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chaetes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남해 및 동해의 침염주발갯지렁이류 및 참염주발갯지렁이류 (Syllid Polychaetes of the Genera Langerhansia and typosyllis (Annelida)from South Sea and East Sea, Korea)

  • 이종위;노분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3호
    • /
    • pp.265-280
    • /
    • 1996
  • 한국의 동해 및 남해로부터 침염주발갯지렁이류(Langerhansia Czerniavsky, 1881) 2 종, 참염주발갯지렁이류(Typosyllis Langerhans, 1879) 9종의 분류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중, 4종 L. cornuta(Lathke, 1843), L. rosea(Langerhans, 1879), T. okadai(Fauvel, 1934) and T. hyalina(Grube, 1863)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며, 침염주발갯지렁이류는 우 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속이다.

  • PDF

한국산 비늘갯지렁이류의 분류 I. 참비늘갯지렁이 아과 (Taxonomic Study on Polynoid Polychaetes in Korea I. Subfamily harmothoinae)

  • 제종길;이재학;노용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권1_2호
    • /
    • pp.61-78
    • /
    • 1985
  •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집된 참비늘갯지렁이류를 조사한 결과 4종의 국내 미기록(Gattyana deludens, Eunoe senta, Harmothoe hirsuta, Lagisca waahli)을 포함하여 7종을 얻었다. 이로써 한국산 참비늘갯지렁이아과는 모두 16속 11종으로 밝혀지며, 그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검색표를 작성하고 각 종의 분류학적인 고찰 및 서식처를 조사 보고한다.

  • PDF

Two New Records of Scolecid Polychaetes (Annelida: Polychaeta: Scolecida) in Korean Fauna

  • Choi, Hyun Ki;Kim, Jong Guk;Yoon, Seong Mye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4호
    • /
    • pp.266-271
    • /
    • 2016
  • Two new records of scolecid polychaetes, Praxillella pacifica Berkeley, 1929 and Naineris dendritica (Kinberg, 1867), collected from Korean waters are reported here with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Praxillella pacifica can be distinguished from its congeners by the number of asetigerous segments on the posterior region of the body and features of the anal cone and neuropodial spines on setigers 2 and 3. Naineris dendritica is distinguishable from its relatives by the morphology of thoracic neuropodial lobes and the thoracic uncini at the inferior position. In the present paper, keys to Praxillella and Naineris species from Korean waters were also provided.

여수 소리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군평선이(Hapalogenys mucron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elted Beard Grunt, Hapalogenys mucronatus, in the Coastal Waters off Sori Island, Yeosu, Korea)

  • 서호영;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8-263
    • /
    • 2005
  • 군평선이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해 여수 소리도 주변 해역에서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채집된 군평선이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군평선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게류, 갯지렁이류 및 단각류순으로 중요하였다. 그 외에 이매패류, 두족류, 해초류, 집게류, 등각류, 미동정 난, 곤쟁이류, 복족류 및 요각류 등이 발견되었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군평선이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전환이 뚜렷하였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체장 10~11.9 cm 크기군에서는 단각류의 점유율이 높았지만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단각류의 점유율은 점차 감소한 반면, 새우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여 12~17.9 cm 크기군에서는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 되었다. 한편 체장 18~22.1 cm 크기군에서는 갯지렁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여 새우류와 더불어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군평선이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였다.

통영 장평리 잘피밭에 출현하는 복섬(Takifugu niphoble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in the eelgrass bed of Jangpyeong-ri, Tongyeong)

  • 최희찬;박종혁;남기문;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2호
    • /
    • pp.138-145
    • /
    • 2018
  • The diet composition of Takifugu niphobles was studied with 587 specimens collected in the eelgrass bed of Jangpyeong-ri, Tongyeong, Korea, using a seine net, monthly from May 2016 to April 2017. The standard length (SL)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0.7 to 9.0 cm. The stomach contents analysis indicated that T. niphobles consumed mainly amphipods (%IRI: 91.0 %). In addition, T. niphobles fed on small quantities of copepods, polychaetes, insects, bivalves and crabs. T. niphobles consumed mainly amphipods over all size class. Smaller individuals (less than 4 cm SL) fed mainly on amphipods and copepods. The proportion of copepods decreased, as body size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polychaetes increased gradually.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T. niphobles was significant. Amphipods were most common prey in all seasons. Copepods decreased from summer to spring gradually whereas the consumption of polychaetes increased in autumn.

