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en germinat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5초

자당과 붕산이 구기자 화분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crose and Boric Acid on In Vitro Pollen Germination of Boxthorn (Lycium chinense M.))

  • 김수동;민병훈;윤화모;이옥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48-352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crose, boric acid, and calcium nitrate in optimum pH and relative humidity on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of boxthorn (Lycium chinense M.). Medium containing 100mg/L of $H_3BO_3$ showed maximum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elongation, 64.8% and $920{\mu}m$. Additionally supplied calcium nitrate to the medium lowered pollen germination rate and pollen tube elongation. Here we report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development was observed at 10% sucrose, 1.0% agar, pH 6.0, and 100% relative humidity.

더덕의 花粉發芽에 관한 溫度와 培地條件 (Factors Influencing Pollen Germination in vitro of Codonopsis lanceolata)

  • 김학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6-110
    • /
    • 1998
  • Th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 to obtain the fundatmental data of optimum germination condition and to establish storage time for artificial pollinationin Codonopsis lancelata pollen. In vitro condition for germination of freshly collected and stored pollen were examined. The optium temperature for germination of fresh pollen was $25^{\circ}C$. The optium sucrose concentration in the medium ranged from 30 to 40 % and optium pH 6.0% for pollen germination. The rate of pollen germination accelerated considerably in the medium with 1% agar. 30% sucrose, and pH 6. C. lanceolata pollen remained viable for 15 days when stored at 5$^{\circ}C$ with silica gel as desiccant.

  • PDF

희귀.멸종위기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화분의 최적 발아 조건 (Optimal Condition for Pollen Germination of Rare and Endangered Forsythia saxatilis)

  • 한심희;강혜진;김길남;김두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136-142
    • /
    • 2013
  •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Nakai)의 개화와 결실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개화 생리의 기초 연구로서 산개나리 화분의 적정 발아 조건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산개나리의 화분 시료는 3월말부터 4월 초 개화시기에 맞춰 채취하였다. 산개나리 화분의 적정 발아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최적 배양 온도, 배지 설탕 농도 및 배양 시간을 먼저 선정한 후, 가장 적당한 배지 pH를 결정하였다.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은 발아 온도, 배지 설탕 농도 및 발아 시간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발아 온도와 발아 시간, 발아 온도와 배지 설탕 농도 및 발아 시간과 배지 설탕 농도 간에 상호 효과가 나타났다. 산개나리의 화분 발아율은 $10^{\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배지 설탕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은 증가하였으나, 발아 시간과는 상관이 없었다. 또한, 15% 이상의 설탕 농도에서는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화분 살포 후 24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에도 화분 발아율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화분 발아율은 pH 5에서 20.8%로 가장 높았으며, pH 6에서 3.8%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산개나리 화분의 적정 발아 조건은 발아 온도 $10^{\circ}C$, 배지 설탕 농도 15% 및 배지 pH 5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분 발아 조사는 화분 살포 24시간 후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vitro Pollen Performance of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Temperature and Medium Nutrient Effects

  • Lee, Young-Keun;Kim, Yong-Ok;Booth, Thomas;Lee, Eun J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6호
    • /
    • pp.389-393
    • /
    • 2002
  •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in vitro pine pollen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pollen grains collected at Mt. Kwanak, Korea were used. Thre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ollen storage temperature, pollen culture temperature and nutrient condition in medium,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storage temperature effects on pollen viability, pine pollen was stored at $-70^{\circ}C$, $-12^{\circ}C$, $4^{\circ}C$ and $22^{\circ}C$. Pollen viability was substantially extended at the storage temperatures of $-12^{\circ}C$ and $4^{\circ}C$ for more than 300 days. To elucidate the culture temperature effects on pine pollen germination and tube growth, pollen grains were cultured at the temperatures from $5^{\circ}C$ to $40^{\circ}C$ at $5^{\circ}C$intervals. The germination rate and tube growth were highest at $25^{\circ}C$ and decreased above $30^{\circ}C$. To investigate boron and sucrose effects on pollen tube growth, the pollen was cultured at different sucrose and boric acid concentrations. Germination rate was optimal in germination medium containing 3 or 5$\%$ sucrose with 0.01 $\%$ boric aci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ine pollen can be stored for considerable length of time without noticeable loss of viability at storage temperature below or near $0^{\circ}C$. Optimal germination medium conditions were established for pine pollen. Therefore, pine pollen can be used for many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researches.

