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en germinat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6초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opulus caspica L. × P. deltoids L 62/154 Using in vitro Embryo Development and Germination

  • Ali, Jafari mofidabadi;Mansooreh, Kamandloo;Hamid, Selamt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197-201
    • /
    • 2017
  • Populus. caspica L. is an Iranian indigenous poplar species which natural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part of country. Unfortunately, overuse has removed many of the stems of better form, so that natural stands now usually appear small and crook. Therefore genetic variation for selection of new superior clone of this species is needed. Conventional hybridization system is currently used to induce genetic variation in poplar species but incompatibility barriers have been observed between them. In vitro ovule embryo culture was used to overcome incompatibility obstacle for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opulus caspica L. with Populus deltoids L.62/75. Female flowers of Populus caspica L. have artificially been pollinated with pollen grain of P. deltoides 62/75 in one direction using twig and pot crossing system. Ovaries at different ages (7, 14 and 21 days after pollination) were disinfected through 70% ethanol for 1 minute, 5% of sodium-hypochlorite solution for fifteen min followed by three time rising with sterile distil-water. Isolated ovaries were then transferred to MS hormone free medium containing 30 and 60 g/L sucrose for embryo development and germination.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y two factorial experimental desig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of embryos for development and germination at ${\alpha}=0.01%$. Highest embryo germination (45%) was observed from 21 days old ovari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MS culture media containing 30 and 60 g/L for percentages of ovary-embryo germination and number of germinated embryo per ovary at ${\alpha}=0.05%$. Fourteen percentage of embryo germination obtain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60 g/L sucrose, while only 35% of isolated ovaries were able to germinate in MS containing 30 g/L sucrose. Induced plantlets in 4 cm height were transferred into pots containing soilless (1:1:1 peat, per lit and vermiculite) medium for acclimatization. After successful acclimatization, plants were delivered to nursery.

Lilium Asiatic hybrid 'Tiny Ghost'를 모본으로 한 종간잡종 생산 (Production of Interspecific Hybrids Using Lilium Asiatic Hybrid 'Tiny Ghost' as Female Parent)

  • 서동희;황윤정;박인숙;박송경;정재동;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8-123
    • /
    • 2008
  • 진한 붉은색을 띤 'Tiny Ghost'를 교배모본으로 Oriental group, Longiflorum group 및 Martagon group을 부본으로 하여 효율적인 종간잡종 생산과 상품성 있는 신품종을 획득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개화당일 채취한 화분의 발아율은 Oriental hybrid인 'Sorbonne'이 64%로 가장 높았다. 주두수분법과 화주 절단수분법을 이용하여 수분한 결과, 'Aktiva'를 부본으로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주두수분법을 사용한 교배에서 자방이 생성되었다. 또한 Longiflorum group인 'Norina'와 'Gelria' 중 화분발아율이 높은 'Norina' 가 모두 수정에 실패하여 같은 group 내에서도 종간의 유전적 친화성에 따라 수정률이 달랐다. 'Aktiva'를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 1개의 embryo sac을 적출하여 1개의 구를 생성하였으며, 'Sorbonne'을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는 4개의 ovule을 치상하여 1개의 구를 얻었다. 'Gelria'를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는 1개의 자방에서 embryo 5개, embryo sac 15개, ovule 7개를 얻었으며 그 중 18개체가 발아하여 66.7%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Martagon group인 L. hansonii를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는 5개의 ovule을 얻어 그 중 40%가 발아하였다.

연초 버어리종의 자연교잡율과 종자생산에 관련된 몇가지 요인 (Some Management Practices Affecting Outcrossing and Seed Production in Burley Tobacco (Nicotiana tabacum L.))

