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composite membrane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2초

탄화수소계 고분자-실리카 복합막이 적용된 연료전지 스택 성능평가 (Characterization of Fuel Cell Stack Using Hydrocarbon Polymer-Silica Composite Membranes)

  • 강현우;황두성;박치훈;이영무
    • 멤브레인
    • /
    • 제33권3호
    • /
    • pp.127-1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복합막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을 5단 연료전지 스택에 적용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개별 구성 요소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전체적인 관점에서 공급되는 연료의 유량이 스택 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수소의 유량에 크게 의존한다는 사실이 확인하였다. 산소의 유량을 증가시켜도 성능의 변화는 미미한 반면, 수소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소의 유량 증가는 수소와 산소 유량 비율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장기적으로는 스택 성능과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스택 구성 요소 및 개별 단위 셀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스택 운전 시 각 구성 요소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 외에도 균일한 유량 제어를 위해 유로 설계 및 운전 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리카 복합막은 최대 출력 기준 25 W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어 실제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고분자 전해질막 수소 연료 전지 분리판 용 흑연/폴리프로필렌/액정고분자 복합 재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Graphite/Polypropylene/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e for a Bipolar Plat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비라즈 둔가나;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627-3632
    • /
    • 2015
  •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용 흑연/폴리프로필렌(PP)/액정고분자 (LCP) 복합소재의 기계적, 유변학 특성 및 전기전도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저분자량 PP를 바인더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열가소성 고분자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전기 전도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점도가 낮은 PP에 의해 흑연 입자의 분산이 향상되어 나타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를 소량 첨가하면 복합재료의 전기전도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산처리를 하여 산소 관능기를 포함한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했을 때에는 전기전도도의 증가가 거의 없었다. 이로부터 탄소나노튜브는 비극성 고분자와 친화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저분자량 PP를 바인더로 사용하였을 때는 복합재료의 점도가 사출성형이 가능할 정도로 낮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계적인 강도는 다른 고분자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LCP를 혼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한 결과 전반적인 물성 밸런스가 잘 맞는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었다.

PTMSP-NaA Zeolite 복합막에 의한 수소-질소 기체 분리에 관한 연구 (Separation of H2 and N2 Gases by PTMSP-NaA Zeolite Composite Membranes)

  • 김옥수;윤석일
    • 멤브레인
    • /
    • 제25권2호
    • /
    • pp.107-114
    • /
    • 2015
  • PTMSP에 0~50 wt% NaA Zeolite를 첨가하여 PTMSP-NaA Zeolite 복합막을 제조하고, PTMSP-NaA Zeolite 복합막의 특성을 FT-IR, $^1H$-NMR, GPC, DSC, TGA, SEM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PTMSP-NaA Zeolite 복합막의 수소와 질소에 대한 투과도와 선택성을 NaA Zeolite 함량에 따라 조사하였다. TGA측정에 의하면 PTMSP에 NaA Zeolite가 첨가되었을 때 복합막의 감량이 완결되는 온도는 낮아졌고, 감량(wt%)도 작아졌다. SEM관찰에 의하면 NaA Zeolite는 PTMSP-NaA Zeolite 복합막 내에 $2{\sim}5{\mu}m$ 크기로 분산되어 있었다. PTMSP-NaA Zeolite 복합막에 대한 $N_2$$H_2$의 투과도는 NaA Zeolite 함량이 증가하면 증가하였다. 그리고 PTMSP-NaA Zeolite 복합막의 $N_2$에 대한 $H_2$의 선택성은 NaA Zeolite함량이 증가하면 감소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FC)용 poly(arylene ether sulfone)/SiO2 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poly(arylene ether sulfone)/SiO2 Composite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 신문식;김다은;박진수
    • 멤브레인
    • /
    • 제27권2호
    • /
    • pp.182-1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FC)의 전해질막의 화학적 안정성의 향상을 위하여 3-mercaptopropyl silica gel (3MPTSG)과 poly(arylene ether sulfone)(SPAES)을 이용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탄화수소계 고분자막은 전극 부분에서 발생한 라디컬에 의한 고분자 산화가 일어나 내구성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대부분 주쇄에 포함된 에테르 기 부분의 취약성으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라디칼에 의한 고분자 주쇄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친수성의 무기물 입자를 도입하여 이온전도도 감소율을 최소화하고 산화안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복합막들의 물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접촉각, FT-IR, 이온전도도, 이온교환용량(IEC), 함수율, 열안정성 등을 수행하였다. 실리카의 함량이 0에서 0.5%까지 증가함에 따라 이온전도도 및 함수율은 각각 10% 감소한 0.076 S cm-1 및 16% 감소한 24.6 wt%이었으나, 산화안정성은 10% 향상되었다.

