환 진행에서 효과적인 항섬유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토끼에서 ACAT 억제에 의한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의 동맥경화 완화 효과 (Attenuation of Atherosclerosis by 3,4-Dihydroxy-Hydrocinnamic Acid in Rabbits by Partial Inhibition of ACAT)

  • 이미란;최재훈;양영;오기숙;정태숙;이철호;오구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80-286
    • /
    • 2016
  • 폴리페놀 성분은 심혈관질환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인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은 항산화 활성과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이 항동맥 경화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뉴질랜드 흰 토끼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8주동안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대조그룹 토끼의 광범위한 동맥 부위에서 동맥경화 초기병변이 형성되었다. 반면에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면서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을 투여한 토끼에서는 대조 그룹의 토끼에 비해 동맥경화 병변 형성이 감소하였고, 병변 내로 침윤한 대식세포의 양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의 효과에서 전신적으로나 국부적으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간의 아실-코엔자임 A: 콜레스테롤 아실트렌스페라제 활성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면서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을 투여한 토끼에서 대조 그룹의 토끼에 비해 22%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3,4-다이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믹산이 토끼에서 아실-코엔자임 A: 콜레스테롤 아실트렌스페라제를 억제함으로써 항동맥경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Effects of quercetin derivatives from mulberry leaves: Improved gene expression related hepatic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short-term high-fat fed mice

  • Sun, Xufeng;Yamasaki, Masayuki;Katsube, Takuya;Shiwaku, Kuninor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2호
    • /
    • pp.137-143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Mulberry leaves contain quercetin derivatives, which have the effects of reducing obesity and improving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mice with obesity. It is not clear whether or not mulberry leaves can directly affect metabolic disorders, in the presence of obesity, becau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obesity and metabolic disorder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ssess the direct action of quercetin derivatives on metabolic disorders in non-obese conditions in short-term high-fat diet fed mice. MATERIALS/METHODS: C57BL/6N mice were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0% (control), 1%, or 3% mulberry leaf powder (Mul) or 1% catechin powder for five days.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blood biochemistry were determined, and hepatic gene expression associated with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was analyzed. RESULTS: Body and white fat weights did not differ among the four groups. Plasma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free fatty acids in the 1%, 3% Mul and catechin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controls, however, plasma glucose and 8-isoprostane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Liver gene expression of gp91phox, a main component of NADPH oxidase,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and PPAR-${\alpha}$, related to ${\beta}$-oxidation,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FAS and GPAT,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and Ehhadh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Glucose-metabolism related genes, L-PK and G6Pase,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while GK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the two Mu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ul quercetin derivatives can directly improve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and enhancing ${\beta}$-oxidation. The 1% Mul and 1% catechin groups had similar levels of polyphenol compound intake ($0.4{\times}10^{-5}$ vs $0.4{\times}10^{-5}$ mole/5 days) and exhibited similar effects, but neither showed dose-dependent effects on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or oxidative stress.

RAW 264.7 대식세포와 염증유도 동물모델에서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cer tegmentosum Maxim Extracts)

  • 이초은;정현희;조진아;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9
    • /
    • 2017
  • 산겨릅나무 $80^{\circ}C$ 열수 및 95%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RAW 264.7 세포에서도 항염증 효과를 보였으며, 그중 95% 에탄올 추출물의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능이 더 뛰어난 산겨릅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vo 실험에서 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 및 항염증 효능을 재확인하였다. ICR mouse에 일주일간 100 mg/kg B.W 산겨릅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LPS를 처리하여 염증반응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시켜 Comet assay, serum tumor necrosis $factor(TNF)-{\alpha}$$interferon-{\gamma}$, 장점막세포에서의 $TNF-{\alpha}$와 interleukin-6에 대한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산겨릅나무 에탄올 추출물은 DNA 손상을 억제하였으며 사이토카인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산겨릅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세포보호 기능적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세 가지 고추속 식물의 원형질체 분리 및 배양에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rotoplast Isolation and Culture in Three Capsicum Species)

  • 임학태;염옥희;전익조;조미애;양승균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1-146
    • /
    • 2001
  • 고추 C. anuumm, C. bacatuum, C chacoense의 하배축, 자엽 및 본엽을 원형질체 분리재료로 하여 실험한 결과, 원형질체 분리를 위해서 세포벽 분해효소로 1% Cellulysin과 0.25% Macerozyme 효소의 조합과 삼투조절제로 0.65 M sorbitol을 사용하였다. 항산화제인 MES를 효소용액에 첨가하여 줌으로써 원형질체 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변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원형질체를 수정된 K8p 배지에 1∼5 mg/L zeatin, 0.5 mg/L IAA, 0.1∼0.5 mg/L TDZ, 1 mg/L 2,4-D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5일에 분열을 시작하였으며 원형질체에서 얻어진 colony들을 agarose가 첨가된 반고체 배지에 고정하여 배양하는 방법이 액체평판배양 방법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이 방법은 세포배양시 분비되는 페놀류 물질로 인한 갈변을 방지할 수 있었다. 세 가지 다른 고추속의 원형질체 배양에서 얻어진 4000여 개의 캘러스를 식물생장조절제인 TDZ, IAA, 2ip, BAP, NAA, zeatin을 이용한 100가지 다양한 조합의 재분화 배지에 옮겼으나 캘러스가 커지거나 고사하는 현상만 관찰되었을 뿐 줄기로 재분화된 식물체는 얻을 수 없었다.