  • 정석훈;최상주;조천준;김대송;조명조;이승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6-131
    • /
    • 1996
  • In this study effects of isolation distance, transplanting time of maternal plants, and bagging of flower head with the gauze-cloth bag on the outcrossing of burley tobacco (Nicotiana tabacum L.) were investigated. Also the effect of fertilizer level and control of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on seed production and quality were examined. A male sterile line. produced 0.3 to 3.8 capsules Per plant when it was Planted with normally flowering tobacco with the average outcrossing of 7.2 plants, ranging from 2 to 18 out of 20 plants. With the farther the isolation distance between maternal plants and pollen donor plant, the lower the outcrossing occurred. Outcrossing occurred even at the isolation distance of 312 m. When the maternal plants were transplanted 35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pollen donor ones, the outcrossed plants were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bagging of the flower head with the gauze-cloth bas (#0.9∼ 1.0 mm) decreased the outcrossed plants significantly, but couldn't prevent the outcrossing completely. The seed amount per plant was higher in the highly fertilized cultivation. The number of seed capsules per plant affected significantly on seed yield and quality. When the seed capsules was controlled by 30 or 50 capsules per plant, the weight of 1,000 seeds and germination rate were higher than those with 70 or 90 capsules per plant. Key words : Nicotiana tabacum, outcrossing, bagging.

  • PDF

BREEDING EXPERIMENT ON MUTATION INDUCTION BY IRRADIATION (2) Effects of X-ray and Thermal Neutron Irradiation on Dry Seeds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 Kim, Dawng Woo;Kim, Yang Choon;Cho, Mi Kyu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5권1호
    • /
    • pp.1-6
    • /
    • 1962
  • 1) Germination rate was rather irregular than decreasing as increasing dose of radiation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Kyong-Sam and Chuong-Bang of Chinese cabbage. 2) In R1 generation, abnormal leaves from seedling of irradiated seeds were observed. These were more apparent in X-ray irradiation than in thermal neutron. 3) Seedling height was inhibited with increasing dose of X-ray and thermal neutrons. Growth inhibition was more remarkable in X-ray than in thermal neutron. Kyong-Sam demonstrated more sensitivity than Chyong-Bang in both X-ray and thermal neutron. 4) Seedling height produced from seeds subjected to thermal neutrons showed small variation around its mean value, while in X-irradiation there was a greater deviaton from the mean value. 5) Fertility was decreased as increasing with dose, while the frequency of abortive pollen was increased. There were variability of the fertility and frequency of abortive pollen among plants or branches of a plant. 6) The mutants were obtained more in thermal neutron irradiation than in X-ray. The types of mutations obtained in Chinese radish of R2 generation were abnormal leaf, densely glowing leaf, degeneration in growing point and dwarf. The maximum frequency of phenotypic mutations was abnormal leaf mutation.

  • PDF

체세포 염색체 배가법을 이용한 백합 OA 종간 잡종의 불임극복과 후대획득 (Overcoming F1 Sterility of Intersectional OA Lily Hybrids by Somatic Chromosome Doubling and Production of Subsequent Progeny)

  • 정미영;정재동;지선옥;;임기병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03-108
    • /
    • 2004
  • 본 연구는 나리의 종간잡종 육성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Oriental과 Asiatic 잡종 (OA-hybrid) 의 후대 획득에 필요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이다. 체세포 배수화를 통한 이질 4배체 OA-hybrid 3계통으로 화분발아 실험을 수행한 결과, 0-80% 범위로 계통간 차이가 현저하였다. 이질 4배체 OA-hybrid를 자방친 또는 화분친으로 사용하고 Asiatic 또는 Oriental hybrid와 교배시 후대 획득수에 차이가 있었는데 4배체 OA-hybrid를 화분친으로 이용하였을 때, 그리고 상대친을 Asiatic hybrid로 교배하였을 때 후대획득이 현저히 용이하였다. 그러나, 이질 4배체 F$_1$ OA-hybrid를 자방친으로 사용하거나 Oriental hybrid와 교배하면 후대 획득률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또는 전혀 후대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질 4배체 F$_1$ OA-hybrid와 교배시 상대친의 ploidy level은 4배체 보다는 2배체가 유리하였다.

