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yxin B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7초

콩 불마름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Selection of Bactericides for Controlling Soybean Bacterial Pustule)

  • 홍성준;김용기;지형진;이봉춘;윤영남;박성태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66-273
    • /
    • 2010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병되는 콩 불마름병은 콩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중요한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게다가 병원균은 강한 병원성을 가지고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불마름병방제를 위한 약제나 저항성 품종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불마름병을 화학적 방법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콩 불마름병 병원균의 효과적인 생육억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살세균제들(8개의 항생제, 2개의 구리화합물, 1개의 quinoline, 18개의 농약)을 이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내 생장억제 효과조사 결과, tetracycline, streptomycin sulfate 처리에서 병원균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또한 oxolinic acid도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하지만 vancomycin, polymyxin B sulfate and copper compounds 등은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육억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18종의 농용약제 중에는 streptomycin sulfate + oxytetracycline(18.8 + 1.5%)WP, oxytetracycline(17%)WP, oxolinic acid(20%) 등이 실내에서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발된 5종의 농용약제에 대하여 포장에서 방제효과 시험을 실시한 결과, streptomycin sulfate + oxytetracycline (18.8 + 1.5%) WP와 oxytetracycline(17%) WP가 자연 감염된 태광콩 포장에서 7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콩불마름병균에 대한 강한 억제효과를 가지는 이 약제들은 콩 불마름병의 화학적 방제에 실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품에서 분리한 Yersinia enterocolitica의 특성조사 (Characteristics of Yersinia enterocolitica Isolated from Foods)

  • 임순영;이동하;박선희;박영식;윤석권;김창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3-188
    • /
    • 1999
  • 국내 식육중 Y. enterocolitica의 분포 조사 및 분리균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4월부터 11월사이에 상, 하반기로 나누어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463건을 서울, 대전, 광주, 부산에서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전체 식육중 17.5% (81건)에서 Y. enterocolitica가 분리되었으며 닭고기(26.0%)가 가장 많이 오염되어 있었다. 분리율은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하반기에 수거한 돼지고기와 닭고기에서 상반기보다 2배이상 높은 균 분리율을 보였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결과 대부분의 분리균은 carbenicillin, ampicillin, erythromycin, penicillin, bacitrac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는 반면 polymyxin B, kana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iprofloxacin, tetracycline, nalidixic acid, gentamicin등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Y. enterocolitica의 혈청형은 serotype O:5가 주종이었고 일본 및 유럽 등지에서 많이 분리되어지는 O:9는 분리되지 않았다. PCR 실험결과 81개의 분리균주중 8균주(10%)가 병원성을 갖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중 6균주가 돼지고기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돼지고기 분리균주중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serotype O:5가 PCR 양성반응으로 병원성을 보여 이전 연구들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 것에 대해서는 더 연구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K74의 GABA 생산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74 isolated from Kimchi)

  • 박선영;심혜영;김기성;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43-152
    • /
    • 2013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GABA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SG 2%가 첨가된 MRS broth에 $37^{\circ}C$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GABA 함량이 $50{\mu}g/mL$ 이상 생산하는 75개의 균주를 1차로 선별하였으며, $90{\mu}g/mL$ 이상 생산하는 5 균주를 2차로 선별하였고, 선발된 5 균주를 MSG 1%, 2% 및 3% 함유된 MRS 배지에 각각 배양한 결과, K74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K74 균주는 MSG 1%가 첨가된 MRS broth에서 GABA 함량이 $134.52{\mu}g/mL$이었고, MSG 2%와 3%가 첨가된 MRS broth에서GABA 함량이 각각 $212.27{\mu}g/mL$$234.63{\mu}g/mL$이었으며, 동정 결과 L. plantarum K74라고 명명되었다. L. plantarum K74의 최적 생장 온도는 $34^{\circ}C$이었으며, pH 4.4에 도달하기까지 18시간이 소요되었다. L. plantarum K74는 또한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냈으며, 발암효소인 ${\beta}$-glucuronidase를 생성하지 않고 유당분해효소인 ${\beta}$-galactosidase를 약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Kanamycin, Polymyxin B, Streptomycin에 내성을 Novobiocin, Bacitracin, Penicillin-G, Methicillin에감수성을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와Salmonella typhimurium에 각각 54.9%와 46.3%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고,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서는 거의 억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원유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zeae RMK354의 생리적 특성 및 ACE 억제능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C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zeae RMK354 Isolated from Raw Milk)

