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 compounds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6초

마늘(Allium sativum L .) Polyphenol Oxidase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from Garlic(Allium sativum L.))

  • 김동연;이종욱;김양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167-173
    • /
    • 1981
  • 마늘의 갈변현상중(褐變現象中) 효소적(酵素的) 갈변(褐變)에 관여(關與)하는 polyphenol oxidase 조효소액(粗酵素液)을 추출(抽出)하여 그 성질(性質)을 몇가지 조사(調査)하였다. 기질(基質)로서는 여러 phenol화합물(化合物)들을 사용(使用)해 본 결과(結果), diphenol류(類)와 monophenol류(類)는 거의 갈변(褐變)되지 않았으나 triphenol인 pyrogallol, gallic acid는 크게 갈변(褐變)되는 것으로 보아 마늘의 polyphenol oxidase는 triphenol oxidase로 보인다. 이 효소의 최적(最適) pH는 6.5 부근으로 약산성측(弱酸性側)에 있었으며 열안정성(熱安定性)은 $80^{\circ}C$, 5분(分) 가열(加熱)로 90%의 잔존율(殘存率)을 보여 열(熱)에 매우 안정(安定)하였다. Na-metabisulfite는 1mM의 농도(濃度)에서 안전(完全)한 조해(阻害)를 하였고, potassium cyanide, L-ascorbic acid, thiourea순(順)으로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조해(阻害)하였다. $Mg^{2+}$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증가(增加)시켰고 $Cu^{2+}$는 저농도(低濃度)(1mM)에서는 polyphenol oxidase가 활성화(活性化)하는데 비(比)해 고농도(高濃度)(10mM)에서는 조해작용(阻害作用)을 하였다. 마늘의 polyphenol oxidase의 Km치(値)는 0.4mM이었다.

  • PDF

Effect of skin and seed of Grape and on Dimethylnitrosamine-Induced Liver Damage in Rats

  • Shin, Mi-Ok;Shin, Ji-Young;Yoon, Sik;Moon, Jeon-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81.1-181.1
    • /
    • 2003
  • Polyphenolic compounds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a wide range of pharmacolog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skin and seed of grape which contain abundant polyphenol compounds on dimethylnitrosamine(DMN)-induced liver damage in rats. Ingestion of skin and seed of grape (10% diet, daily for 4 weeks) into the DMN-treated rats remarkably prevented the elevation of serum alanine transaminase, aspartate transaminase and alkaline phosphatase, and bilirubin levels. (omitted)

  • PDF

바질의 항산화 물질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Antioxidation Substances in Basil)

  • 서봉순;박명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4-59
    • /
    • 2010
  • Basil is known to contain six types of polyphenols that engage in physiological activation; protocateuic acid,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courmaric acid, rosmarinic acid and quercetin.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s in eight types of basil were evaluated. Specifically,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of basil was evalu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oxygen scavenging (DPPH radical-scavenging), which was used as an index showing the content and functionality of the polyphenol compounds in basil, and $Fe^{2+}$/ascorbate (FTC) and 2-thiobarbituric acid (TBA).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different types basil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Dark-opal> Lettuce> Bush> Greek> Lemon> Sweet> Geno> Holy. The highest content Dark-opal was 173.3 mg, which was about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lowest content Holy, which was 49.85 mg. In addition, DPPH radical-scavenging by Dark-opal 51%, which was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occurred in the folling order: Dark-opal> Lettuce> Bush> Greek> Lemon> Sweet> Geno> Holy.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values measured using the FTC and TBA were the same as the value obtained using the DPPH method. Finally, the level of antioxidative activation measured using FTC, TBA and DPPH method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ntent of polyphenol substance was, the stronger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became.

국내산 마른 김(Porphyra)의 생리활성 및 아미노산 조성 비교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Korean Dried Laver Porphyra Products)

  • 이학증;최종일;최성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09-413
    • /
    • 2012
  •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dried lavers of Porphyra from the Jangheung, Seochen and Haenam coasts were determined. The ethanol extract of the Haenam dried laver exhibited the greate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6.1%),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value(86.5 mM)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3.51 ppm) of these dried laver products. In addition,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laver products, suggesting that polyphenol compounds contribute to the antioxidant capacity in the ethanol extract of dried lave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extracts in terms of cell proliferation activity. Fourteen combined amino acids were identified in oligopeptides from the dried laver products. Of the three extracts, that of the Haenam dried laver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both free and total amino acids including alanine, glutamic acid, taurine, phosphoserine, and aspartic acid.

