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ticizer ratio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1초

역타공법에 적용을 위한 콘크리트 강도성상 연구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for Top-Down Method)

  • 정근호;이종균;김영회;이영도;정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48-5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e the mixture of concrete for Top-Down method. As a result, In fresh concrete, slump value and slump-flow value were increased as fly ash concrete(10% ratio). When plasticizer was added 1.5% by weigh of binder in concrete, no fly ash concrete and fly ash concrete(10% ratio) all occurred segregation. And, no fly ash concrete and fly concrete(10% ratio) all showed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close plain concrete as increasing plasticizer quantity. Especially, in case of 1.5% plasticizer of binder showed high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 PDF

Doctor blade 공정에 의한 세라믹스 열교환기 소자의 제조 (Fabrication of Ceramic Heat Exchanger Cores by Doctor Blade Process)

  • 김상우;송휴섭;장성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1-251
    • /
    • 1992
  • The effects of slip composition and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fabrication of ceramic heat exchanger cores by doctor blade process were investigated. Since the effects of those two variables were inter-dependent, the effects of binder system, binder plus plasticizer, were extensively studied for a limited range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a pre-determined ceramic composition. The content of binder system and the ratio of binder to plasticizer were identified as main variables to affect densi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reen sheets, compressive properties and bond strengths of laminates, and shrinkages and their anisotropy of sintered laminates. However, sintered densities and water absorptions of laminates were not influenced by either the content of binder system or the ratio of binder to plasticizer, when the debinded laminates had a relatively high density (relative density of >55% in this study).

  • PDF

유기물 조성에 따른 알루미나 테이프의 열간 가압 거동 (Effect of Organic Additive Composition on Isostatic Thermocompression Behavior of Alumina Tapes)

  • 이명현;박일석;김대준;이득용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824-831
    • /
    • 2000
  • Alumina tapes, having various ratios of alumina to alumina+binder+plasticizer (a/(a+o)) and binder to binder+plasticizer(b/(b+p)), were prepared by the tape casting method. The tapes were thermocompressed varying the thermocompression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pressure, and duration time. Among the parameters, the pressure was the most influential to the tape packing density. The packing density varied in two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a/(a+o) ratio. For the tapes having low a/(a+o) ratio, a saturation density was reached by applying very a low pressure of 1 MPa. For tapes with high a/(a+o), on the contrary, the saturation density was obtained at a relatively high pressure. These different responses to the pressure a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rearrangement of alumina particles by the pressure becomes easy as an organic content in the tapes is high.

  • PDF

가소제 혼합비에 따른 PAN/PVDF계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 특성 (Conductivity of PAN/PVDF based Polymer Electrolyte as a Function of Plasticizer Mixed Ratio)

  • 이재안;김종욱;구할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영호남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1-26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velop solid polymer electrolyte(SPE) for Li polymer battery. This paper describes temperature dependence of conductivity, impedance spectroscopy,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AN/PVDF electrolytes as a function of a mixed ratio. PAN/PVDF based polymer electrolyte films were prepared by thermal gellification method of preweighed PAN/PVDF, plasticizer and Li salt. By adding PVDF and as a function of plasticizer mixed ratio to PAN-LiClO4 electrolyte, its condu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PAN-$LiClO4_4$ electrolyte. The conductivity of PAN/PVDF electrolytes was $10^{-3}S/cm$. $10PAN10PVDFLiClO_4PC_5EC_5$ electrolyte shows the better conductivity of the others. Steady state current method and ac impedanc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nsference numbers in PAN/PVDF electrolyte film. The transference number of $10PAN10PVDFLiClO_4PC_5EC_5$ electrolyte is 0.45.