  • 임상동;김기성;도청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7-595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각 지역의 목장에서 수거한 원유에서 분리된 젖산균을 대상으로 10% 환원탈지유에 $37^{\circ}C$에서 pH 4.4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한 다음 각각에서 얻어진 유청으로 ACE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88.6%인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정된 균은 Gram 양성, rod형태의 homo균이며, 당 발효실험과 16S rRNA 분석결과 Lactobacillus zeae로 판명되었고, Lactobacillus zeae RMK354로 명명하였다. 발효유에 적합한 starter인지 확인하기 위해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L. zeae RMK354는 배양온도 $40^{\circ}C$에서 빠른 생장을 보였고, pH4.3에 도달하는데 10시간이 소요되었다. 16종의 항생제 중 polymyxin B와 vancomycin에 대해 내성이 높았으며, 효소활성실험에서 esterase와 leucine arylamidase의 활성도가 높았다.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내성 실험결과 pH 2에서 큰 변화가 없음에 따라 내신성이 있었다. 항균력 시험에서는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억제력이 없었으나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60.0%의 항균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ACE 억제활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발효유 제품의 스타터로 L. zeae RMK354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K6의 생리적 특성 및 비만억제효과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6 isolated from Kimchi)

  • 김슬기;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21-231
    • /
    • 2017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비만 억제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와 lipase inhibitory activity가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K6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K6 균주는 ${\alpha}-amylase$ 억제활성 $96.78{\pm}3.29%$,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92.55{\pm}9.62%$, lipase 억제활성 $85.17{\pm}0.79%$, 지방분화 억제활성 $27.4{\pm}1.4%$로 나타났으며, 동정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Lactobacillus plantarum K6으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6은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고, 효소활성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arylamidase와 ${\beta}-galactosidase$에 대해 비교적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vancomycin, ampicillin, polymyxin B에 내성이 있는 반면 erythromy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 각각 51.8%, 42.4%, 61.6%와 54.9%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민을 생성하지 않으며, 장부착성은 대조구인 L. rhamnosus GG보다 우수하였다.

펩티도글리칸에 의한 단핵세포의 Tumor necrosis factor-α 발현 기전 연구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Peptidoglycan-induced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α in Monocytic Cells)

  • 정지영;손용해;김보영;김관회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51-12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펩티도글리칸이 단핵세포의 $TNF-{\alph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또한 펩티도글리칸에 의한 $TNF-{\alpha}$ 발현에 관련된 세포의 요소들을 연구하였다. 사람의 단핵세포주인 THP-1 세포를 펩티도글리칸에 노출시키는 경우 $TNF-{\alpha}$ 분비 증가뿐만 아니라 $TNF-{\alpha}$ 유전자 전사를 유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TLR-2/4의 억제제인 OxPAPC은 펩티도글리칸에 의한 $TNF-{\alpha}$의 발현을 저해하였다. 그리고 U0126, SB202190, SP6001250, LY294002, Akti IV, rapamycin, NAC, DPI 같은 약리학적 저해제 또한 $TNF-{\alpha}$ 발현을 유전자/단백질 수준에서 상당히 약화시켰다. 그러나 polymyxin B는 $TNF-{\alpha}$ 발현에 영향을 주지않았다. 따라서 펩티도글리칸이 TLR-2, PI3K, Akt, mTOR, MAPKs, ROS 등을 통하여 단핵세포의 $TNF-{\alpha}$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THP-1 단핵구의 펩티도글리칸 유래 인터루킨-1 알파 발현에서 TLR2, PI3K/Akt/mTOR, MAPKs의 역할 (Involvement of Multiple Signaling Molecules in Peptidoglycan-induced Expression of Interleukin-1α in THP-1 Monocytes/Macrophages)

  • 허원;손용해;조혁래;김관회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21-42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죽상경화 플락에서 발견되는 펩티도글리칸이 혈관염증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한 종류인 인터루킨-1 알파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혈관염증을 주도하는 단핵구/대식세포인 THP-1 세포주에 펩티도글리칸을 처리하고 인터루킨-1 알파의 발현을 RT-PCR, real-time PCR, ELIS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펩티도글리칸의 처리 시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단핵구/대식세포에서 인터루킨-1 알파의 전사체와 단백질 분비가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펩티도글리칸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억제제를 세포에 처리하고 인터루킨-1 알파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TLR2/4의 억제제인 OxPAPC 그리고 세포 kinase의 작용을 억제하는 LY294002(PI3 kinase 억제), Akti IV (Akt 억제), rapamycin (mTOR 억제), U0126 (MEK 억제), SB202190 (p38 MAPK 억제), SP6001250 (JNK 억제), DPI (NOX 억제)를 처리하는 경우 인터루킨-1 알파 전사체의 발현 그리고 단백질의 분비가 감소되었다. 반면에 LPS의 작용을 억제하는 polymyxin B는 인터루킨-1 알파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펩티도글리칸이 TLR2, PI3K, Akt, mTOR, MAPKs를 통하여 단핵구/대식세포의 인터루킨-1 알파 발현을 증가시키고 혈관염증에 기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장티푸스균이 Vi-phage형 및 항생제감수성에 관한 연구 (Vi-Phage Type Distribution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typhi in Korean(1982))