발아온도 및 Spermine, Putrescine이 딸기의 화분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Temperature, Spermine and Putrescine on Pollen Viability of Strawberry)

  • 이정은;김현도;제병일;이용재;박영훈;최영환;손병구;강남준;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5-421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treatment of polyamine to promote pollen germination and improve the fruiting rate by overcoming fertilization defects in low-temperature strawberry cultivation. The optimum temperature for pollen germination of strawberries was 30 ℃ for Seolhyang and 25 ℃ for Maehyang, and Seolhyang had a higher pollen germination rate than that of Maehyang. The addition of polyamines, namely spermine and putrescine to the medium improved the pollen germination rate and spermine treatment showed a better effect than putrescine treatment. The proper polyamine type and treatment concentration for enhancing the potency of pollen germination was 500 μM of spermine for both Seolhyang and Maehyang, which improved the pollen germination rate by 19-23%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However, combined treatment of spermine and putrescine, resulted in a lower germination rate lower than that of the single treatment.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eatment of polyamines during flowering in protected cultivation of strawberrise can improve the fruiting rate by overcoming the problem of poor pollen germination due to low temperature.

개화 시 기온 및 상대습도가 참외의 화분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uring Flowering on Pollen Germination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임경란;서전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18
    • /
    • 2013
  • 본 연구는 참외 개화시의 기온과 상대습도가 화분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만리장성', '오복꿀' 및 '조은대'의 3 품종을 재료로 하여 개화 시 온도를 $15^{\circ}C$, $25^{\circ}C$$35^{\circ}C$, 상대습도를 30%, 60% 및 90%의 처리를 두고 실험하였다. 기온조건에 따른 화분 발아율은 $25^{\circ}C$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높았고 $15^{\circ}C$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낮은 경향이었으며 품종별 화분 발아율은 '만리장성'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오복꿀'이었으며 '조은대'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화분관 신장길이는 기온조건별로는 $35^{\circ}C$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길었고 다음이 $25^{\circ}C$ 에서 채취한 것이었으며 $15^{\circ}C$에서 채취한 것은 현저히 짧았으며, 품종에 따라서는 '오복꿀'이 가장 길었다. 상대습도 조건에 따른 화분 발아율은 습도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없으나 습도가 높을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품종간에도 큰 차이가 없으나 '만리장성'과 '조은대'에 비해 '오복꿀'에서 낮았다. 그러나 화분관 신장길이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60%의 상대습도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길었으며, 다음이 30%의 상대습도에서 채취한 것이며 90%의 상대습도에서 채취한 것은 현저히 짧았다. 품종별 화분관 신장길이는 '오복꿀'이 가장 길었고 '조은대'가 가장 짧았다.

단일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In Vitro 화분발아에 대한 Boric Acid의 영향 (Effect of Boric Acid on In Vitro Pollen Germination in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Monoclonal Antibodies)

  • 안미현;이경진;고기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339-346
    • /
    • 2007
  • 식물화분발아는 수분수정을 통한 식물의 종자형성과 식물개체의 지속적 세대유지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oric acid를 이용하여 형질전환 하지 않은 (NT) 식물과 항암활성 (anti-colorectal cancer mAb CO17-1A, anti-breast cancer mAb BR55) 혹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항체 (anti-rabies virus mAb57)의 유전인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식물 간의 in vitro pollen germination과 Pollen tube growth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Boric acid의 화분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0, 5, 10, 15, 20, $40{\mu}g/mL$의 농도를 갖는 발아용액 (germination buffer)을 담배식물 화분에 처리하여 pollen germination rate을 본 결과 $20{\mu}g/mL$에서 가장 높게 발아율 (49.5%)을 보였다. Boric acid ($20{\mu}g/mL$)에 대해 형질전환식물과 NT 식물에서 화분발아율을 관찰한 결과, boric acid를 처리하지 않은 화분에 비해 형질전환여부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3-10배 증가하였다. 또한, boric acid $20{\mu}g/mL$농도에서 형질전환식물과 NT 식물의 pollen tube length의 성장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간 별로 형질전환 식물들의 Pollen tube length를 확인 한 결과, germination buffer ($20{\mu}g/mL$)를 처리하고 난 후 3시간까지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였으며, 3시간 후에는 그 성장률이 둔화됨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를 이용하여 식물의 화분과 잎에서 황체유전자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화분과 잎에서의 발현을 비교해 본 결과, 잎에서 항체의 안정한 발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20{\mu}g/mL$의 boric acid가 항체발현 형질전환담배식물의 in vitro pollen germination을 보기 위해 가장 적절한 농도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의료용 항체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식물의 in vitro pollen germination viability를 확인함으로써 형질전환식물의 화분의 안정적인 수분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제시하였다.