  • PDF

3D 프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모르타르 구성성분 변화에 따른 레올로지 특성 연구 (Study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Mortar for the Application of 3D Printing Method)

  • 이호재;김원우;문재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6-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공법 적용을 위한 콘크리트 기초 레올로지 분석을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 구성성분 중 유동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W/B, binder Type, replacement ratio, super plasticizer dosage)의 변화에 의한 레올로지 특성(rheological properties)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은 페이스트와 모르타르 크게 두 가지 인자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페이스트 실험에서는 W/B, binder type, replacement ratio, super plasticizer dosage를 주요 변수로 설정하여 레올로지를 분석했다. 모르타르 실험에서는 W/B와 sand ratio에 따른 레올로지 특성을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W/B가 증가될수록 viscosity가 감소하였으며, FA를 치환할 FA 비율이 증가됨과 함께 viscosity가 증가하였다. 유동성 증가를 위해서는 SF를 5%만 치환해도 shear stress를 감소시키며 viscosity는 약 83%까지 감소되었다. 모르타르 레올로지 평가를 통해 W/B 30~40% 구간에서 큰 폭의 변화가 일어나는 임계치 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동일 W/B 내에서는 sand 비가 50~60% 구간에서 shear stress가 두 배 이상 증가하는 임계 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PEG(polyethylene glycol) 농도와 PEG/Gly(glycerol) 흔합비에 따른 견 피브로인 필름의 물성 (Effects of PEG (Polyethylene Glycol) Concentration and Mixing Ratio of PEG/Gly (Glycerol)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ilk Fibroin Films)

  • 마유현;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1-125
    • /
    • 2006
  • 견 피브로인 용액 에 PEG를 농도 별로 처리하거나 PEG와 Gly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한 뒤 그 물성을 측정하였다. PEG의 농도가 $1\%$인 견 피브로인 필름에서 32.54 Mpa로 가장 높은 인장강도를 나타냈고, PEG의 농도가 높아 질수록 인장강도는 감소하였다. 인장강도와는 반대로 PEG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장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PEG의 농도가 $3\%$$4.5\%$로 증가할 때 $35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또한 투습도의 경우 $66\%$ 증가하였다. PEG와 Gly의 비율을 다르게 한 경우 인장강도는 PEG:Gly의 비가 100:0일 때 13.72 Mpa로 가장 높았고, 0:100일 때 4.58 Mpa로 가장 낮았다. 이에 반하여 신장률은 PEG:Gly의 비가 75:25일 때 $130.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투습도의 경우 Gly만을 넣어 만든 경우 $5.13\;ng{\cdot}m/m^2s$ Pa로 투습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Gly의 비가 높아질수록 투습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인 Hunter L, a, b와 ${\Delta}E$ 값은 PEG 농도와 PEG:Gly의 혼합하여 만든 필름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 결과 견 피브로인 필름의 가소제로써 PEG와 Gly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PEG만을 사용하여 만든 필름보다 신장률이 크게 증가하며, 또한 PEG와 Gly을 75:25의 비로 흔용하여 사용한 경우가 Gly의 첨가로 투습도가 조금 증가하기는 하였으나 인장강도는 상업용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와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면서도 높은 신장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포장재로 활용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비지 단백질로 제조한 가식성필름의 기계적 및 물질투과특성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of Soybean Curd Residue Protein Films)

