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arization sensitivity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son with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Polymers

  • Choi, Chil-Nam;Yabg, Hyo-Kyung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88-190
    • /
    • 2001
  • We carried out to measure the variations of potential with current density polymers. The results were particularly examin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n corrosion potential and corrosion rate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and pH. The Tafel slope for anodic dissolution was determined by the polarization effect depending on these conditions. The optimum conditions were established for each case. The second anodic current density peak and maximum passive current density were designated as the relative corrosion sensitivity($I_{r}I_{f}$).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 value (${\alpha}$) was determined with the Tafel slope for anodic dissolution based on the polarization effect with optimum conditions.

  • PDF

I/Q 변조 풀이 방식의 헤테로다인 간섭계를 이용한 미소 전기장 및 복굴절 측정 (A new, hybrid, heterodyne, fiber-optic electric field sensor scheme and its applications)

  • 윤신영;조규만;이용산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1-164
    • /
    • 1997
  • 편광유지 광섬유를 이용한 주파수가 안정화된, 두 개의 서로 수직으로 편광된 종모우드를 갖는 He-Ne레이저 빛을 LoTa $O_{3}$ 위상변조기로 구성된 센서부(sensor head)로 전달해 줌으로써 원격에서 전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hybrid, heterodyne 간섭식 센서를 구성하였다. In/quadrature-phase위상변조풀이 방식을 이용하여 전기광학 효과에 의해 서로 수직으로 편광된 두 모우드 사이에 유도된 위상차이를 측정함으로써 항상 높은 검지율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장 센서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광학 물질에 유도된 복굴절도 측정을 할 수 있었다.

  • PDF

편광 유지 광섬유를 이용한 Bragg Grating 센서 제작 (Fiber Bragg grating sensor using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

  • 김철진;박태상;이상배;최상삼;정해양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415-419
    • /
    • 1997
  • 광섬유 격자는 외부의 가해진 물리량에 대해 선형적인 응답을 하며, 광섬유 격자의 파장 인코딩 특성으로 인해 S/N비가 높은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편광 유지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압력 센서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편광 유지 광섬유 격자는 위상 마스크를 이용하여 Bow-Tie형 광섬유에 형성시켰는데, 편광 유지 광섬유는 두 개의 고유 편광 축을 가지므로 두 개의 브래그 peak을 가진다. 종방향 스트레인과 온도 변화에 따른 두 개의 브래그 파장 변화를 측정한 결과 각각 1.2 pm/.mu..epsilon.의 종방향 스트레인에 대한 파장 민감도와 11.4 pm/.deg. C의 온도에 대한 파장 민감도가 관측되어, 단일 모드 광섬유 격자의 보고된 값과 거의 일치하였다. 반면에 편광 유지 광섬유 격자에 횡방향 스트레스를 가하면 두 브래그 파장사이의 간격이 변화함을 관측하였고, 두 브래그 파장 간격에 대하여는 14.6 pm/N의 횡방향 스트레스에 대한 파장 민감도를 얻었다. 편광 유지 광섬유 격자 센서는 온도의 변화에 무관한 횡방향 스트레스 즉, 압력센서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New generation of imaging colorimeter and imaging polarimeter

  • Boher, Pierre;Leroux, Thierry;Glinel, David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453-456
    • /
    • 2009
  • We present a new generation of imaging colorimeter that ensures improved accuracy and sensitivity for shorter measurement times. The imaging optics is telecentric on the sensor and allows measurements at any distances without additional calibration. A new technology is used to make the color filters and flat densities. Imaging polarimetry at fixed wavelength is also possible with the same instrument.

  • PDF

평면 광도파로 기반의 소산파 집적광학 바이오센서의 감지도 최적화에 관한 정규화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rmalized Analysis of Sensitivity Optimization of Evanescent-Field, Integrated-Optic Biosensor based on Planar Optical Waveguide)

  • 정홍식
    • 센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30
    • /
    • 2018
  • Closed-form analytical expressions and 3-dimensional normalized charts for the homogeneous sensing and surface sensing structures are derived to provide the conditions for the maximum sensitivity of integrated-optic biosensors based on evanescent-wave and stepindex planar optical waveguides. The analysis is made for transverse electric (TE) polarization mode, in both cases where the measurand is homogeneously distributed in the cover (namely, homogeneous sensing), and where it is an ultrathin film on the waveguide-cover interface (namely, surface sensing).