Evalu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Extracts

  • Kim, Seong Yeong;Shin, Kwang-S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196-202
    • /
    • 2013
  • Citron seed extracts (CSEs) were made using distilled water (CSEW), ethanol (CSEE), and n-hexane (CSEH), to measur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observed the highest in CSEE (188.71 ${\mu}g/mL$), and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CSEE>CSEW (141.11 ${\mu}g/mL$)>CSEH (26.19 ${\mu}g/mL$) at 10 mg/mL. CSEE (63.56%) and CSEW (56.6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hen compared with CSEH (28.57%).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SEE (45.53%) and CSEW (40.02%) were also observed to be higher, whereas CSEH did not show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CSEE (26.85%) showed a greater activity than that of CSEW (7.84%) at 1,000 ${\mu}g/mL$. Limonin and nomilin contents had the highest values (1.882% and 2.089%) in CSEE, and with 0.327% and 0.139% in CSEW; however, CSEH showed relatively very low values at 0.061% and 0.026%, respectively. Among the CSEs tested, CSEE as a by-product from citron may provide an important source of dietary antioxidant compounds with rich polyphenol and limonoid contents,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including the complement activation factor.

다류의 유형별 항산화 성분함량 및 항산화 활성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und Content by the Types of Tea)

  • 김명길;오문석;전종섭;김한택;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2-139
    • /
    • 2016
  • 본 연구는 다류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물질 함량에 대한 조사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 99건의 다류에 대하여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의 자유라디칼소거에 대한 능력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차 시료 100 g당 아스코르빈산 당량의 mg(L-아스코르빈산 동등한 항산화 능력, AEAC)과 1회 제공량 당 mg(자유라디칼 소거활성, $FSC_{50}$)으로 나타냈고 시료추출액에서의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법으로,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Davis변법으로 측정하였고 Vitamin C는 HPLC법으로 분석하였다. AEAC 값은 마테차, 녹차, 홍차, 헛개차, 국화차, 우엉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폴리페놀 물질은 차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중요한 항산화 물질로 홍차, 녹차 그리고 마테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플라보노이드는 마테차, 홍차 그리고 마차에서, Vitamin C는 유자차와 녹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형별로는 침출차가 고형차나 액상차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연구결과, 다류에는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활성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즉, 다류의 항산화 활성은 폴리페놀에 의한 영향으로 확인되었다.

Cacao bean으로부터 분리된 polyphenol 성분의 화학구조분석과 ACE 저해효과 (The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s isolated from cacao bean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ACE)

  • 장영렬;임무현;이만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110-117
    • /
    • 1998
  • Ghana산 cacao bean으로부터 acetone으로 추출하고 Sephadex LH-20, MCI-gel CHP-20, Bondapak $C_{18}$ 및 Fuji gel ODS $G_3$, chromatography 등을 이용하여 7종의 polyphenol 화합물(compound 1 - compound 7)을 분리 정제하였고, 이들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1H-NMR$, $^{13}C-NMR$, IR 및 MS를 사용하여 검색하였고 아울러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효과를 조사 검토하였다. 분리정제한 7종의 polyphenol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compound 1: [(+)-catechin], compound 2: [(-)-epicatechin], compound 3: [procyanidin B-1, (-)-epicatechin-$(4{\beta}{\rightarrow}8)$-(+)-catechin], compound 4 : [procyanidin B-2, (-)-epicatechin-$(4{\beta}{\rightarrow}8)$-(-)-epicatechin], compound 5: [procyanidin B-7, (-)-epicatechin-$(4{\beta}{\rightarrow}6)$-(+)-catechin], compound 6 : (procyanidin B-2,3,3'-O-digallate) 및 compound 7: [cinnamtannin A-2, (-)-epicatechin-$(4{\beta}{\rightarrow}8)$-(-)-epicatechin-$(4{\beta}{\rightarrow}8)$-(-)-epicatechin-$(4{\beta}{\rightarrow}8)$-(-)-epicatechin]임을 동정하였다. ACE의 저해효과는 procyanidin B-2,3,3'-O-digallate (compound 6)가 $100\;{\um}M$에서 94.6%로 매우 우수하였으며, (+)-catechin (compound 1), (-)-epicate -chin (compound 2), procyanidin B류 (compound 3, 4, 5) 및 cinnamtannin A-2 (compound 7)도 각각 67.9%, 61.9%, 88.6%, 82.5%, 72.2% 및 82.3%의 비교적 우수한 저해효과가 있었다. 아울러 결합방식에서는 $4{\beta}{\righ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기능성에 기초하여 chocolate, 음료 등의 식품이나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밤의 Polyphenol물질과 Polyphenol Oxidase의 생화학적 특성 (Polyphenol Compound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in Chinese Chestnut)

