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en length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47초

개화 시 기온 및 상대습도가 참외의 화분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uring Flowering on Pollen Germination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임경란;서전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18
    • /
    • 2013
  • 본 연구는 참외 개화시의 기온과 상대습도가 화분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만리장성', '오복꿀' 및 '조은대'의 3 품종을 재료로 하여 개화 시 온도를 $15^{\circ}C$, $25^{\circ}C$$35^{\circ}C$, 상대습도를 30%, 60% 및 90%의 처리를 두고 실험하였다. 기온조건에 따른 화분 발아율은 $25^{\circ}C$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높았고 $15^{\circ}C$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낮은 경향이었으며 품종별 화분 발아율은 '만리장성'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오복꿀'이었으며 '조은대'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화분관 신장길이는 기온조건별로는 $35^{\circ}C$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길었고 다음이 $25^{\circ}C$ 에서 채취한 것이었으며 $15^{\circ}C$에서 채취한 것은 현저히 짧았으며, 품종에 따라서는 '오복꿀'이 가장 길었다. 상대습도 조건에 따른 화분 발아율은 습도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없으나 습도가 높을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품종간에도 큰 차이가 없으나 '만리장성'과 '조은대'에 비해 '오복꿀'에서 낮았다. 그러나 화분관 신장길이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60%의 상대습도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길었으며, 다음이 30%의 상대습도에서 채취한 것이며 90%의 상대습도에서 채취한 것은 현저히 짧았다. 품종별 화분관 신장길이는 '오복꿀'이 가장 길었고 '조은대'가 가장 짧았다.

Interspecific and Intraspecific Variation in Pollen Grains of Quercus Subgenus Lepidobalanus Endl. in Korea

  • Kim, Sang-Yong;Kim, Kae hwan
    • Plant Resources
    • /
    • 제5권1호
    • /
    • pp.17-28
    • /
    • 2002
  • Palynological characters such as pollen grain polar axis length (PL), pollen equatorial diameter (ED), colpus length, colpus width, and P/E ratio of six species of Quercus subgenus Lepidobalanus Endl. from Korea were studied. A significant interspecific variation, unequal distances between the species, and various degree of intraspecific variations were found. The taxonomic value of the pollen morphology parameters measured was found to vary according to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parameters measured and ploidy level of the Quercus species studied.

  • PDF

우리나라 자생나리의 종별 화분형태 분석 (Classification of the Genus Lilium Native to Korea by Pollen Size)

  • 남유경;박기배;이진희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62-65
    • /
    • 2010
  • 한국산 나리속 7종의 화분 관찰에 의한 나리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분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모두 단립(monad)으로 발아구가 한 개인 장형(prolate)을 띠었다. 화분 길이와 폭의 비율은 종별로 차이를 나타내어서 말나리가 2.59로 제일 큰 장타원형을 나타냈고, 하늘말나리는 1.82로서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을 나타냈다. 화분의 길이와 폭은 참나리가 각각 115.90와 $46.54{\mu}m$로 가장 컸으며 하늘말나리는 길이와 폭이 각각 $70.33{\mu}m$$38.72{\mu}m$로 가장 작았다. 외막의 표면 무늬는 망상(reticulate)으로서 망강(lumen)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다각형으로 7종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리속의 종간 분류는 말나리와 중나리가 오차범위 내에서 유사한 화분 크기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나머지 종들의 화분 길이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분의 길이를 통한 나리속의 분류는 외막 모양이나 화분의 단면적보다는 화분 크기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Microspor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Floral Budsize in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Kim, Young-Guk;Son, Seok-Yong;Park, Chung-Heon;Seong, Nak-Sul;Lee, Bo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1-256
    • /
    • 2000
  • Astragalus membranaceus has flowers that are similar to that of the legume family, but shows poor bearing when self-pollination is induced.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bserving the ripening procedure of pistils and stamens and development stages of pollen in the context of the birth and growth of the flower. As to the bearing of the flower of A. membranaceus, few pod setting and 13% pod setting were observed when self-pollination is induced by paper-bag covering or artificial pollination treated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s that A. membranaceus is a cross-pollination plant. A pistil grew faster than a stamen until just before blooming. The flower size was about 17.0mm$\times$4.0mm. Pistils and stamens had the same length after flowering. Pollen mother cells passed through meiosis and mitosis when its length reached around 3.5mm, thus creating the tetrade when 4 mm long. Pollen attained full growth when the bud was about 10mm long. An anther was found to tend to dehisce when the length of a bud reached around 12.0mm. As to the shape of pollen, about 70 % were normal. 1% and 30 % were small or empty pollen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s that pollen of A. membranaceus attains full growth just before anther dehiscence which occurs before blooming while pistils grow faster than stamens until before flowering.

