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otting posi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8초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Gumbel 분포의 도시위치공식 유도 (Derivation of Plotting Position Formula Using Genetic Algorithm for Gumbel Distribution)

  • 김수영;신홍준;고연우;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3-178
    • /
    • 2008
  • 확률도시위치는 주로 도시적 해석을 통한 연최대홍수량 또는 연최대강우량의 초과확률의 추정치 산정에 사용되며 빈도해석을 통해 선정된 적정 확률분포형과 표본자료의 개략적인 적합도를 도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Gumbel 분포에 적합한 도시위치공식을 새롭게 추정하기 위해 Gumbel 분포의 order statistic과 확률가중모멘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표본크기에 대한 도시위치공식의 기본식을 유도하였고, 최적화 기법 중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도된 도시위치공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추정된 도시위치공식과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시 치공식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reduced variate 간의 오차를 계산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금회 추정된 도시위치공식은 높은 순위에서는 기존의 도시위치공식에 비해 더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표본크기에 대한 순위를 모두 고려할 경우에는 기존의 도시위치공식에 비해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Gumbel 분포에 대해서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stimation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Distribution under Type II Censoring

  • Kim, Namhy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1권6호
    • /
    • pp.529-538
    • /
    • 2014
  • In this paper, we consider maximum likelihood estimators of normal distribution based on type II censoring. Gupta (1952) and Cohen (1959, 1961) required a table for an auxiliary function to compute since they did not have an explicit form; however, we derive an explicit form for the estimators using a method to approximate the likelihood function. The derived estimators are a special case of Balakrishnan et al. (2003). We compare the estimators with the Gupta's linear estimators through simulation. Gupta's linear estimators are unbiased and easily calculated; subsequently, the proposed estimators have better performance for mean squared errors and variances, although they show bigger biases especially when the ratio of the complete data is small.

한강 인도교지점에서의 홍수빈도해석에 대한 고찰 (Flood Frequency Analysis at Indogyo Station in Han River Basins)

  • 이영석;김경덕;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98-110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포함하는 한강하류부에서 가장 중요한 측수지점중 하나인 인도교지점의 연 최대 홍수량 자료에 내해서 빈도해석을 시행하였다. 자료를 3개의 자료(자료 I : $1918\~1940$, 자료 II: $1952\~2002$, 자료 III: 결측치를 제외한 $1918\~2002$)로 구분하였으며, 수문자료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13가지 확률 분포형을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한 뒤 적합성여부를 판정하였으며, 적합도 검정방법 및 도시적인 방법을 통하여 적정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고, 채택된 분포형(gamma-3, GEV, Gumbel, Weibull-2)에 내하여 확률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위치도시공식(plotting position formula)과 역사적 홍수정보(historic information)를 이용한 빈도해석 결과와도 비교${\cdot}$분석하였다. 그 결과 확률분포형 가운데에는 GEV와 Gumbel 분포형이 인도교지점의 홍수빈도해석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isualization of Bottleneck Distances for Persistence Diagram

  • Cho, Kyu-Dong;Lee, Eunjee;Seo, Taehee;Kim, Kwang-Rae;Koo, Ja-Yong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6호
    • /
    • pp.1009-1018
    • /
    • 2012
  • Persistence homology (a type of methodology in computational algebraic topology) can be used to capture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data.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a persistence diagram is adopted by plotting baseline and the pairs that consist of local minimum and local maximum. We use the bottleneck distance to measure the topological distance between two different functions; in addition, this distance can be applied to multidimensional scaling(MDS) that visualizes the imaginary position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functions. In this study, we use handwriting data (which has functional forms) to get persistence diagram and check differences between the observations by using bottleneck distance and the MDS.

표본자료의 왜곡도 영향을 고려한 GEV 분포의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방법 비교 검토 (Comparison on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Considering Skewness of Sample for the GEV Distribution)

  • 안현준;신홍준;김수영;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161-170
    • /
    • 2014
  • 수공구조물의 설계 시 적절한 확률수문량을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확률수문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표본으로서의 수문자료를 잘 표현할 수 있는 확률분포형을 찾아야 한다. 이와 같이 수문자료에 통계적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확률분포형을 찾기 위해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며, 적합도 검정 중 하나인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그 사용법이 간단하며 높은 기각능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왜곡도 계수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도시위치공식을 이용하여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통계량을 유도하고 그 기각능력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존에 왜곡도 계수를 고려하지 않은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 방법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유도된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에 의한 기각능력이 기존의 검정 방법들 보다 뛰어났으며, 특히 표본 크기가 작을수록, 발생 분포형이 형상 매개변수를 가질 경우 기각능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기준점측량을 이용한 저등급 기준점의 좌표결정 (Coordinates Determination of tow Level Control Point by Aerial Triangulation)