자외선조사에 의한 다공질 실리콘 알코올 센서의 감도 개선 (Improvement of Sensitivity in Porous Silicon Alcohol Gas Sensors by UV Light)

  • 김성진;최복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48권9호
    • /
    • pp.676-680
    • /
    • 1999
  • To do breath alcohol measurement, a sensor is necessary that it can detect low alcohol gas concentration of 0.01% at least. In this work, a capacitance-type alcohol gas sensor using porous silicon layer is developed to measure low alcohol gas concentration. The sensor using porous silicon layer has some sensitivity at room temperature by very large effective surface area, but there is still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experiment, we measured the capacitance of the sensor under 254 nm UV light on the porous silicon layer, in which alcohol solution was kept in a flask at 25, 35, and $45^{\circ}C$ by a heater. As the result, the improvement of sensitivity by illuminating UV light was observed. The increasing rate of the capacitance was shown to be double more than those measured under UV-off state. It is supposed that UV light activates response of the oriental and interfacial polarizations which have slow relaxation time for AC field.

  • PDF

측면 연마 광섬유와 결합된 상부 도파로의 클래딩을 이용한 편광 무의존 온도센서 (Polarization-independent temperature sensor using cladding layers of the overlay waveguide coupled with a side-polished fiber)

  • 손경락;김광택;송재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467-47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측면연마 광섬유 결합기 구조에서 평면 도파로의 상부와 하부 클래딩의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편광 무의존 온도 센서를 제안하고 있다. 평면 도파로는 170$\mu\textrm{m}$ 두께의 현미경용 덮게 유리를 적용함으로서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해 도파로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비대칭적 평면 도파로 구조로 인한 편광 의존 손실을 최소화하기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제작된 소자의 편광 의존 손실은 0.3dB 이하로 측정되었다. 피측정체의 온도는 센서의 결합 파장 이동으로부터 계측되어진다. 평면 도파로의 상부와 하부 클래딩의 열광학 계수에 따른 온도 센서의 온도 민감도를 측정하였고, 상ㆍ하부 클래딩의 열광학 계수 변화로 온도 민감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보였다.

편광 유지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횡방향 변형률 측정 (Measurement of Transverse Strain Using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

  • 윤혁진;김대현;홍창선;김천곤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30-3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편광 유지 광섬유 브래그 격자(PMFBG) 센서를 제작하고 신호특성을 파악하였으며, 횡방향 변형률(transverse strain)을 측정하였다. PMFBG 센서는 위상 마스크와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해서 제작하였으며, 반사파는 내부 복굴절율의 영향으로 기존의 FBG 센서와 다르게 두개의 피크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MFBG 센서는 자체적으로 2개의 광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광축을 찾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작된 PMFBG 센서를 에폭시 시편에 삽입하여, 센서에 가해지는 횡방향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PMFBG 센서의 광원으로서 파장 이동 광섬유 레이저(WSFL)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PMFBG 센서로 측정된 변형률은 스트레인 게이지로 측정한 변형률과 잘 일치하였다.

전단파 분극현상을 갖는 초음파 탐촉자 민감도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 of Using Ultrasonic Transducers With shear wave Polarization Direction)

  • 나승우;임광희;송상기;정동화;양인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4-747
    • /
    • 2001
  • This paper shows shear wave behavior of CFRP composite laminates as a polar grid form to evaluate vibration pattern of ultrasonic transducers, which gives measured modelling fundamental contents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Polarized direction can be obtained by using a c-scanner and sensitivity of transducers is founded when using through-transmission method of two transducers. And modelling of vector decomposition is presented based on ply-to-ply method to apply practicable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CFRP laminate lay up. This modelling decomposes the transmission of linearly polarized wave into orthogonal components through each ply of a laminate. It is found that a high provable shows between the model and experimental developed in characterizing layup of CFRP composite laminates.

  • PDF

Solid-state NMR Study on Membrane Protein Structure in Biological Condition

  • Kang, Su-Jin;Lee, Bong-Jin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3-110
    • /
    • 2012
  • Membrane proteins play a essential role in the biological systems and it is not easy to handle a membrane protein for its structural study. Solid-state NMR (ssNMR) can be a good tool to investigate the structures and dynamics of membrane proteins. In ssNMR, Magic Angle Spinning (MAS) and Cross Polarization (CP) can be utilized to reduce the line-broadening, leading to high resolution and sensitivity in the spectrum. ssNMR, if combined with other spectroscopic methods, can provide us a enough knowledge on structures and dynamics of membrane proteins in biological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