인위배수성임목(人爲倍數性林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V -Colchitetraploids Pinus densiflora의 외부형태(外部形態)에 대(對)하여 (Studies on Artificial Polyploid Forest Trees V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Colchitetraploids Pinus densiflora)

  • 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7
    • /
    • 1968
  • 본(本) 실험(實驗)은 적자(積子) Colchicine 처리(處理)로 획득(獲得)된 10년생(年生) 4배체(倍體) 소나무에 대(對)하여 교잡(交雜)에 의(依)한 유용(有用)한 동이질배수체(同異質倍數體)를 육성(育成)한 목적(目的)으로 세포학적(細胞學的) 관찰(觀察)을 행(行)하는 동시(同時)에 그의 형태적(形態的)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연구(硏究)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유엽기부(幼葉基部) 염색체수(染色體數)는 대조목(對照木)은 2n=24 변이체(變異體)는 2n=48로 4배체(倍體)임을 확인(確認)하였다. 2. 침엽(針葉)의 착생밀도(着生密度)는 소(疎)하고 비후(肥厚)하다. 총합엽(總合葉)은 2%가량(可量) 발생(發生)하였다. 3. 침엽중앙부위(針葉中央部位)의 기공대수(氣孔帶數)는 개체(個體)에 따라 차(差)가 있으나 2배체(倍體)와 대차(大差)없고 공변세포(孔邊細胞)의 장경(長徑)은 36% 증대(增大)하고 있다. 4. 웅화(雄花)는 정상적(正常的)으로 발육(發育)하였으며 장경(長徑)의 크기는 2배체(倍體)와 별차(別差)없고 화분립(花粉粒) 크기는 약(約) 20% 증대(增大)하였다. 5. 화분(花粉)의 배양기상(培養基上)에서 발아율(發芽率)은 치상후(置床後) 17시간(時間)까지는 2배체(倍體)에 비(比)하여 증진(增進)하나 26시간후(時間後)에는 저하(低下)하였다. 연(然)이나 각(各) 치상시간별(置床時間別) 화분관(花粉管)의 최장관(最長管)의 길이는 2배체(倍體)보다 장(長)하게 발육(發育)하였다.

  • PDF

딸기 내저온성 품종육성에 적합한 교배조합 선발 (Selection of Cross Combination for Development New Cultivar of Low Temperature Tolerant in Strawberry)

  • 이선이;김승유;김대영;정호정;노일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45-52
    • /
    • 2016
  • 딸기의 내저온성 품종육성을 위한 우수 교배친 선발을 위해 '다홍', '감홍', '매향', '설향'을 자방친으로 이용하고 '다홍', '감홍', '매향', '설향', '수경', '선홍', '원교3111호' 등을 화분친으로 하여 24조합을 작성하고 조합능력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방친을 '다홍'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전체조합에서 과중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감홍'은 생존율이 낮아 두 품종은 자방친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친에 있어서도 '선홍'을 화분친으로 이용한 경우 경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수경'은 기형과가 다소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화분친으로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매향'과 '설향'을 자방친으로 이용할 경우 발아율과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과실품질이 우수하고 수량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향'과' 설향'이 자방친으로 우수하였고, 화분친으로는'매향', '설향', ' 원교3111호' 등이 우수하였다. 특히, '매향' × '설향', '설향' × '매향', '설향' × '원교3111호' 조합은 당도, 과실크기, 경도, 수량성 측면에서 우수성이 인정되기 때문에 내저온성 교배조합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LM콩과 야생콩인 돌콩의 교잡후대종 종자의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Soybean Hybrid Seeds Resulted from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LM Soybean and Wild Soybean)

  • 박해림;육민정;김도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96-202
    • /
    • 2016
  • 국내에는 야생콩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LM콩으로부터의 야생콩으로 유전자 이동으로 인한 교잡후대종에 관한 연구는 국내 콩 다양성 보전과 LMO 안전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LM콩과 일년생 야생콩인 돌콩의 교잡후대종 종자의 형태적 및 발아 휴면특성을 평가하여 교잡후대종의 잡초화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잡 1세대의 경우 형태적으로 돌콩과 매우 유사하며, 발아휴면특성 또한 모본인 돌콩과 유사하여 휴면성이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교잡 2세대 종자는 형태적 특성과 발아휴면특성이 부모종의 중간적인 특성을 지니며 모본인 돌콩에 보다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F2의 휴면율은 65.5%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아 잡초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내 농업환경에서 교잡후대종이 잡초화 되려면 11월 이후에 탈립된 종자가 토양 중에서 월동하여 종자 활력을 유지하고, 휴면이 타파된 후 발아하여 자연 생태계에서 다른 재배종 및 야생종들과 경합하여 생존 및 세대진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LM콩 및 야생콩 간 교잡후대종의 명확한 잡초화 가능성은 종자의 월동성,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성 평가 등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면밀히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