  • 최재화;이석배;최윤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4-41
    • /
    • 1988
  • 오늘날 항공사진측량은 사용기재와 자료처리방법의 발달과 더불어 위치결정의 정확도가 날로 향상되고 있으며, 지상기준점측량을 하지 않고서 GPS를 이용한 사진기준점측량 방안이 모색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해석도화기의 등장은 정확도와 효율성면에서 상당한 발전을 가능케 하였고 On-Line System의 구성을 통해서 사진 기준점측량의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도화기를 이용한 사진기준점측량을 실시하여 저등급 측지기준점의 좌표결정에 있어서 정확도의 향상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정확도 향상의 정도는 기존의 정밀도화기를 사용한 A.T.의 경우와 비교할 때에 평면에서 약 7%, 표고에서 약 40%의 정확도 향상을 가져왔다.

  • PDF

Improv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Height of Center of Gravity of Agricultural Tractors

  • Kim, YuYong;Noh, JaeSeung;Shin, SeungYeop;Kim, ByoungIn;Hong, SunJu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3호
    • /
    • pp.170-17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for agricultural tractors. Methods: The proposed method uses trigonometric functions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Data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ISO 789-6 test procedures for the center of gravity of agricultural tractors. The height calcula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was compared with that determined from an AutoCAD drawing. To fi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actor, the algorithm for finding the intersection of the two lines was used. Results: The vertical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center of gravity is 682.06 mm. The vertical coordinates obtained from the calculation and the drawing were the same. Conclusions: The developed method uses trigonometric and polar coordinate transformation. The method was compared and verified with the AutoCAD drawing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users can apply this developed method instead of the plotting method which is an inconvenient and time-consuming. Further, users can program Microsoft Excel to easily determine the vertical coordinate. In addition, researchers will propose this method to the ISO as a standar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gravity in accordance with ISO 789-6.

Wakeby 및 Kappa 분포의 L-모멘트법에 의한 홍수빈도분석 (Flood Frequency Analysis by Wakeby and Kappa Distributions Using L-Moments)

  • 맹승진;이순혁;이현규;류경식;송기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5호
    • /
    • pp.17-27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duce the design floods by the methodology of L-moment including test of homogeneity, independence and outlier of the data of annual maximum flood flows for 12 water level gaging stations of South Korea. To select appropriate distribution of the data for annual maximum flood flows, the distributions of Wakeby and Kappa are applied and the appropriateness is judged by Kolmogorov-smirnov (K-S) test. The parameters of selected Wakeby and Kappa distributions are calculated by the method of L-moment and the design floods are induc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s (RRMSE) and relative absolute errors (RAE) of design floods, the result shows that the design floods by Wakeby distribution are closer to the observed data than those obtained by the Kappa distribution.

Tracking of ARPA Radar Signals Based on UK-PDAF and Fusion with AIS Data

  • Chan Woo Han;Sung Wook Lee;Eun Seok Ji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8-48
    • /
    • 2023
  • To maintain the existing systems of ships and introduce autonomous operation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improve situational awareness through the sensor fusion of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and automatic radar plotting aid (ARPA), which are installed sensors. This study proposes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whether AIS and ARPA signals are sent to the same ship in real time. To minimize the number of errors caused by the time series and abnormal phenomena of heterogeneous signals, a tracking metho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unscented Kalman filter and probabilistic data association filter is performed on ARPA radar signals, and a position prediction method is applied to AIS signals. Especially, the proposed algorithm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s for the same vessel by comparing motion-related components among data of heterogeneous signals to which the corresponding method is applied. Finally, a measurement test is conducted on a training ship. In this process, the proposed algorithm is validated using the AIS and ARPA signal data received by the voyage data recorder for the same ship. In addition,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test results with those obtained from raw data.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use a sensor fusion algorithm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s to improve the situational awareness accuracy of existing ship systems.

섹스탄트를 이용한 개선된 선박 측위 알고리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Improved Ship Positioning Algorithm using Sextant)

  • 신희한;임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243-1251
    • /
    • 2017
  • 선박이 대양 항해 시 선박의 위치를 구하는 것은 안전 항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1990년대 이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항법의 발전으로 대부분의 선박들이 GPS를 이용하고 있다. 천문 항법은 대양항해 시 항법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나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해도에 작도를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 결과, 활용성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천문항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편리성과 활용성을 도모한 개선된 선박 측위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천문항법의 계산과정을 수식으로 정리하여 알고리즘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였다. 선박이 항해 시 태양의 고도, GHA, dec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선위가 경 위도 좌표로 화면에 전시된다. 본 논문의 결과, 개선된 방법으로 천문항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난 시 훌륭한 항법 수단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