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3-hydroxybutyric acid)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Haloarcular sp. EH-1으로부터 생분해성 Poly-3-Hydroxyalkanoate의 생산 (Production of Poly-3-Hydroxyalkanhoate by Haloarcular sp. EH-1)

  • 정명주;박형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37-742
    • /
    • 1999
  • 천일염에서 분리된 고호염성균인 Haloarual sp. EH-1으로부터 PHA를 생산하여 PHA의 구조 및 성질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A를 GC chromatogram, IR 및 300MHz H-NMR로 분석한 결과 Haloarcnly sp. EH-1으로부터 추출된 PHA는 3-hydroxybutyric acid와 3-hydroxyvaleric acid 와 3-hydroxyvaleric acid의 중합체인 PBB/HV로 추정되었으며, thermal property는 $152.46^{\circ}C.$ 점도는 1.25dl/g 그리고 분사량은 $1.44 X 10^5$이었다.

  • PDF

Filamentation이 억제된 재조합 대장균에 의한 Poly-3-Hydroxybutyric Acid 합성시 배양온도와 영양분의 영향 (Effect of Growth Temperature and Nutritional Components on the Synthesis of Poly-3-Hydroxybutyric Acid by Filamentation-Suppressed Recombinant Escherichaia coli)

  • 이상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4-620
    • /
    • 1994
  • The effects of growth temperature and nutritional components on the synthesis of poly-3-hydroxybutyric acid, PHB, by filamentation-suppressed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XL1-Blue (pSYL107) were studied. After culturing XL1-Blue(pSYL107) for 48 hours in complex medium at 30$\circ$C, 7Al g/l of PHB could be obtained with the PHB content and PHB yield of 82% and 0.371 g PHB/g glucose, respectively. Lower concentration of PHB(3.2 g/l) was obtained when cultu- red at 37$\circ$C, which seemed to be due to the instability of this strain having amplified FtsZ activity. The PHB concentration of 3.75 g/l was obtained after culturing 60 hours in R medium supplemen- ted with 20 g/l glucose at 30$\circ$C, which was more than twice higher than that obtained with XL1-Blue(pSYL105). This suggested that the enhancement of PHB synthesis by suppressing filamenta- tion was more significant in a defined medium than complex medium. PHB synthesis could be further enhanced by supplementing a small amount of various complex nitrogen sources. When 5 g/l of beef extract was added to a defined medium, PHB concentration, PHB content, and PHB yield obtained after 60 hours of cultivation at 30$\circ$C were 7.46 g/l, 86%, and 0.375 g PHB/g glucose,respectively.

  • PDF

Alcaligenes eutrophus phbCAB Operon의 재조합과 Poly-$\beta$-hydroxybutyric Aicd의 대장균내 축적 (Construction of the Recombinant phbCAB Operon of Alcaligenes eutvtrphus for Accumulation of Poly-$\beta$-hydroxybu tyric Acid in Escherichia coli)

  • 김경태;박진서;이용현;허태린;박해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1-228
    • /
    • 1993
  • In order to achieve poly-beta-hydroxybutyric acid (PHB) production using recombinant DNA in various host bacterial cells, the isolation of genes for PHB biosynthesis was attempted. As a result, a 5.2kb DNA fragment containing phbCAB operon of Alcaligenes eutrophus was isolated by colony hybridization using synthetic oligodeoxyribonucleotides as probes. The constructed recmbinant plasmid pSK(+)-phbCAB operon was transferred to Escherichia coli, and the obtained transformant accumulated considerable amount of PHB.

