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tical diplomacy of north kore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최근 북한정보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North Korea Information Research Trend in Korea)

  • 명재진;이한태
    • 정보화정책
    • /
    • 제22권1호
    • /
    • pp.3-27
    • /
    • 2015
  • 본 연구는 북한정보 연구와 관련된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국내 연구 400편들을 분석하였다. 최근 북한정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그 내용상 범주 또한 특정 분야로 한정해야 함에 따라 분석대상이 되는 연구 분야를 북한의 정치 외교, 경제, 군사, 사회 문화, 인권의 5개 분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비교 하였다. 각 분야별 연구실적은 대체로 20%내외로 분포되어있어 북한에 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발간유형별로 보면 연구논문뿐만 아니라 학위논문과 단행본의 연구건수도 북한이외의 다른 정보 분야의 연구동향과 달리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과거에 정치나 군사 분야가 북한관련 주된 연구영역이었던 경향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 다양해진 북한에 대한 연구는 환영할만한 일이지만 향후 보다 더 질적인 성장이 필요하며 북한정보에 대한 신뢰성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Nuclear Weapons Deployment and Diplomatic Bargaining Leverage: The Case of the January 2018 Hawaiian Ballistic Missile Attack False Alarm

  • Benedict E. DeDominicis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10-134
    • /
    • 2023
  • North Korea's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nuclear weapons increases Pyongyang's diplomatic bargaining leverage. It is a strategic response to counteract the great expansion in US leverage with the collapse of the USSR. Post-Cold War American influence and hegemony is justified partly by claiming victory in successfully containing an allegedly imperialist Soviet Union. The US created and led formal and informal international institutions as part of its decades-long containment grand strategy against the USSR. The US now exploits these institutions to expedite US unilateral global preeminence. Third World regimes perceived as remnants of the Cold War era that resist accommodating to American demands are stereotyped as rogue states. Rogue regimes are criminal offenders who should be brought to justice, i.e. regime change is required. The initiation of summit diplomacy between US President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occurred following the January 2018 Hawaiian ballistic missile false alarm. This event and its political consequences illustrate the efficacy of nuclear weapons as bargaining leverage for so-called rogue actors. North Korea is highly unlikely to surrender those weapons that were the instigation for the subsequent summit diplomacy that occurred. A broader, critical trend-focused strategic analysis is necessary to adopt a longer-term view of the on-going Korean nuclear crisis. The aim would be to conceptualize long-term policies that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nuclear weapons capability becomes a largely irrelevant issue in interaction between Pyongyang, Seoul, Beijing and Washington.

한국의 대 아프리카 공공외교: 전략과 방안 그리고 경제 연계에 미치는 영향 (Korea's Public Diplomacy Policy towards Africa: Strategies, Instruments and Its Implications on Economic Linkages with Africa)

  • 오치엥 하가이 케네디;이팟 타히라;김성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2-333
    • /
    • 2020
  • 아프리카의 독립국가 출현과 함께 한국과 아프리카의 관계는 시작되었지만 외교적 교류는 완성된 모습보다는 불규칙적이며 비정규적 교류가 이어지는 듯한 모습을 보여왔다. 최근 들어 한국정부는 아프리카와의 관계 개선을 위하여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 아프리카 공공 외교의 여러 전략과 방안들을 살펴보면서 어떻게 한국과 아프리카간의 상호이익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한다. 한국의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은 북한의 안보위협과 시장다변화 그리고 미국과 중국 등 강대국과 마찬가지로 아프리카 대륙 차원의 에너지 자원에 대한 관심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이 아프리카에 적용하는 혼합적 공공외교 전략과 방안은 다양한 형태의 결과물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2000년대 말부터 한국과 아프리카의 경제적 연계는 한층 강화되고 있다. 미래에도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의 대 아프리카 공공 외교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A Study on the Terminological Heterogeneity in Chemistr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Park, Eunmi;Ko, Youngjoo;Choe, Hochull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3호
    • /
    • pp.294-315
    • /
    • 2021
  • Since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 1945, there has been little exchange in science and technology, despite some interchange in a few fields including the chemistry area. Accordingly, the difference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erminology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come intensified. This is because North Korea carried out a campaign to purify the Korean language and blocked the inflow of foreign words. They also tried to convert into their own North Korean terms in many fields. This circumstance in North Korea aggravated the heterogeneity of inter-Korea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erms. In particular, the heterogeneity of chemical terminology has worsened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don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 Soviet Union in North Korea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different way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chemical terminology data used in two Koreas and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Korean terminology in the chemical field, it can be possible to recognize how the chemical terms between the two Koreas have changed since the division and the degree of heterogeneity based on different technical systems and language policies. The outcome of this study would present basic data on the unification of chemical terminology in preparation for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and contribute to communication and academic exchange between researchers in the inter-Korea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fields, including chemistry.