  • 이복권;김병훈;정태화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6
    • /
    • 1983
  • We collected three hundred thirty-five strains of Salmonella typhi isolated from human sources during the period January to December 1982 Korea. Most of them were from general hospitals and city health center, the remaining one hundred sixtyone strains were obtained from other 12 provincial health centers among 335 testing strains. We used ninety-nine Vi-phages as distributed from International Center for Enteric phage Typing(ICEPT) in London. We found nine phage types among 335 strains of Salmonella typhi in this study. Additionally, I+IV, degraded Vi-positive and Vi negative strains were presented. This study documented the occurrence of the new $B_2$ type in Korea for the first time. The present basic phage type formula in Korea appeared to be A, $B_2,\;D_1,\;D_2,\;D_4,\;D_6,\;D_8,\;D_{12},\;E_1,\;E_9,\;D_1,\;M_1$, 40 and plus I+IV and degraded vi strains(Table 2). The current phage types of Salmonella typhi isolated in Korea 1982 were A, $B_2,\;D_1,\;D_2,\;D_6,\;D_8,\;E_1,\;M_1$ and 46 $M_1$ type was widely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and E type was next predominant.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were performed by means of Kirby-Bauer disc diffution method using 12 kind of antibiotics such as Ampicillin, Carbenicillin, Cephalosporin, Chloramphenicol, Colistin, Gentamicin, Kanamycin, Nalidix acid, Neomycin, Polymyxin-B, Streptomycin and Tetracycline. The sensitivity pattern to antibiotics of Salmonelia typhi cultures were summarized.

  • PDF

유통 생식제품의 미생물 오염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mmercial Saengshik Products)

  • 오윤지;박금덕;이인숙;권상호;정윤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98-802
    • /
    • 2009
  • 시판되는 112점의 생식제품에서 대장균(Escherichia coli),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등의 오염 미생물을 분석하여 식품공전 기준 규격에 적합한지를 알아보았다. E. coli는 모든 생식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C. perfringens는 11제품(9.8%)에서 검출되었고 $10^2$ CFU/g으로 기준 규격에 적합하였다. B. cereus는 25제품(23.3%)에서 검출되었고, 5제품에서 $10^2$CFU/g 이하, 7품에서 $10^2{\sim}10^3$ CFU/g, 13제품에서 $10^3{\sim}10^4$ CFU/g으로 검출되었다. 이 분리 세균은 전형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었는데 TSC agar, MYP agar에서 검출된 균은 그람양성 및 간균이었으며, 생화학 테스트 결과 egg-yolk의 지질을 분해할 수 있는 lecithinase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유통되고 있는 생식 제품의 일부는 식품공전의 기준 규격을 초과하는 B. cereus가 검출되어 보다 더 철저한 세균 제어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Dendritic Cell Activation by Glucan Isolated from Umbilicaria Esculenta

  • Kim, Hyung-Sook;Kim, Jee-Youn;Lee, Hong-Kyung;Kim, Moo-Sung;Lee, Sang-Rin;Kang, Jong-Soon;Kim, Hwan-Mook;Lee, Kyung-Ae;Hong, Jin-Tae;Kim, Young-Soo;Han, Sang-Bae
    • IMMUNE NETWORK
    • /
    • 제10권6호
    • /
    • pp.188-197
    • /
    • 2010
  • Background: Lichen-derived glucans have been known to stimulate the functions of immune cells. However,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glucan obtained from edible lichen, Umbilicaria esculenta, has not been reported. Thus we evaluated the phenotype and functional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DCs) following treatment of extracted glucan (PUE). Methods: The phenotypic and functional maturation of PUE-treated DCs was assess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cytokine production, respectively. PUE-treated DCs was also used for mixed leukocyte reaction to evaluate T cell-priming capacity. Finally we detected the activation of MAPK and NF-${\kappa}B$ by immunoblot. Results: Phenotypic maturation of DCs was shown by the elevated expressions of CD40, CD80, CD86, and MHC class I/II molecules. Functional activation of DCs was proved by increased cytokine production of IL-12, IL-$1{\beta}$, TNF-${\alpha}$, and IFN-${\alpha}/{\beta}$, decreased endocytosis, and enhanced proliferation of allogenic T cells. Polymyxin B, specific inhibitor of lipopolysaccharide (LPS), did not affect PUE activity, which suggested that PUE was free of LPS contamination. As a mechanism of action, PUE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p38 MAPKs, and enhanced nuclear translocation of NF-${\kappa}B$ p50/p65 in DC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UE induced DC maturation via MAPK and NF-${\kappa}B$ signaling path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