  • PDF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Molecular Weight of Poly-hydroxybutyric acid (PH B) Produced by Alcaligenes sp. K-912

  • Yeom, Sung-Ho;Yoo, Young-J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210-214
    • /
    • 1994
  • The molecular weight of poly-hydroxybutyric acid (PHB) produced by Alcaligenes sp. K-912 is an important parameter characteriz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the levels of glucose, ammonium, phosphate and amino acids on the molecular weight of PHB were investigated. Molecular weight of PHB by temperature varied in the range of 380,000 to 550,000, 400,000 to 600,000 by glucose, 300,000 to 380,000 by phosphate, 400,000 to 1,000,000 by amino acids, respectively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 PDF

Chitosan 첨가가 Poly(3-hydroxybutyric acid) 필름의 물리적 특성 및 결정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Addition on Physical Properties and Crystallization of Poly(3-hydroxybutyric acid) Film)

  • 김미라;구진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75-481
    • /
    • 2002
  • 분해성 천연 고분자인 PHB와 chitosan을 블렌드하여 필름을 제조한뒤 필름의 결정특성 및 물리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 PHB/chitosan 필름의 X선 회절도 측정에서 상대 결정화도는 chitosan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FT-lR 측정에서는 chitosan 비율이 증가할수록 PHB의 carbonyl기 의 피크가 작아졌다. DSC측정에 의한 필름의 열적 특성에서는chitosan의 첨가로 인해 열안정성과 결정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차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필름의 표면상태에서는 chitosan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입자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름의 물성은 PHB에 대한 chitosan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증가하여 chitosan 첨가로 인해 필름의 물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PHB/chitosan필름의 색도 측정 결과 PHB에 chitosan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은 낮아지고 필름의 투명도는 높아졌다.

Poly(3-Hydroxybutyric Acid)와 Chitosan 블렌드 필름의 기체 투과도, 유지 투과도 및 생분해도 (Gas and Lipid Permeabilities and Biodegradability of Poly(3-Hydroxybutyric Acid)/Chitosan Blend Film)

  • 김미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224-1229
    • /
    • 2004
  • PHB/chitosan 필름의 수분 투과도는 PHB 필름께서 280.25 g/m$^2$ㆍ24 hr로 가장 높았고 chitosan의 함량이 증파할수록 수분 투과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EG가 첨가된 PHB/chitosan 필름에서도 PHB-P 필름의 수분 투과도가 294.5 g/m$^2$ㆍ24 hr로 가장 높았고, chitosan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투과도는 낮아졌다. 산소 투과도의 경우 PHB 필름이 0.026${\times}$$10^{-10}$$cm^3$(STP) cm/$cm^2$ㆍsecㆍcmHg로 가장 높았으며 chitosan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산소 투과도는 낮아졌다. 또한 가소제인 PEG가 첨가되지 않은 필름이 PEG가 첨가된 필름보다 산소 투과도가 더 낮았다. 유지 투과도에서는 PHB와 PHB-P를 제외한 필름들이 24시간동안 유지론 통과시키지 않아 유지 차단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름의 생분해도 측정시 필름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필름이 첨가된 실험군의 산소 소모량이 높아 필름이 생분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필름의 PHB의 비율이 높을수록 분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ducible System을 이용한 재조합 대장균으로부터 광학적으로 순수한 [R]-3-Hydroxybutyric acid 생산 (Production of Enantiomerically Pure [R]-3-Hydroxybutyric acid by Metabolically Engineered Escherichia coli with Inducible System)

  • 이영;최종일;이상엽
    • KSBB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27-330
    • /
    • 2004
  • Inducible system을 이용하여 (R)-hydroxybutyric acid (R3HB)를 생산하는 재조합 대장균을 개발하였다. Ralstonia eutropha에서 유래한 PHB depolymerase 유전자를 inducible promoter에 의하여 발현되게 만들고, PHB 생합성 유전자가 있는 vector에 cloning하였다. PHB 생합성 유전자와 depolymerase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재조합 대장균을 배양하여 먼저 PHB를 축적시킨 후에 depolymerase를 발현시켜 배지 내로 분비된 R3HB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축적된 PHB의 대부분은 발현된 depolymerase에 의하여 분해되었으며, depolymerase의 발현 이후에도 재조합 대장균은 PHB를 축적하고 분해하여 R3HB의 농도는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inducible depolymerase를 갖는 재조합 대장균을 이용하여 높은 농도의 R3IB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Sucrose를 탄소원으로 재조합 대장균에 의한 Poly(3-Hydroxybutyric Acid) 합성시 복합질소원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lex Nitrogen Sources on Poly(3-Hydroxybutyric Acid) Synthesis by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Using Sucrose as a Carbon Source)

