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poly(propylene glycol)diacrylate 막의 이산화탄소 기체 투과특성에 관한 연구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CO_2$ Through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Membrane)

  • 임지원;남상용;이선용;윤태일
    • 멤브레인
    • /
    • 제14권3호
    • /
    • pp.250-257
    • /
    • 2004
  • 이산화탄소 분리에 이용하기 위하여 PEG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와 PPG (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를 광학 중합반응(Photopoly merization)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PEG와 PPG는 분자량이 각각 258과 540이었다. PEG와 PPG의 질량 혼합비(wt%)를 9:1, 8:2, 7:3, 6:4, 5:5로 변화시키면서 막을 제조하였다. $25^{\circ}C$에서 PEG/PPG (9:1)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28.9 barrel 으로 나타났으며, 선택도($PCO_2$/$PN_2$)는 57.9로 나타났다. 같은 온도에서 PEG/PPG(5:5)로 조성을 변화시켰을 때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40.4 Barrer, 기체선택도($PCO_2$/$PN_2$)는 51.8를 나타냈다 이산화탄소의 투과도는 5:5 > 6:4 > 7:3 > 8:2 > 9:1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35^{\circ}C$로 승온을 하는 경우에 PEG/PPG (9:1)는 45.4 Baller, 선택도($PCO_2$/$PN_2$)는 48.2을 나타냈으며, PEG/PPG (5:5)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78.9 Barrer을 나타내고 선택도($PCO_2$/$PN_2$)는 33.2로 나타났다. 각각의 온도에서 이산화탄소의 기체선택도($PCO_2$/$PN_2$)는 PPG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oly(ethylene glyco1) diacrylate로 가교된 Poly(N-isopropylacrylamide) Hydrogel의 부피 상전이 특성 (Velume Phase Transition of Poly (N-isopropylacrylamide-co-sodium methacrylate) Hydrogel Crosslinked with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 김선아;한영아;손성옥;지병철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653-660
    • /
    • 2002
  • 가교제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를 사용하여 제조한 poly(N-iso-propylacrylamide) (PNIPAAm) 및 poly (N-isopropylacrylamide-co-sodium methacrylate) (P(NIPAAm-co-SMA)) hydrogels의 부피 상전이 현상을 함수율과 표면적의 변화로 고찰하였다. Hydyogel의 부피 상전이 온도는 가교제의 농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공단량체인 SMA의 소량 첨가로 4$0^{\circ}C$ 이상 상승하였다. 특히 PEGDA를 가교제로 사용하였을 경우 가교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부피 상전이 온도가 더 높게 상승하였다. PNIPAAm 및 P(NIPAAm-co-SMA) hydrogels의 표면적 역시 부피 상전이 온도를 전후하여 감소하였는데 이는 부피 상전이 과정에서 기공의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면적과 기공 크기의 변화가 부피 상전이를 나타내는 주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다.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된 2차 아미노기와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의 마이클 부가반응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Michael Addition Reaction between Secondary Amino Groups on the Silica Surface with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s)

  • 전하나;하기룡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822-83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우수한 내가수분해성을 가지는 dipodal 형태의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BTMA)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개질한 후, 실리카에 도입된 BTMA의 2차 아미노기인 N-H기와 마이클 부가반응이 가능한 acrylate기를 1분자당 2개씩 가지는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PEGDA)로 표면 처리하여 acrylate기를 실리카 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PEGDA의 몰수 및 3가지 서로 다른 분자량의 PEGDA(M.W. 258, 575, 700) 처리가 실리카 표면에 도입되는 acrylate기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elemental analysis(EA, 원소분석) 및 고체 상태 $^{13}C$ cross-polarization magic angle spinning(CP/M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NMR)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액체상태의 순수 PEGDA와 순수 BTMA를 같은 몰 비로 반응시키면 PEGDA 1분자당 2개씩 존재하는 acrylate기 중 1개 acrylate기는 순수 BTMA의 N-H기와 1:1의 비율로 마이클 부가반응이 일어나 ${\beta}$-amino acid ester를 형성하고, 나머지 1개의 acrylate기는 남아서 중합반응이 가능한 단량체 합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BTMA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를 PEGDA와 반응시키면, PEGDA 1분자당 2개씩 결합있는 acrylate기 대부분이 실리카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BTMA의 N-H기와 마이클 부가반응으로 ${\beta}$-amino acid ester를 형성하여, acrylate기의 C=C기 대부분이 C-C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Bisphenol A ethoxylate diacrylate를 가교제로 사용한 PEO계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물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EO-like Solid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Bisphenol A Ethoxylate Diacrylate)