  • PDF

Gynodioecy and floral dimorphism of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ian. (Lamiaceae) in Korea

  • Jang, Tae-Soo;Hong, Suk-Py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2-208
    • /
    • 2011
  •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on the careful investigation of Glechoma longituba flowers collected from four populations in Korea to clarify their precise sexual systems. All floral characters of this taxon were examined by using a stereo microscopy. The nutlet size and production were compared between two distinct morphs (i.e., hermaphrodites and females), and pollen viability test of hermaphrodite and intermediate phenotype (i.e., individuals with a mixture of females and perfect flowers) was also observed by light microscopy (LM). All of the investigated floral characters of G. longitub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sexual morph to another. Hermaphroditic plants were larger than the female ones in corolla width and length, calyx length, filament length, anther length, and style length (all P < 0.0001, respectively). However, the nutlet width of the female plants was larger than those of the hermaphrodites (P = 0.013). Nutlet production of females was higher than hermaphrodites in Na-Ju population [H (Hermaphrodite): ca. 17.76%, F (Female): ca. 37.45%], but in Mun-San popula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sexual morphs (H: ca. 57.52%, F: ca. 53.16%). We hav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ertile pollen grain of hermaphrodite and sterile pollen grain of intermediate phenotype based on pollen size and viabilit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ompensation (flower size dimorphism, seed set, and pollen viability) is one of the main mechanisms in order to maintain female plants in gynodioecious G. longituba.

Effects of Flavonoids on Pollen Tube Growth in Arabidopsis thaliana

  • Kim, Young-Soon;Song, Kyu-Sang;Cheong, Hyeon-Sook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4호
    • /
    • pp.273-278
    • /
    • 1996
  • Arabidopsis mutants deficient in flavonoid and sinapate ester (tt4 and fah1-7, respectively) were evaluated in vivo and in vitro to study the possible role of flavonoid compounds in pollen tube growth. In vivo, we investigated pollen tube growth in the pistils of the mutants and wild type(Ler). The growth of pollen tub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enotypes. In the fal1-7 pistils, the tubes grew to a greater length relative to those of the wild type or tt4. To examine in vitro pollen tube growth, a solid medium was devised for pollen germination and subsequent growth. In vitro, the identical result was obtained; fahl-7 pollens developed the longest tubes and elongated most rapidly. Therefore, the growth response of pollen tubes to phenolic compounds was examined by adding quercetin or sinapate ester in various concentrations to the media. Quercetin enhanced both germination rate and tube growth in the pollens of the mutants and the wild type, especially in tt4. In contrast, sinapate ester inhibits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in three genotyp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avonoids and related phenolic compounds have physiological role in the plant reproductive system.

  • PDF

단일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In Vitro 화분발아에 대한 Boric Acid의 영향 (Effect of Boric Acid on In Vitro Pollen Germination in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Monoclonal Antibodies)

  • 안미현;이경진;고기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339-346
    • /
    • 2007
  • 식물화분발아는 수분수정을 통한 식물의 종자형성과 식물개체의 지속적 세대유지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oric acid를 이용하여 형질전환 하지 않은 (NT) 식물과 항암활성 (anti-colorectal cancer mAb CO17-1A, anti-breast cancer mAb BR55) 혹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항체 (anti-rabies virus mAb57)의 유전인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식물 간의 in vitro pollen germination과 Pollen tube growth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Boric acid의 화분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0, 5, 10, 15, 20, $40{\mu}g/mL$의 농도를 갖는 발아용액 (germination buffer)을 담배식물 화분에 처리하여 pollen germination rate을 본 결과 $20{\mu}g/mL$에서 가장 높게 발아율 (49.5%)을 보였다. Boric acid ($20{\mu}g/mL$)에 대해 형질전환식물과 NT 식물에서 화분발아율을 관찰한 결과, boric acid를 처리하지 않은 화분에 비해 형질전환여부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3-10배 증가하였다. 또한, boric acid $20{\mu}g/mL$농도에서 형질전환식물과 NT 식물의 pollen tube length의 성장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간 별로 형질전환 식물들의 Pollen tube length를 확인 한 결과, germination buffer ($20{\mu}g/mL$)를 처리하고 난 후 3시간까지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였으며, 3시간 후에는 그 성장률이 둔화됨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를 이용하여 식물의 화분과 잎에서 황체유전자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화분과 잎에서의 발현을 비교해 본 결과, 잎에서 항체의 안정한 발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20{\mu}g/mL$의 boric acid가 항체발현 형질전환담배식물의 in vitro pollen germination을 보기 위해 가장 적절한 농도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의료용 항체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식물의 in vitro pollen germination viability를 확인함으로써 형질전환식물의 화분의 안정적인 수분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제시하였다.