  • 이상엽;장호남
    • KSBB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137-142
    • /
    • 1995
  • Sucr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장균 W 를 A. eutrophus PHA 합성 유전자가 cloning된 높 은 복제수의 plasmid pSYL105로 형질전환하여 단 순배지에서 배양시 $0.21g/\ell$ 의 낮은 PHB 농도를 얻었다. 이에 107}지의 복합질소원을 소량 첨가하여 PHB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Tryptone, casamino acids, casein hydrolysate, 혹은 soy bean hydrolysate의 첨가시 PHB 합성 이 10배 이 상 증대되었다. 또한 이때 sucrose로부터의 PHB 수율도 10배 이상 증가하여 이 네 가지 복합질소원 을 척정 농도로 첨가함으로써 sucrose로부터 효과적인 PHB 생산이 가능함을 알았다.

  • PDF

Methanol 자화성 세균 Pseudomonas sp. ILS-003에 의한 $poly-{\beta}-hydroxybutyr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poly-{\beta}-hydroxybutyric$ acid by methanol assimilating bacterium, Pseudomonas sp. ILS-003)

  • 이일석;방원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73-278
    • /
    • 1991
  • Methanol 자화성 세균 Pseudomonas sp. ILS-003 균주를 이용하여 methanol로부터 PHB생산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PHB 생산에 있어서 초기 pH 6.4, 온도 $30^{\circ}C$ 및 methanol 농도가 1.0(v/v)일 때 최적이었으며, 질소원으로는 $(NH_4)_2SO_4$가 최적이었으며 농도는 0.8g/l로서 C/N비가 17.4이었다. 또한 2가 금속이온의 결핍은 PHB축적효과를 나타내었다. Fed-batch culture에서 methanol 첨가의 효과는 0.25%(v/v)씩 첨가했을 때 가장 좋았다. 상기의 최적조건하에서 96시간 배양시 균체량은 2.78g/l였고 PHB의 양은 1.94g/l로서 건조균체량의 69.8%이었다.

  • PDF

Pseudomonas sp. HJ에 의한 포도당으로부터 Poly(3-Hydroxybutyric-Co-3-Hydroxyvaleric) Acid의 생합성에 대한 보조기질의 영향 (Effect of Cosubstrate on tile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ic-Co-3-Hydroxyvaleric) Acid from Glucose by Pseudomonas sp, HJ)

  • 손홍주;고명선이상준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86-592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단일 탄소원인 포도당으로부터 P PHA를 생산하는 콩시균 Pseudomonas sp. HJ를 보다 정확하게 동정하기 위하여 수치분류를 실시하 였으며, 또한 보조기질을 첨가하였을때의 PHB/HV 합성 양상을 검토하였다. Pseudomonas sp. HJ는 각 대조균주들중에서 Pseudomonas picketti와 가장 유 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8.8%). 그러나 수치 분류에 서 통일 균종에 포함될 수 있는 유샤도는 85 % 정도인 것으로 얄려져 있으므로, 본 공시균 P Pseudomonas sp. HJ는 Pseudomonas 속의 다른 종 (species)이거나 새로운 종(species)일 가능성이 높 았다. 보조기 질로 hexadecane과 propionic acid를 각각 0.4%씩 첨가했을 경우, 농도증가에 비례하여 H HV 함량은 점차 증가하여 각각 60.8 mol%, 44.9 mol%까지 축적되었다. PHB/HV내의 HV 함량은 p propionic acid냐 hexadecane의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었다. 보조기질로 propl- onic acid 0.2 %를 대수기 중기 인 배양 18시간에 첨 가하였을때 균체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HV monomer의 비율은 대수기 말기인 배양 24시간대에 첨가하였을때 49.6 mol%로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