  • 김석구;강영구;이희우;이창진
    • 폴리머
    • /
    • 제25권4호
    • /
    • pp.568-574
    • /
    • 2001
  • Bisphenol A ethoxylate diacrylate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PEO계 고분자 고체전해질을 제조하였으며, 이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기계적인 물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고체전해질은 이온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비휘발성의 PEGDMe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를 가소제로 도입하였다. 첨가된 PEGDMe 함량이 높을수록 전기전도도는 증가하였다. 최대 이온전도도는 30에서 1.0 ${\times}$ 10$^{-3}$S/cm [Bisphenol A ethoxylate diacrylate ([EO]/[phenol]=15), PEGDMe250 80 wt%, LiCF$_3SO_3$]이었다.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의 인장강도는 0.4 ~ 5 MPa이었으며 ${\phi}$=3 mm 봉에 대해 90$^{\circ}$ 및 180$^{\circ}$ 의 굽힘에도 균열을 발생하지 않았다. 리튬 기준전극에 대해 4.5 V 이상의 산화전위에도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였다.

  • PDF

Photolithographic Fabrication of Poly(Ethylene Glycol) Microstructures for Hydrogel-based Microreactors and Spatially Addressed Microarrays

  • Baek, Taek-Jin;Kim, Nam-Hyun;Choo, Jae-Bum;Lee, Eun-Kyu;Seong, Gi-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1호
    • /
    • pp.1826-1832
    • /
    • 2007
  • We describe the fabrication of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hydrogel microstructures with a high aspect ratio and the use of hydrogel microstructures containing the enzyme ${\beta}$-galactosidase (${\beta}$-Gal) or glucose oxidase (GOx)/horseradish peroxidase (HRP) as biosensing components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multiple analytes. The diameters of the hydrogel microstructures were almost the same at the top and at the bottom, indicating that no differential curing occurred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hydrogel microstructure. Using the hydrogel microstructures as microreactors, ${\beta}$-Gal or GOx/HRP was trapped in the hydrogel array, and the time-dependent fluorescence intensities of the hydrogel array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dynamic uptake of substrates into the PEG-DA hydrogel. The time required to reach steady-state fluorescence by glucose diffusing into the hydrogel and its enzymatic reactions with GOx and HRP was half the time required for resorufin ${\beta}$-D-galactopyranoside (RGB) when used as the substrate for ${\beta}$-Gal. Spatially addressed hydrogel microarrays containing different enzymes were micropatterned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multiple analytes, and glucose and RGB solutions were incubated as substra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no cross-talk between the ${\beta}$-Gal-immobilizing hydrogel micropatches and the GOx/HRP-immobilizing micropatches.

방사선을 이용한 전기 활성 PAAc/PVA/PEG 하이드로겔 소프트 액추에이터의 제조 및 구동 특성 분석 (Synthesis of Electroactive PAAc/PVA/PEG Hydrogel Soft Actuator by Radiation Processing and Their Dynamic Characteristics)

  • 신예린;김소연
    • 공업화학
    • /
    • 제30권6호
    • /
    • pp.698-706
    • /
    • 2019
  • 지난 수십 년 동안, 외부 자극에 대한 응답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 액추에이터 개발을 위한 많은 노력이 이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동역학적 정밀 제어가 가능한 의료용 소프트 액추에이터를 개발하기 위해, 유해한 화학적 첨가제나 개시제 없이 방사선을 이용하여 전기 자극 반응성과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3차원 가교 구조의 poly(acrylic acid) (PAAc)/poly(vinyl alcohol) (PVA)/poly(ethylene glycol) (PEG) 하이드로겔을 합성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모든 하이드로겔은 75% 이상의 겔 분율을 나타내었고, 표면 반사 적외선 분광법을 통해 PAAc/PVA/PEG 하이드로겔이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AAc/PVA/PEG 하이드로겔의 겔 분율, 평형 수분 함량, 압축 강도를 측정하여 감마선의 총 조사 선량과 구성 성분의 함량비 조절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조사된 감마선의 선량이 증가하거나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의 함량이 많을수록 PAAc/PVA/PEG 하이드로겔은 높은 가교 밀도와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PAAc/PVA/PEG 하이드로겔은 3 V의 저전압에서도 전기적인 자극에 반응하였고, 전기장 하에서 이동성 이온의 움직임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밴딩 거동은 하이드로겔의 가교 밀도, 이온기의 함량, 인가 전압 및 전해질 용액의 이온 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교제 변화에 따른 광학용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물성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rosslinker Type on Adhesion Properties of Transparent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Optical Applications)

