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ic thermo-optic switch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37초

트렌치 구조를 이용한 저전력 1×2 폴리머 열 광학 스위치의 제작 (Fabrication of a low-power 1×2 polymeric thermo-optic switch with a trench structure)

  • 여동민;김기홍;신상영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7
    • /
    • 2003
  • 트렌치 구조를 이용한 저전력 1$\times$2 폴리머 열 광학 스위치를 제안하고 제작하였다. 최적의 위치에 적절히 형성된 트렌치 구조는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열 흐름을 방해하여 전력 소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광 도파로를 구성하는 폴리머 층에서의 온도 분포가 변하여 Y-분기를 이루는 두 도파로들 사이의 온도 기울기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본 실험에서는 트렌치 구조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트렌치 구조가 없는 1$\times$2 폴리머 열 광학 스위치도 동일한 기판 위에 함께 제작하였다. 트렌치 구조를 이용한 열 광학 스위치의 경우, 측정된 누화는 TE 편광에서 -17.0 dB 이하. TM 편광에서 -15.0 dB 이하였다 전력 소모는 트렌치 구조가 없는 열 광학 스위치의 소모 전력보다 25% 감소한 약 66 ㎽였다.

$1{\times}2$ 열광학 폴리머 광스위치의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1{\times}2$ Polymer Waveguide Thermo-optic switch)

  • 곽혁용;김종헌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7-251
    • /
    • 1998
  • This work presents the analysis of $1\times2$ polymer waveguide thermo-optic switch using asymmetric Y-splitter at the wavelength of 1300nm. Because of the high thermo-optic coefficient of polymeric materials the design of efficient switches were feasible.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of these switches the finite difference beam propagation method has been employed. Design rules for a $1\times2$ polymeric switch have been defined by using the numerical techniques.

  • PDF

3차원 광연결용 수직방향 광도파로 열광학 스위치 (Vertically Integrated Waveguide Thermo-Optic Switch for Three-Dimensional Optical Interconnection)

  • 김기홍;신상영;최두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4
    • /
    • 2002
  • We propose and fabricate a vertically integrated waveguide thermo-optic switch. It controls the optical path between two vertically stacked waveguide. As a first step, we fabricate polymeric waveguides. The measured propagation loss is ranged from 0.3 db/cm to 0.4 dB/cm at the wavelength of 1.55 $\mu\textrm{m}$. We fabricate the proposed vertically integrated waveguide thermo-optic switch to demonstrate its preliminary feasibility. The measured crosstalk is better than -10 db. The power consumption is about 500 mW. Further effort is necessary to improve its performance.

  • PDF

고성능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 (High Performance Polymeric Optical Waveguide Devices)

  • 오민철;노영욱;이형종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5년도 제16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발표회
    • /
    • pp.292-295
    • /
    • 2005
  • Variable optical attenuators (VOA) made of low-loss fluorinated polymers are demonstrated which shows a low operating power less than 30 mW due to the superior thermo-optic effect of polymer material and a low insertion loss less than 1.0 dB by incorporating highly fluorinated polymers to reduce the absorption loss at 1550 nm. An attenuator-integrated low-crosstalk polymeric digital optical switch (DOS) is also demonstrated. The switch and attenuator shares a single connected electrode which is controlled by a single current source. Due to the simpl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attenuator, the device length is reduced to 1 cm so as to provide low insertion loss of 0.8 and 1.1 dB for 1300 and 1550 nm, respectively. The attenuator radiates remained optical signal on the switch-off branch in order to decrease the switching crosstalk to be less than -70 dB with an applied electrical power of 200 mW.

  • PDF

폴리머 링 공진기 기반의 스위치를 이용한 집적광학 채널 선택 마이크로웨이브 대역통과 필터 (Integrated Photonic Channel Selective Microwave Bandpass Filter Incorporating a 1×2 Switch Based on Tunable Polymeric Ring Resonators)

  • 김건덕;이상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9-8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FSR (free spectral range)을 갖는 두 개의 가변 (tunable) 폴리머 링 공진기 기반의 $1{\times}2$ 스위치를 이용하여 광학적 방식의 채널 선택이 가능한 재구성형 (reconfigurable) 마이크로웨이브 (microwave: MW) 필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각 링 공진기는 두 개의 링이 연결되어 있으며 한 개의 링 위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열광학효과를 통해 On/Off 스위치로서 동작된다. 입력 MW 신호에 의해서 변조된 광신호를 이 스위치를 통해 특정 포트로 라우팅(routing)하고 광검출기를 통해 복원함으로써 두 개의 채널이 선택되는 MW 대역통과 필터 특성을 얻었다. 중심주파수가 10 GHz인 채널 I 이 선택된 경우, 소멸비는 ${\sim}30dB$, 대역폭은 1 GHz, Q값은 10, 최대 소비전력은 4.1 mW였다. 그리고 중심주파수가 20 GHz인 채널II가 선택된 경우에는 소멸비는 ${\sim}30dB$, 대역폭은 2 GHz, Q값은 10, 최대 소비전력은 8 mW였으며, 각 채널 간의 격리도는 24 dB 이상이었다.

2$\times$2 폴리머 열광학 스위치 (Polymeric 2$\times$2 Thermo-Optic Switch)

  • 김기홍;오태원;송현채;신상영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6-137
    • /
    • 2000
  • 광스위치는 광통신 및 광교환 시스템에서 광 경로 제어를 위한 소자로써 누화 특성이 좋고, 스위칭 시 소모 전력이 작아야 한다. 프로텍션 스위칭(circuit protection switching)시에는 아무런 전력 소모 없이 초기 경로를 가진 스위치가 바람직하다. 기존의 전력 소모 없이 초기 경로를 가지는 스위치는 실리카 물질과 비대칭적 X-분기 광도파로를 사용하여 구현되었다$^{(1)}$ . 그러나 실리카 스위치는 열광학 계수가 작기 때문에 스위칭 할 때 전력 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최근에 열광학 스위치는 폴리머를 재료로 하여 많이 제작되었다$^{(2).(3)}$ . 폴리머의 열광학 계수는 실리카에 비해 10배 정도 더 크다. 대부분의 폴리머 열광학 스위치는 대칭적 Y-분기 광도파로를 사용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모든 스위칭 상태에서 전력 소모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4개의 비대칭적 Y-분기 광도파로가 직렬(cascade)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2$\times$2 열광학 스위치를 제안한다. 이 스위치는 전력 소모 없이 초기 경로를 가지며, 누화 특성을 향상시킨 구조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