야간 저온조건이 파프리카 화분 활력 및 생식기관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Night Temperature on Reproductive Organ Development in Relation to Pollen Viability of Bell Pepper)

  • 임채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81-586
    • /
    • 2009
  • 고랭지 파프리카 재배 초기에 기형과 및 단위결과 과실이 많이 발생하는데 야간 저온이 화분 활력 및 생식기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간 $28^{\circ}C$ 동일 조건에서 야간온도를 $13^{\circ}C$ (LNT)와 $20^{\circ}C$ (ONT)로 달리 처리하여 생장상에서 파프리카(Capsicum annuum cv. Plenty)를 재배하였다. ONT와 LNT에서 화분을 채취하여 10, 15, 20, 25, $30^{\circ}C$에서 발아시켰다. 24시간 후 화분의 활력을 살펴 본 결과, 처리에 관계 없이$25^{\circ}C$ 에서 화분 활력이 가장 좋았고 다음이 $30^{\circ}C$였다. $25^{\circ}C$에서 발아율은 ONT화분이 42%, LNT 화분이 21%였다. 화분관 신장길이는 화분발아 온도에 관계 없이 ONT화분이 가장 길었다. 화분관 신장 속도는 $25^{\circ}C$ 에서 발아시킨ONT화분이 가장 빨랐다. 파프리카가 재배된 ONT와 LNT 조건에서 화분 활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배지에 화분을 치상 후 ONT와 LNT에서 화분발아 시험을 실시하였다. LNT에서는 야간($13^{\circ}C$) 동안 화분이 발아되지 않았지만 주간($13^{\circ}C$)조건으로 전환되자 화분이 발아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ONT에서는 야간($20^{\circ}C$) 초기부터 화분이 발아되기 시작하여 주간($28^{\circ}C$)까지 계속 발아가 진행되었다. LNT에서는 과병길이, 자방지름, 수술길이, 화중 및 과중이 증가하였다. 종자수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LNT처리구에서도 종자가 잘 형성되었던 것은 주간에 수분수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지지만 기형과나 단위결과 발생 방지를 위해서는 화분발아를 저해하는 저온범위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In vitro Pollen Performance of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Temperature and Medium Nutrient Effects

  • Lee, Young-Keun;Kim, Yong-Ok;Booth, Thomas;Lee, Eun J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6호
    • /
    • pp.389-393
    • /
    • 2002
  •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in vitro pine pollen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pollen grains collected at Mt. Kwanak, Korea were used. Thre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ollen storage temperature, pollen culture temperature and nutrient condition in medium,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storage temperature effects on pollen viability, pine pollen was stored at $-70^{\circ}C$, $-12^{\circ}C$, $4^{\circ}C$ and $22^{\circ}C$. Pollen viability was substantially extended at the storage temperatures of $-12^{\circ}C$ and $4^{\circ}C$ for more than 300 days. To elucidate the culture temperature effects on pine pollen germination and tube growth, pollen grains were cultured at the temperatures from $5^{\circ}C$ to $40^{\circ}C$ at $5^{\circ}C$intervals. The germination rate and tube growth were highest at $25^{\circ}C$ and decreased above $30^{\circ}C$. To investigate boron and sucrose effects on pollen tube growth, the pollen was cultured at different sucrose and boric acid concentrations. Germination rate was optimal in germination medium containing 3 or 5$\%$ sucrose with 0.01 $\%$ boric aci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ine pollen can be stored for considerable length of time without noticeable loss of viability at storage temperature below or near $0^{\circ}C$. Optimal germination medium conditions were established for pine pollen. Therefore, pine pollen can be used for many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researches.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는 단풍나무속(屬)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Acer L. in Korea)

  • 김계환;박준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72-486
    • /
    • 1996
  • 한국에서 생육하는 단풍나무속 19종 1변종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에서 생육하는 단풍나무속의 화분에 대하여 4가지형 화분검색표를 작성할 수 있었다. 2. 한국에서 생육하는 단풍나무속의 화분을 발아구 형태와 표면무늬에 의하여 단풍나무형, 청시닥나무형, 네군도단풍형 그리고 설탕단풍형의 4가지 화분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3. 화분립의 발아구 형태는 3구형 또는 3공구형이었으며, 표면무늬는 유선상, 난선상, 망상 등으로 나타났다. 4. 화분형태 parameters의 상관분석 결과, 극축의 길이와 발아구의 길이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