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ylene oxide) blen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Poly(2, 6-dimethyl-1, 4-phenylene oxide)/Poly(styrene-co-acrylonitrile)블렌드에서 Macroinitiator로 합성한 Polystyrene-Poly(caprolactone) 블록공중합체의 상용제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Compatibilizing Effect of Polystyrene-Poly(caprolactone) Block Copolymer Synthesized from Macroinitiator in Poly(2, 6-dimethyl-1, 4-phenylene oxide)/Poly(styrene-co-acrylonitrile) Blend)

  • 정동권;정한모;양성봉;윤구식
    • 공업화학
    • /
    • 제3권2호
    • /
    • pp.247-255
    • /
    • 1992
  • Macroazoinitiator를 이용하여 Polystyrene-poly(caprolactone) (PS-PCL)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고, poly(2, 6-dimethyl-1, 4-phenylene oxide) (PPO)/poly(styrene-co-acrylonitrile) (SAN, acrylonitrile의 함량이 25wt%) 블렌드에서의 상용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공중합체 중 PS블록과 PCL블록은 각각 PPO, SAN과 상용성을 가졌으며, 블록공중합체는 SAN의 PPO 영역으로의 용해 정도를 증가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가교체 종류에 따른 Semi-IPN Poly(phenylene oxide) 블렌드와 $BaTiO_3$ 복합재료의 유전특성 (Dielectric Properties of Semi-IPN Poly(phenylene oxide) Blend/$BaTiO_3$ Composites with Type of Cross-linker)

  • 장용균;이호일;성원모;박상훈;윤호규
    • 폴리머
    • /
    • 제33권3호
    • /
    • pp.224-229
    • /
    • 2009
  • 가교체의 종류에 따른 semi-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poly(Phenylene oxide)(PPO) 블렌드와 $BaTiO_3$(BT) 복합재료의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PPO와 BT를 톨루엔에 분산하고 MEK 용매에 석출하여 얻어진 precursor PPO 복합재료에, 가교체와 과산화물을 용융혼합하는 방법으로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Precursor PPO 복합재료는 PPO와 BT를 단순히 용융혼합한 복합재료보다 높은 유전율을 나타냈으며 대수혼합법칙에 의한 이론값과도 일치하였다. 가교체로서 triallyl isocyanurate의 도입에 의해 PPO 수지의 배향분극이 감소하여 유전율과 유전손실 모두 크게 감소하였다. 4,4'-(1,3-phenylene diisopropylidene)bisaniline (Bisaniline)을 2,2-bis(4-cyanatophenyl)propane(CPP)와 혼합하여 가교하였을 경우에는 Bisaniline의 아민기에 의해 유전율과 손실이 증가하였으나, 치밀한 수지 조직과 충전제 계면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것으로부터 굴곡강도와 탄성률이 향상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었다.

배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SB 이종 블록공중합체/즐리페닐렌 옥사이드 블렌드 기체분리막 (Gas Separation Membranes Prepared from Polystyrene-block-Polybutadiene/Poly(phenylene oxide) Blends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from a Flue Gas)

  • 정유선;김창근
    • 폴리머
    • /
    • 제32권6호
    • /
    • pp.593-597
    • /
    • 2008
  •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해 polystyrene-block-polybutadiene(SB) 이종 블록 공중합체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 블렌드로부터 기체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SB/PPO 블렌드에서 폴리스티렌 블록과 PPO는 실험 범위내에서 단상의 블렌드를 형성하였다. SB/PPO 블렌드에서 PPO 함량이 증가하여 40$\sim$50wt% 범위에서 플리부타디엔 블록은 연속상에서 불연속상으로 플리스티렌 블록과 PPO로 구성된 상은 불연속상에서 연속상으로 전이가 나타났다. 전이가 관찰되는 블렌드 조성에서 급격한 기체 투과도 감소와 선택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 블렌드가 50 wt% 이상의 PPO를 포함할 경우 기계적 강도가 확보되어 실험한 최대 압력인 약 10기압까지 변형없이 우수한 투과도와 선택도를 갖는 기체 분리막 제조가 가능하였다.

연료전지막을 위한 PPO/PS-b-PSSA 블랜드의 제조와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PO/PS-b-PSSA Blend for Fuel Cell)

  • Woo, Jung-Kyu;Ahn, Sung-Guk;Cho, Chang-Gi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5-176
    • /
    • 2003
  • Generally, The protone exchange membrane (PEM) contains cationic exchange groups such as SO3$\^$-/ group. The poly(styrene sulfonic acid) (PSSA) and its copolymers are widely studied because of easily synthetic method and higher conductivities. However, PSSA is not used individually because of poo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brittleness and relatively lower Tg. So some researchers are concerned engineering plastics (EP) such as polyimides, polysulfone, polyketones, and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MPPO) etc.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