Distant Partners: The Coverage of the Koreas in Poland

  • Marczuk, Karina Paulina;Lee, Hyelim;Gluch, Sylwia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20권1호
    • /
    • pp.44-72
    • /
    • 2021
  • This study analyses North and South Koreas' coverage as framed by the main Polish press titles from 1989 to 2019. The main method applied is a computational textual analysis of press articles based on frequency, correlations and co-occurrences. The purpose is to map the topics of the examined articles in the context of relations between Poland and the two Koreas in various areas, predominantly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Emphasis is placed on the impact the carmaker Daewoo's investment in Poland in the mid-1990s had on bilateral Polish-South Korean relations. First, the authors argue that Korean issues in the Polish press, mainly in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particularly concerned economic affairs. Secondly, they argue that after Poland's accession to the European Union in 2004, the country's interest in the two Koreas decreased, and since that time has remained at a more or less constant level. Finally, the authors discus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in the context of the main developments in Polish-Korean relation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sults of a Polish public opinion survey presenting the international linkages between national public opinion and foreign policy.

대북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사업 모니터링 여건평가 (Evaluating Monitoring Condition for Forest Carbon Offset Project to Demonstrate CSR in North Korea)

  • 주승민;허만호;김종달;엄정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1-20
    • /
    • 2015
  • 모니터링은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핵심요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여건에 대한 모니터링이 잘못되었을 경우, 입증수단과 방법을 사전에 점검하여 리스크와 불확실성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탄소상쇄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입증책임에 관련된 쟁점들을 사전에 점검하고자 백두산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여건(사업대상지의 적합성, 산림 바이오매스 성장에 따른 탄소축적, 바이오매스의 손실, 삼림 전용 및 훼손 여부, 환경, 사회, 경제적 영향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평가하였다. 인공위성 영상은 백두산의 산림현황을 가시적인 기록으로 제시하였는데, 대북 산림탄소상쇄사업에서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표를 대부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북한에서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수행하려는 한국기업에게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기 대응 간 대공무기 파편에 의한 피해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Damage by Anti-aircraft Debris between the Response of Unmanned Aircraft)

  • 김세일;신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8
    • /
    • 2020
  • 적 무인기가 거대 도시지역에 침투 시 다양한 형태의 대공화기들이 넓은 지역에 배치되어 대응한다. 대공무기의 특징상 다량으로 비행체에 대해서 사격함으로 명중탄을 제외한 잔여탄은 자체 폭발 후 다양한 크기의 파편으로 낙하한다. 파편이 지상으로 낙하하면서 인명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임계속도, 파편질량, 파편 초기속도, 물체충돌 속도 등 4가지 요소를 도출하여 대공포와 유도무기로 구분하여 피해율을 분석하였다. 앞으로 북은 비대칭전력인 무인기를 활동하여 수도서울에 대한 침투가 예상됨으로 대응 간 인명 피해 최소화를 위해 사전 피탄지역과 사격제한지역을 설정해 둠으로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