  • PDF

Resveratrol 처리한 HeLa세포에서 angiogenin과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발현유도에 따른 세포이동촉진 (Cell Migratory Induction by Expression of Angiogenin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Resveratrol Treated HeLa Cells)

  • 조이슬;정신구;조광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7-342
    • /
    • 2014
  • Resveratrol (RSV)은 천연 폴리페놀계 화합물로 세포분열, 성장, 세포이동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가 보고되었다. Angiogenin (ANG)은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함께 세포의 증식, 신생혈관형성, tubular structures의 형성, 세포이동 등을 이끄는 중요한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RSV에 의한 세포이동효과를 HeLa 세포에서 관찰하였다. Real-time PCR을 통해 HeLa 세포에 RSV $0{\sim}50{\mu}M$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농도에 따른 ANG, VEGF 유전자 발현이 의미 있게 증가 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RSV $50{\mu}M$을 시간에 따라(0~48시간)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RSV $50{\mu}M$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ANG, VEGF 유전자 발현이 가장 높게 증가하였고, ANG 단백질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연구에서, RSV $50{\mu}M$의 농도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관찰하여, 이를 최적의 조건으로 결정하였다. RSV가 처리된 세포에서 세포이동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wound-healing assay를 수행하였다. RSV가 처리된 그룹에서 세포이동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RSV에 의해 ANG, VEGF의 발현이 증가했고, 이에 따라 세포이동이 향상됨을 관찰하였다.

슈퍼홍미 벼품종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ew Reddish Brown Color Rice Variety "Superhongmi")

  • 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36-441
    • /
    • 2015
  • 전통적인 교배육종을 통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높인 슈퍼홍미(흑진주벼/수원 425호//대립벼 1호)벼 품종(품종출원 2015-339호)의 작물학적 특성과 품질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슈퍼홍미벼 품종의 평균출수기는 9월 5일로 만생종이며, 간장은 94.7 cm 정도이며 임실률은 81.7%였다. 또한 현미천립 중은 26.8 g 정도로 슈퍼자미(26.2 g)보다 무거운 품종이다. 슈퍼홍미벼 품종은 다른 유색미 품종보다 기름함량과 단백질 함량이 낮았다. 그리고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 리놀레산 함량이 높았다. 공시 유색미품종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현미 100 g 당 슈퍼홍미 6695.13 mg, 슈퍼자미 6898.28 mg으로서 비슷하였으며,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슈퍼홍미 품종은 tyrosin과 arginine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슈퍼홍미벼 품종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248.31 mg으로서 동진벼 보다 6배, 흑진주벼 보다 2배 높았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진벼 보다 8배, 흑진주벼 보다 2배 높았다. 슈퍼홍미의 hydroxy radical 소거능은 동진벼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유색미 간의 hydroxy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슈퍼홍미는 식량으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높은 가치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Epigallocatechin-3-gallate의 화학안정성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각종 항산화제의 영향 (Modulation of Chemical Stability and Cytotoxic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by Different Types of Antioxidants)

  • 김미리;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83-4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 폴리페놀 화합물인 EGCG의 화학안정성, H2O2 생성능 및 세포독성에 대하여 다양한 항산화제와의 조합에 의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EGCG는 생리적 조건에서 갈색화합물로 산화되면서 불안정화되는데, catalase를 제외한 각종 항산화제제 SOD, ascorbic acid, NAC 및 GSH는 EGCG 갈색산화물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EGCG에 의해 생성되는 $H_2O_2$는 catalase에 의해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었으며, SOD와 NAC에 의해서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GSH 및 고농도의 ascorbic acid의 존재 시 오히려 $H_2O_2$ 수준이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EGCG의 HeLa 및 HT-29 세포에 대한 독성은 catalase, SOD 및 NAC 등과 같은 항산화제 존재 하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NAC에 의한 EGCG 세포독성의 감소는 첨가된 NAC의 농도 증가에 따라 더욱 두드러졌다. 그러나 GSH 존재하에 EGCG의 독성은 GSH와 EGCG농도에 따라 다른 조절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에 의해서 EGCG의 세포독성이 약간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EGCG와 함께 처리된 다양한 항산화제들이 ROS의 소거 뿐만 아니라 EGCG 화학안정성 등 다른 요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항산화제의 존재 하에 변형된 EGCG활성에 대해 ROS관련 기작 외에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nona muricata Leaf Extracts)

  • 김영완;김태훈;안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0-546
    • /
    • 2018
  •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로 추출하여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과 이에 속하는 flavonoid 함량, 미네랄 함량을 측정하고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 환원력, 간 조직의 microsome 생체막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 ${\beta}$-Carotene 탈색화 정도를 비교검토하였다. 그라비올라 잎의 수율은 수용성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1.76%),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그라비올라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높았으나 페놀성 화합물에 속하는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미네랄 함량은 Ca, K, Mg, Na, Mn의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DPPH를 이용한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구인 BHT 0.05%와 가장 근접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Fe와 Cu의 환원력은 모든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중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Cu/Fe 환원력 활성이 매우 강하였다. 그러나 간 조직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TBA법으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보였다. ${\beta}$-Carotene bleaching에서 높은 lipid peroxyl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라비올라 잎은 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한 천연 항산화제 소재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