목포 인근 해역 펄 조간대의 저서동물 군집 (Macrozoobenthic Community on the Mud-tidalflat around Mokpo Coastal Area, Korea)

  • 임현식;박경양;임병선;이점숙;주수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5호
    • /
    • pp.355-365
    • /
    • 1997
  • Macrozoobenthic community structure was studied on the mud-tidalflat around Mokpo coastal area, Korea, from September 1995 to May 1996. Ten sampling stations were chosen along the 1km transect with a 100 m intervals. Triple macrozoobenthos sampling were conducted with a stainless box core sampler (size $13{\times}22{\times}30$ cm) at each station on the seasonal basis. A total of 119 species of macrobenthos was sampled with a mean density 2,357 $ind./m^2$ and biomass of 180. 94 $g/m^2$ during the study period. Of these species, there were 51 species of mollusce (43%), 36 of crustaceans (30%), 27 of polychaetes (23%). Molluscs were density-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density of 1,804 $ind./m^2$, comprising of 75% of the total density of the benthic animals. It was followed by polychaetes with 347 $ind./m^2$ (15% of the total density). Molluscs were biomass-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biomass of 147.51 $g/m^2$ (82% of the total biomass).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biomass showed increasing trends toward the lower intertidal stations from the higher stations. Major dominant species were Musculista senhousia (bivalve), Capitellidae spp. (polychaetes) with a density of 1,640 $ind./m^2$ and 179 $ind./m^2$ , respectively. The density of M. senhousia was more than 63% of the total density of benthic organism on the tidal area. Small gastropod Cerithideopsilla umumriensis was another dominant epifaunal species between st.1 and 2 with a mean density of 100 $ind./m^2$.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benthic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tional groups, that is,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by the exposure duration.

  • PDF

해초생태계에 서식하는 4 우점어종의 성장에 따른 먹이의 변화에 관한 연구 (Ontogenetic Food Habits of Four Common Fish Species in Seagrass Meadows)

  • 허성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3
    • /
    • 1986
  • 미국 Texas 남쪽 해안에 위치한 Redfish Bay의 해초생태계에 우점종으로 나 타나는 4어종인 darter goby(Gobionellus bolesoma), pinfish(Lagodon rhomboides), code goby(Gobiosoma robustum), 그리고 Gulf pipefish(Syngnathus scovelli)에 대 한 성장에 따른 먹이 선택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가장 우점종인 darter goby는 비교적 다양한 먹이를 먹는 잡식성 어류로 amphipods, copepods, polychaetes, filamentous algae, diatoms 그리고 detritus등이 주된 먹이였다. 이 종 은 성장에 따른 먹이 선택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반면에 pinfish, code goby 및 Gulf pipeifish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 종류가 크게 달라졌다. pinfish의 경우, 4단계 의 먹이 선택의 변화를 보이는데, 초기에는 육식성으로 주로 copepods를 섭식하였 으나, 조금 성장하면 주된 먹이가 amphipods로 바뀌며, 조금 더 성장하면 잡식성으 로 변해 filamentous algae, diatoms, amphipods 그리고 aolychaetes등의 다양한 먹 이를 먹으며, 그후 더욱 성장하면 seagrass와 seagrass위에 붙어있는 algae 그리고 그들의 debris를 주로 먹는 초식성으로 먹이 습성이 바뀌었다. code goby 와 Gulf popefish 는 비교적 적은 종류의 동물성 먹이에만 의존하는 육식성 어류들이었다.또한 두조은 비슷한 성장에 딸느 먹이 선택의 변화를 보이는데,초기에는 주로 copepods 를 섭이하였으나 성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보다 큰 amphipods로 먹이 선택이 바뀌었다.

