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latex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3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디메틸설폭사이드 계에서 동적 광산란법에 의한 탐침입자의 배제층 연구 (Studies on Depletion Layer of Probe Particles in the System of Poly(vinyl acetate)/Dimethyl Sulfoxide by Dynamic Light Scattering)

  • 전국진;장진호;박일현
    • 폴리머
    • /
    • 제39권3호
    • /
    • pp.370-381
    • /
    • 2015
  • 고분자와 용매의 굴절률이 서로 일치되어 자체 산란광의 세기가 극소화된 시스템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VAc)/디메틸설폭사이드(DMSO) 계에 폴리스티렌 라텍스 탐침입자(표시 직경 200 nm)를 소량 첨가한 뒤 동적 광산란법으로 용액의 PVAc 농도에 대한 입자의 확산 거동을 정밀하게 조사하였다. 구형 입자의 환산확산계수의 농도의존성은 환산농도 $C[{\eta}]$의 신장지수함수로 분석할 수 있었고, 묽은 농도에서는 배제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초기 준희박 농도인 $1{\leq}C[{\eta}]{\leq}2.5$ 범위에서는 배제층의 사슬농도 의존지수가 -0.8로써 이론적 계산치 -0.85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배제층의 두께가 이론적 예측보다 급속히 감소하는 현상 또한 관찰되었으며, 그 원인은 인접한 탐침 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Oosawa 인력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기능성 카본막의 제조 Mechanism에 관한 연구 (Study on manufacturing mechanism of functional carbon membrane)

  • 배상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211-216
    • /
    • 2018
  • 흡착과 막을 융합시킨 분리기술은 수처리와 같은 환경 분야에서 많은 응용이 기대된다. 이 융합기술에 막분리 공정에서 문제가 되는 막 fouling을 억제시키기 위해 막표면에 카본휘스커를 성장시킨 기능성 카본막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카본막의 제조 Mechanism을 밝히기 위해, 각각의 혼합비율인 폴리머라텍스로 전처리를 하고 CVD(Chemical Vapor Deposing)법에 따라 막을 제조하였다. 이 막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CHN분석기(Elemental Analyzer), X-선회절법(X-Ray Diffraction(XRD))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3번막(PVdC(PolyVinyl di-Chloride):PVC(Polyvinly Chloride)=4.5:55)의 경우가 카본휘스커의 직경과 밀도가 높았다. 이것은 폴리머라텍스의 수소함유량에 따라 카본휘스커의 직경과 밀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폴리머 코팅 폐타이어 분말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터의 기초적 성질 (A Study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Cement Mortar Using Polymer Coated Crumb Rubber)

  • 송훈;조영국;소양섭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63-172
    • /
    • 1996
  • 최근 많은 양의 폐타이어가 발생됨에 따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재활용은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건설 분야에서는 폐타이어를 냉각 분쇄하여 만든 분말을 시멘트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사용하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시멘트 콘크리트에 폐타이어 분말을 혼입하여 사용할 때는 폐타이어 분말과 시멘트경화체 사이에서 접착성의 문제로 기초적 성질이 저감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모르터 내부에서 폐타이어 분말의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중의 하나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라텍스를 사용하여 기초적 성질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SBR 코팅 폐타이어 분말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터는 코팅하지 않은 폐타이어 분말을 사용한 경우보다 기초적 성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폴리머 시멘트비 10%를 사용한 SBR 라텍스 혼입 폴리머 시멘트 모르터의 경우에도 기초적 성질이 개선되었다.

재생잔골재를 사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성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Mortars Using Waste Concrete Fine Aggregate)

  • 황의환;최재진;김진만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793-797
    • /
    • 200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recycling waste concrete fine aggregate to prepare polymer-modified mortars. The specimens of polymer-modified mortars were prepared by using styrene-butadiene rubber(SBR) latex and polyacrylic ester(PAE) emulsion as a polymer modifier. The formulations for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various replacing ratios of waste concrete fine aggregates as parts of standard sand and various polymer cement ratios. For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polymer-modified mortars, various phys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s, water cement ratio of polymer-modified fresh mortars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recycled fine aggregate, but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polymer modifiers.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of polymer-modified mortars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recycled fine aggregate, but flexural strengths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polymer modifiers.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butyl acrylate)/Poly(methyl methacrylate) Composite Latex by Seeded Emulsion Polymerization

  • Ju, In-Ho;Hong, Jin-Ho;Park, Min-Seok;Wu, Jong-Py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1-136
    • /
    • 2002
  • As model waterborne acrylic coatings, mono-dispersed poly(butyl acrylate-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latexes of random copolymer and core/shell type graft copolymer were prepared by seeded multi-staged emulsion polymerization with particle size of $180{\sim}200$ nm using semi-batch type process. Sodium lauryl sulfate and potassium persulfate were used as an emulsifier and an initiator, respectively. The effect of particle texture including core/shell phase ratio,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crosslinking density, and film forming temperature on the film formation and final properties of film was investigated using SEM, AFM, and UV in this study. The film formation behavior of model latex was traced simultaneously by the weight loss measurement and by the change of tensile properties and UV transmittance during the entire course of film formation.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higher crosslinking degree of latex resulted in the delay of the onset of coalescence of particles by interdiffusion during film forming process. This can be explained qualitatively in terms of diffusion rate of polymer chains. However, the change of weight loss during film formation was insensitive to discern each film forming stages-I, II and III.