  • 백승석;장세정;황석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199-203
    • /
    • 2014
  • 아크릴 단량체인 2-ethylhexyl acrylate (2-EHA), 2-hydroxyethyl acrylate (2-HEA), isobornyl acrylate (IBOA)를 광중합을 통하여 3원 공중합체 시럽을 합성하였다. 이관능기 아크릴 단량체인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Mn = 250, 575, 700)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semi-IPN형 감압성 점착제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s)를 UV-광가교 시켜 제조하였다. 가교제 변화에 따른 감압성 점착제의 점착특성, 저장탄성율, 그리고 광학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점착특성과 저장탄성율은 가교제의 화학구조와 분자량에 의존하였다. 광학특성은 모든 감압성 점착제에서 92.5 % 이상의 광투과도 (at 550 nm), 1.0 % 이하의 haze값, 0.3 이하의 색차계값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가교제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조직 확장기용 생분해성 하이드로젤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Hydrogels for Tissue Expander Application)

  • 육군영;김예태;임수진;;;박기남;박정숙;허강무
    • 폴리머
    • /
    • 제34권3호
    • /
    • pp.253-26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조직확장 응용을 위한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하이드로젤을 제조하고, 그 기본특성을 분석하였다. 친수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glycol)의 양 말단에 다양한 몰비의 D,L-lactide와 glycolide를 개환 중합시켜 PLGA-PEG-PLGA 삼중공중합체를 합성한 뒤 비닐기를 도입하여 하이드로젤 제조 시 swelling/degradation controllers(SDC)로 사용하였다. 합성한 SDC와 PEG diacrylate를 사용하여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한 하이드로젤은 건조된 상태에서도 유연하고 탄성을 보였으며 분해테스트에서는 SDC의 조성과 SDC/PEG의 몰비에 따라 다양한 팽윤지연시간과 분해기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기계적 물성과 팽윤압력을 측정하였고, 이식시험을 통해 이식용 하이드로젤을 사용목적에 맞게 이식하거나 삽입하였을 때의 생체 조직의 국소적인 병리적 양상을 육안관찰과 현미경적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UV 경화형 키토산/지방족 폴리에스터 Hydrogel IPN 제조 및 약물투과 (Synthesis, Properties and Permeation of Solutes through Hydrogels based on Poly(ethylene glycol)-co-Poly(lactones) diacrylate Macromers and Chitosan)

  • 조성민;김소연;이영무;성용길;조종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9-230
    • /
    • 1998
  • Triblock copolymers from poly(ethylene glycol) (PEG) and D,L-lactide or $\varepsilon$-carprolactone were synthesized to prepare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semi-IPN) with chitosan by U.V. irradiation method. Then, solute permeation through these semi-IPNs hydrogels were investigated. The structures of semi-IPNs were confirmed by FT-IR spectroscopy and wide angle X-ray diffractometer (WAXD). Equilibrium water content (EWC) of these hydrogels was in the range of 67-75%. The crystallinity, therm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emi-IPNs hydrogels were studied. All the hydrogels revealed a remarkable decrease in crystallinity as compared with PEG macromer itself. The tensile strengths of semi-IPNs hydrogels in dry state were rather high, but those of hydrogels in wet state decreased drastically. The permeabilities of solutes of hydrogels followed the swelling behaviors and were regulated by solute size.

  • PDF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이온성 액체 젤형 고분자전해질의 제조 및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l Polymer Electrolyte from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in Sonic Liquid)

  • 신보라;조미숙;김덕준;심상준;김지흥;이동현;남재도;이영관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216-22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EGDA) 고분자 매트릭스에 이온성 액체인 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 sulfonyl) amide$(BuMeIm^+Tf_2N^-)$로 구성된 전해질 용액을 함유하는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온성 액체가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유기 용매를 넣은 고분자 전해질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ca.\;10^{-3}S/cm)$와 전기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