  • 조승용;박장우;이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6
    • /
    • 1999
  • 두부생산시 부산물로 다량 생산되는 두부비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이로부터 가식성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가소제로서 glycerol과 sorbitol을 사용하였을때 필름형성용액의 pH와 가소제의 농도가 가식성필름의 기계적특성(인장강도와 신장률), 수분투과도, 산소투과도 및 유지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건조하지 않은 두부비지에 10배의 물을 가하여 pH 11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면서 단백질을 추출한 후, 등전점(pH 4.3) 처리하고 동결건조하여 농축단백질 시료를 만들고, 이로부터 solution casting 법으로 가식성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용액의 pH를 10으로 조절하여 제조한 가식성필름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된 가식성필름의 인장강도는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15.0 MPa에서 2.9 MPa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sorbito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보였으며. 수분투과도는 첨가된 가소제의 양과 종류에 따라 $0.48{\sim}0.83nm{\cdot}m/m^2{\cdot}s{\cdot}Pa$의 범위를 보였으며 많은 양의 가소제가 사용될수록 수분투과도가 높았다. 또한 가소제로서 sorbitol을 사용하였을 때가 glycerol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수분투과에 대한 차단효과가 전 가소제 농도 범위 ($0.4{\sim}0.8g$ plasticizer/g protein)에 걸쳐 우수하였다. 또한 이들 필름들은 낮은 산소투과도($29.5{\sim}61.1aL{\cdot}m/m^2{\cdot}s{\cdot}Pa$)와 유지투과도를 보여 산소와 유지의 투과에 대한 차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소성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배합비 변화에 따른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Plasticize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Changes of Mixing Ratio)

  • 서두원;김혜양;김경민;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3-42
    • /
    • 2010
  • 구조물 뒤채움재로서 하중경감을 위해 사용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는 기포의 소포작용에 의해 체적이 감소하여 재주입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적의 감소 문제를 보완하고자 가소제를 첨가한 가소성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제작하였고, 공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소성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배합요소들의 변화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단위중량, flow, pH, 투수시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공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에트링자이트의 생성으로 인하여 flow값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소제의 적정 첨가량은 2~2.4%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며, 구조물 배면의 충전재료로 사용하여 하중 경감측면과 재료의 과도한 유동성에 의한 안정성 증가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복합필터의 triacetin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Triacetin Contents in the Activated Carbon Filter)

  • 김수호;고동균;김정열;이동욱;신창호;김종열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8-74
    • /
    • 2005
  • Glycerol triacetate(triacetin) is the currently used common plasticizer in the making filters from cellulose acetate tow. For the mono acetate filter, the determination of triacetin contents is already established by CORESTA recommended method (No. 59). But unfortunately, the analytical method of triacetin in the activated carbon filter have not reported so far. In this study, it was established the analytical method of carbon filter's triacetin contents at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bath ratio and internal standard materials. The confidential level appeared above $95\%$ when the extraction time, ISTD material and bath ratio was 3 hours, tripropionin and below 500 mg activated carbon / 50 $m\ell$ ethanol, respectively. Also, in the distribution of triacetin with filter materials in activated carbon filters, the triacetin amount was the most contained in activated carbon.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triacetin contents in the activated carbon filter.

질산이온 선택성 피복선 전극의 제작 및 환경분석에의 응용 (Preparation of Coated-Wire Nitrate Ion Selective Electrode and its Application for Environmental Analysis)

  • 李龍根;金昌圭;朴廷泰;金京燮;黃圭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9-107
    • /
    • 1985
  • A coated wire ion selective electrode for nitrate (nitrate-CWE_ was constructed using epoxy resin, ion exchanger and plasticizer as a polymer membrane. It's stility, the composition of a polymer membran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the selectivity were examined and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analysis. The nitrate-CWE was prepared using a copper wire, wihch was coated with epoxy resin being incorporated with the nitrate ion exchanger and plasticizer. The best composition of the polymer membrane for the nitrate-CWE was obtained by mixing epoxy resin, ion exchanger and plasticizer in the ratio of 2:1:0.4. The potential (56.3$\pm$0.5 mV) of stick form nitrate-CWE in this composition was close to that (59.2 mV) of Nernstian response. The detection limit for nitrate ion were found to the about $6 \times 10^{-5}M$ and the useful pH was 2.5 $\sim$ 10.3. Furthermore, the selectivity of iodide and perchrorate for the nitrage-CWE was also much improved compared with that for a liquid membrane nitrate electrode. The nitrate-CWE was used to determind $NO_x$ in stack gas. The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either by electrode method or by the improved NEDA method within a relative error of 4.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