계면활성제가 라텍스 블렌딩 폴리스티렌/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재료의 유변학적, 전기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tant on Rheolog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Latex-Blended Polystyrene/Single-Walled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 강명환;노원진;우동균;이성재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364-371
    • /
    • 2012
  • 폴리스티렌(PS)/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나노복합재료를 라텍스 기술로 제조하여 계면활성제(SDS) 첨가에 따른 SWCNT의 분산 정도와 나노복합재료의 유변학적, 전기적 물성을 고찰하였다. 나노복합재료는 단분산 PS 입자에 SDS를 첨가한 SWCNT 분산액을 혼합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SD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노튜브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나노복합재료의 저장 탄성률과 복소 점도는 증가하지만, 지나치게 증가시킨 경우에는 저분자량의 SDS로 인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전기 전도도는 SDS를 첨가함에 따라 급격히 향상된 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나노튜브의 분산성 향상에 의한 전기 전도도 증가와 SDS 도포에 의한 SWCNT의 전기 전도도 저하의 경쟁에 의한 것으로 추론된다. SDS를 SWCNT 함량의 2배로 첨가한 경우가 나노복합재료의 전기 전도도 및 사용 물성 향상에 최적 조건이었다. 이 경우 전도성을 부여하는 SWCNT의 임계 함량은 1 wt% 이하에서 나타났다.

오토클레이브 양생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강도성상에 미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의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on Strength Properties of Autoclaved Polymer-Modified Concrete)

  • 주명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608-614
    • /
    • 2002
  •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SBR 라텍스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성상에 미치는 고로슬래그 치환율 및 폴리머-결합재비의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오토클래이브 양생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압축 및 인장강도는 고로슬래그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고로슬래그 치환율 40%에서 최대치에 달하였다.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오토클래이브 양생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압축 및 인장강도는 폴리머-결합재 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고로슬래그 치환율 40%의 오토클래이브 양생 SBR 혼입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SBR 미혼입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약 3배 이상의 높은 인장강도를 나타냈다. 이같이 높은 강도 개선은 SBR 라텍스의 혼입에 의해 시멘트 수화물과 골재간의 접착력이 개선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시멘트 종류에 따른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구조 분석 (Analysis of Air Void Systems in Latex-Modified Concretes with Cement Types)

  • 윤경구;정원경;김기헌;김경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73-82
    • /
    • 2005
  • 공극구조 분석 방법은 ASTM C 457의 리니어트레버스 포인트카운트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분석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소요되어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어지지 않고 있다. 근래에는 현미경과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의 프로그램 발달로 화상분석법이 많은 연구자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분석법을 통하여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공극 구조 특성을 분석하고자 시멘트 종류(보통포틀랜드시멘트, 초속경시멘트)와 라텍스 혼입율(0,15%)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라텍스는 경화 후 콘크리트에서 AE제의 공기연행효과보다 더 우수한 연행공기 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상분석법을 이용할 경우 경화 후 콘크리트 내부 공극 구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유화중합에 의한 Methyl Methacrylate-Styrene계 Core-Shell 라텍스 입자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Methyl Methacrylate-Styrene System Core-Shell Latex by Emulsion Polymerization)

  • 김남석;김덕술;이석희;박근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6-105
    • /
    • 2005
  • Core-shell 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styrene system were prepared by sequential emul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SDBS) as an emulsifier using ammonium persulfate(APS) in an initia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ore-shell polymers were evaluated. Core-shell composite latex has the both properties of core and shell components in a particle, whereas polymer blends or copolymers show a combined physical properties of two homopolymers. This unique behavior of core-shell composite latex can be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However, in preparation of core-shell composite latex, several unexpected matters are observed, for examples, particle coagulation, low degree of polymerization, and formation of new particles during shell polymerization. To solve this matters, we study the effects of surfactant concentrations, initiator concentrations, and reaction temperature on the core-shell structure of PMMA-PSt and PSt-PMMA. Particle size and particles distribution were measured by using particle size analyzer, and the morphology of the core-shell composite latex was observed by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Glass temperature was also measured by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o identify the core-shell structure, pH of the composite latex solutions was measured.

MMA/BA 합성 라텍스 혼입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성질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Cement Mortars Using Methylmethacrylate - Butyl Acrylate Latexes)

  • 형원길;송해룡;김완기;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3-12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monomer ratio on properties of the polymer-modified mortars using methyl methacrylate-butyl acrylate latexes, and to obtain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latexes for cement modifiers.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the monomer ratio on the typical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mortars with methyl methacrylate-butyl acrylate latexes. The polymer latex-modified mortars are prepared with 5, 10, IS and 20% of polymer cement ratio respectively, and properties of modified mortars such as water absorption,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chloride-ion penetration depth are tested.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monomer ratio is very important factors to characterize the strength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mortars, but the water absorption and chloride-ion penetration depth are influenced by polymer-cement ratio rather than monomer ratio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