Preparation of Composite Membranes of Dense PAA-Poly(BMA-co-MMA) IPN Supported on Porous and Crosslinked Poly(BMA-co-MMA) Sublayer and Their Pervaporation Characteristics

  • Kim, Sung-Chul;Lim, Byung-Y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63-171
    • /
    • 2003
  • For the pervaporation of water-ethanol mixtures, new composite membranes having poly(acrylic acid)-poly (butyl methacrylate-co-methyl methacrylate) interpenetrati ng polymer network [PAA-P(BMA-co-MMA) IPN] skin layer supported on porous and crosslinked poly(BMA-co-MMA) were prepared. The morphology of the sub-layer of th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the presence of 60 wt% solvent showed cellular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at of sublayer prepared in the presence of 70 wt% solvent presented very porous interconnected pore structure with macrovoids. Permeation rates of the composite membranes were largely influenced by the morphology of the sublayer. Separation factor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PAA network. It was found that permeation rates could be increased by introducing anionic charges on carboxyl groups of the PAA. The permeation rate changes of the PAA-P(BMA-co-MMA) IPN composite membranes according to the feed compositions showed quite similar pattern with the swelling behavior in water-ethanol mixtures.

고분자 전해질막 수소 연료 전지 분리판 용 고분자/흑연 복합 재료의 혼합 및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ixing Characteristic and Rheology of Polymer/Graphite Composites for a Bipolar Plat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유태현;김동학;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673-467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용 고분자/흑연 복합소재의 혼합 특성 및 점도 측정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분리판은 전도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흑연의 함량이 매우 높고 이 때문에 제조된 복합재료의 점도가 높아 점도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캐필러리 레오메터에서 사용되는 다이로 점도를 측정한 결과 압력이 시간에 따라서 계속 변하고 정상상태의 값을 보이지 않아서 점도 측정이 불가능 했다. 다이의 디자인을 변경하여 측정하면 압력이 정상상태를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흑연과 PET를 단순 용융 혼합하여 점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된 점도 값이 재현성이 없는 결과를 나타냈다. 여러 차례의 시행 오차 끝에 흑연과 PET를 작은 입자로 분쇄한 후 용융 혼합하면 재현성 있는 점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조된 복합재료의 전기전도도 값도 재현성 있는 결과를 보임을 관찰하였다.

A novel hydrogel-dispersed composite membrane of poly(N-isopropylacrylamide) in gelatin matrix and its thermally actuated permeation of 4-acetamidophen

  • Chun, Suk-Won;Kim, Jong-Duk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5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50-51
    • /
    • 1995
  • The swelling behavior of hyddrogels has been interested in many applications of drug carriers. These gels show reversible swelling changes in response to pH, electric currcnt, and temperature. Among others, the temperature-responsive behavior of poly(N-isopropylacrylanxide) (p(NIPAAm)) was studied, because a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LCST) is in the vicinity of 32$\circ$C, and remarkable temperature-response can be obtained. We propose a novel composite membrane, which is appropriate for transporting drug ingredients above the transition temperature. Our object was to design a high permeation system above the shrinking temperature of p(NIPAAm). The membrane was composed of a matrix polymer and thermosensitive p(NIPAAm) hydrogel. The flux pattern of 4-acctamidophen through membrane in response of temperature was opposite to that of p(NIPAAm) membrane.

  • PDF

제올라이트막과 제올라이트/고분자 복합막의 전망과 도전 (Zeolite and Zeolite/Polymer Composite Membranes: Promises and Challenges)

  • 정해권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481-487
    • /
    • 2010
  • 최근 에너지 효율이 높은 공정기술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분리막을 이용한 기체분리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분리막에 의한 기체 분리 시장은 고분자막이 독점하고 있으며 탄화수소와 같은 응축기체 분리시장이 휠씬 큼에도 불구하고 주로 비응축 기체분리에 제한되고 있다. 이는 고분자 재료의 물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제올라이트막이나 제올라이트/고분자 복합막이 제올라이트의 우수한 분리력과 화학적/열적 특성으로 인해 고분자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번 총설에서는 이러한 기체분리를 위한 제올라이트막과 제올라이트/고분자 복합막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Luminescent Polynorbornene/Quantum Dot Composite Nanorods and Nanotubes Prepared from AAO Membrane Templates

  • Oh, Se-Won;Cho, Young-Hyun;Char, Kook-Heo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12호
    • /
    • pp.995-1002
    • /
    • 2009
  • Luminescent polynorbornene (PNB)/quantum dot (CdSe@ZnS; QD) composite nanorods and nanotubes were successfully prepared using anodic aluminum oxide (AAO) membranes of various pore sizes as templates. To protect QDs with high quantum yield from quenching during the phosphoric acid treatment used to remove the AAO templates, chemically stable and optically clear norbornene-maleic anhydride copolymers (P(NB-r-MA)) were employed as a capping agent for QDs. The amine-terminated QDs reacted with maleic anhydride moieties in P(NB-r-MA) to form PNB-grafted QDs. The chemical- and photo-stability of QDs encapsulated with PNB copolymers were investigated by photoluminescence (PL) spectroscopy. By varying the pore size of the AAO templates from 40 to 380 urn, PNB/QD composite nanorods or nanotubes were obtained with a good dispersion of QDs in the PNB matr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