  • 윤기윤;문광덕;손태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51-59
    • /
    • 1991
  • 밤과실의 가공 및 저장중 갈변기구를 규명하는 일환으로 밤에 함유된 polyphenol 화합물 및 PPO를 분리, 동정하고 PPO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의 total phenol 함량은 $6.5{\mu}g/g$이었고 ferulic acid, caffeic acid, synapic acid, p-coumaric acid, gallic acid, salicylic acid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PPO를 분리, 정제하여 전기영동한 결과 단일의 단백질 및 효소활성밴드를 확인하였으며 정제된 효소의 비활성도는 260.9이고 조효소액보다 11.7배 정제되었다. PPO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5.9, $45^{\circ}C$였으며 효소활성은 $80^{\circ}C$에서 15분 처리시 거의 실활되었다. 무기염의 영향을 본 결과 $Mg^{{+}{+}}$, $Ca^{{+}{+}}$, $Zn^{{+}{+}}$들은 효소활성을 증가시켰으나 $Fe^{{+}{+}}$, $K^+$, $Hg^{{+}{+}}$는 활성을 저해시켰다. 저해제로는 L-ascorbic acid, thiourea, sodium chloride, L-cysteine의 저해작용이 강했다. 밤의 PPO는 o-diphenol에 대한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catech이에 대해 가장 강했으며 monophenol에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PO의 Km값은 catechol에 대해 5mM이었다.

  • PDF

데침조건에 따른 참취의 생리활성성분 및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 최남순;오상석;이종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45-7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나물로 많이 애용되어 오던 산체중의 하나인 참취를 데침시간별로 1, 3, 5분과 데침액에 첨가한 소금농도를 0, 1, 2%로 달리하여 처리한 다음 vitamin C, carotene, chlorophyll, flavonoid와 polyphenol, 무기질 그리고 데침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데침조건에 따른 참취의 vitamin C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beta}-carotene$은 데침시간에 따른 영향은 받지 않은 반면 데침액의 소금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유량이 증가했다. 2. Chlorophyll a의 함량은 무첨가시에만 데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소금을 1%, 2%로 첨가했을 때는 데침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chlorophyll b는 데침시간과 소금농도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Flavonoid와 polyphenol 함량는 데침시간과 데침액의 소금농도에 의한 영향을 모두 받았는데, 데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데침액의 소금농도가 증가할수록 손실이 억제되었다. 4. 무기질 성분 중 Na함량은 소금, 데침시간, 그리고 두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K와 Mg함량은 데침시간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으나 소금농도의 증가에 따른 함량변화는 없었다. Fe은 데침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5. 데친 잎의 색도와 색차는 데침시간의 영향을 받았으나 소금농도에 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데침액은 적색도와 황색도 그리고 색차가 데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소금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첨가시에 비해 색차의 변화가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참취를 데침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할 때 생리활성성분인 flavonoid와 polyphenol함량이 데침시간과 소금농도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는 데침액의 색도변화와도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므로 데침액에 용출되는 양은 데침조건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데침시간이 짧고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재래종(在來種) 적색(赤色)자두(Prunus salicina) Polyphenol oxidase의 일반적(一般的) 성질(性質)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Prunus salicina (Red))

  • 함승시;홍은희;대촌호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0-117
    • /
    • 1987
  • 재래식(在來式) 적색(赤色)자두(Prunus salicina)로부터 효소(酵素)를 추출(抽出) 정제(精製)하여 그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적색(赤色)자두의 PPO는 crude extract보다 $(NH_4)_2SO_4$로 포화(飽和)했을 예 15배(倍), 그리고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를 행하였을 애 64배(倍)로 정제(精製)되었다. 2. 효소반응(酵素反應)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최적온도(最適溫度) 및 pH가 $35^{\circ}C$ 6.5였으며 주요기질(主要基質) 은 o-diphenol인 catechol로 나타났다. 3. 적색(赤色)자두 PPO의 열안정성(熱安定性)은 $50^{\circ}C$에서 5분간(分間) 처리(處理)하였을 매 초기(初期) PPO의 활성중(活性中) 85%, 30분간(分間) 처리시(處理時)에는 75%의 잔존활성(殘存活性)을 나타내었다. 4. 본(本) 효소(酵素)의 K값은 2.58mM이었다. 5. 저해제(沮害劑)의 효과(效果) 중 L-cysteine, glutathione, ascorbic acid와 potassium cyanide는 1mM 농도(濃度)에서 완전히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저해(沮害)하였으나 EDTA는 저해효과(沮害效果)가 대단히 약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