  • PDF

해산동물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2. 미끈날망둑, Chaenogobius laevis (Steindachner)의 자치어기의 연령, 성장 및 식성 (Early Life History of the Marine Animals 2. Age, Growth and Food of Chaenogobius laevis (Steindachner) Larvae and Juveniles)

  • 이태원;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32-341
    • /
    • 1989
  • 경상남도 일광 연안으로 흘러내리는 하천의 하구 기수역에서 미끈날망둑온 채집하여 이석과 위내용물을 분석하여, 자치어기의 나이, 성장율 및 식성을 추정하였다. 이석 미세성장선의 하루주기성은 약 15일 간격으로 연속하여 채집된 어류 이석을 각 채집일을 감안하여 성장선 배열의 공통성을 비교 분석하여 증명하였다. 체장의 성장은 Gompertz의 식으로 유의하게 표시되었다. $L=5.73{\cdot}\;e^{15.06}(1-e^{-0.0015t})$관찰 범위에서 체장의 일일성장율은 부화 후 $50\~60$일 사이에는 0.40 mm/day로 작았으나 자라면서 빨라져 $90\~100$일 사이에는 0.85 mm/day로 증가하였다. 위내용물 분석 결과, 미끈날망둑은 전형적인 육식성 어종으로 밝혀졌는데, 주된 먹이생물은 polychaetes, amphipods, copepods 였으며 이들은 위내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미끈날망둑은 성장에 따라 다소 먹이 선택에 있어 변화를 보이는데, $15\~30$mm 크기군에서는 copepods가 비교적 많이 섭이 되었지만, 성장함에 따라 amphipods의 섭이가 증가되었다. 한편 polychaetes의 선호도는 모든 크기군에 걸쳐 가장 높았다.

  • PDF

순천 상내리 갯골에 출현하는 민물두줄망둑(Tridentiger bifasci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bifasciatus in the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 예상진;정재묵;김현지;박주면;허성회;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0-167
    • /
    • 2014
  • The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bifasciatus were studied using 733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using a push net, monthly, from April 2011 to March 2012. The standard length (SL)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1.5 to 8.2 cm. The stomach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T. bifasciatus consumed mainly amphipods, such as Corophium sp., while copepods, polychaetes, and shrimps were other important prey species. In addition T. bifasciatus ate small quantities of crab larvae, fish, gastropod larvae, and insects. T. bifasciatus is a generalist that feeds on various zoobenthos, including fish. T. bifasciatus underwent an ontogenetic dietary shift. Smaller individuals (1-2 cm SL) fed mainly on amphipods. The proportion of amphipods decreased as body size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polychaetes increased gradually.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T. bifasciatus was significant. Insects were common prey during summer, while the amounts of other prey, including polychaetes, were similar during spring, autumn, and winter.

동해 대륙붕에 분포하는 주요 다모류의 서식지 환경 (The Distribution and Feeding Characteristics of Some Dominant Polychaetes i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ea, Korea)

  • 최준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6-244
    • /
    • 1986
  • 본 연구는 한국 동해 대륙붕에 출현하는 주요 저서 다모류의 서식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1985년 4월에 수행되었다. 총 95출현종 중 조사 지역에서의 출현빈도, 출현량 또는 개체군 밀도에 있어서 중요한 우점종들로는 Terebellides stroemi, Chaetozone setosa, Magelona japonica, Ampharete arctica, Aglaophamus sinensis, Nothria holobranchiata, Lumbrineris japonica, Myriochele gracilis, Notoproctus pacificus 등 9개 종이다. 이들 우점동의 주된 먹이는 규조류와 기타 유기파편들로 구성되었으며 식이형에 있어서는 표층하 퇴적물 식자(subsurface deposit feeder)와 표층퇴적물 식자(surface deposit feeder)에 속하는 종들이 대부분 이다. 육식자로 간주되는 M. holobranchiata 와 L. japonica 의 경우에도 그들의 내 장 내용물이 세립질 퇴적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사질 또는 역질의 조립질 퇴적 물이 우세한 환경에 서식하는 관서 다모류는 내장이 매우 세립질의 퇴적물로 채워 져 있고 , 또한 그들의 서관도서식지 퇴적물에 비해 세립질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이들 다모류가 식이와 서관 형성에 서관의 구조와 지역적인 분포 양상은 동해 대륙붕에서의 서식지 환경 특징인 해저지형 구조 또는 수심, 먹 이의 공급원, 퇴적환경의 에너지 분포에 의한 퇴적물 입도 조성등과 잘 일치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