각종 살균제(殺菌劑)가 주요과수(主要果樹)의 화분발아(花粉發芽) 및 화분관신장(花粉管伸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Various Fungicides on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in Some Fruit Trees)

  • 구자형;이재창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7-14
    • /
    • 1978
  • 각종(各種) 살균제(殺菌劑)가 주요과수(主要果樹)의 화분발아(花粉發芽) 및 화분관신장(花粉管伸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Difolatan-wp, Lime-Sulfur, Captan-wp, Bordeaux액(液)은 화분발아(花粉發芽) 현저(顯著)히 억제(抑制)시켰다. 2. Daconil-wp과 Zimaneb-wp가 미치는 영향(影響)은 Difolatan-wp등(等)에 비(比)하여 다소(多少) 가벼웠다. 3. Polyram-combi-wp, Topsin-wp, Benlate-wp는 발아(發芽)를 억제(抑制)하지 않았으나 화분관신장(花粉管伸長)을 다소(多少) 저해(沮害)하였다. 4. Polyoxin-wp는 오히려 화분관신장(花粉管伸長)을 촉진(促進)시켰다. 그러나 발아율(發芽率)의 증가는 없었다.

  • PDF

장미 교배 효율 증대를 위한 화분 임성 검정 (An Increment of Crossing Efficiency with Consideration of Pollen Viability Analysis in Rose)

  • 황윤정;송창민;권민경;김성태;김원희;한윤열;한태호;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8권3호
    • /
    • pp.193-200
    • /
    • 2010
  •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장미 재배종은 오랜 기간 동안 종간교잡과 종내교잡을 통해 선발되어 온 것으로서 대부분이 이형잡종의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어 발아율이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배를 위해서는 화분의 활력 검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염색액과 발아배지를 이용하여 7품종의 화분 임성율과 발아율 검정하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화분의 크기, 배수성 및 교배조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화분 임성율은 '스칼렛미미'가 82%로 가장 높았으며 '피노키오'가 39%로 가장 낮았다. 발아율 관찰 결과 '스칼렛미미'가 41%로 가장 높았으며 '미니로사'가 1%로 가장 낮았다. 화분의 크기를 관찰한 결과 화분은 큰 화분과 작은 화분으로 구분되었으며 화분의 직경은 각각 $41.3-45.4{\mu}m$$30.7-37.4{\mu}m$로 관찰되었으며 화분의 크기는 10-40%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의 크기와 염색체 전체 길이의 합을 비교한 결과 염색체 크기와 화분의 크기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배조합 검정 결과 착과율과 발아율은 화분 발아율, 임성률 및 배수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Lisianthus 화분의 기내배양 및 Agroinfiltration에 의한 형질전환 (In Vitro Culture and Transformation by Agroinfiltration of Lisianthus (Eustoma russellianus) Pollen)

  • 박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018-1022
    • /
    • 2004
  • Agrobacterium을 이용한 lisianthus화분의 형질전환을 위하여 적정조건을 수립하였다. 화분의 발아 및 화분관의 발달은 화분발아배지(pollen germination medium; PCM)에 sucrose를 $7-15\%$ 첨가 시키고 pH조건을 5.5-7.0으로 조절하여 $20^{\circ}C-27^{\circ}C$에서 배양할 경우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형질전환을 위하여 Agrobacterium 현탁액을 lisianthus화분배양액에 첨가하여 진공침윤을 20 min실시하였으며 형질전환화분은 조직화학적 분석 그리고 발현되는 GUS mRNA를 이용한 RT-PCR 및 Southern hybridization에 의한 DNA산물 분석 등에 의하여 GUS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화분을 이용한 일시발현기술을 제시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