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ticization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8초

Poly(ethylene 2,6-naphthalate) 필름의 연신에 따른 동적 점탄성 거동 해석 (Analysis of Dynamic Viscoelasticity Behavior on Drawing of Poly(ethylene 2,6-naphthalate) Film)

  • 강영아;김경효;조현혹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4-54
    • /
    • 1999
  • Poly(ethylene 2,6-naphthalate), PEN, is a relatively well-known polymer used for engineering purposes. Naphthalene ring provides rigidity to the polymer backbone, thus, it elevat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EN affect a processing conditions severely, and the high-thermal stability have been had a poor thermal processibility. Hence, the basic mechanism of solvent drawing, is very much the same as that of thermal drawing from glassy state since both involve the inducement of segmental mobility. The former achieves the goal by use of chemical energy, and the latter does so by use of thermal energy. Generally, the sorption of the solvent by the polymer has a plasticizing effect, and leads to a lowering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In this paper, the dynamic viscoelasticity behavior in liquid-drawing process of an unoriented amorphous PEN films were investigated using Rheovibr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For the drawing in silicone oil, the drawing below $T_g$. had $\alpha{2}$-dispersion due to an inhomogeneous taut structure. (2) For the drawing in water, the inhomogeneous taut structure reduced by the effect of plasticization even below $T_g$. (3) For the drawing in butanol, the only aliphatic segment in PEN have some molecular mobility but the mobility of the aromatic segment having naphthalene ring is nearly impossible. (4) For the drawing in dioxane/water mixing solvent, the solvent effect is complementary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entire molecular conformation have stable state. (5) For the drawing in dioxane/butanol mixing solvent, the inhomogeneity of the taut structure and the aromatic segment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this tendencies correspond with that of the draw ratio.

  • PDF

병류흐름의 중공사 분리막에 의한 이산화탄소 분리 수치 해석 (Numerical Analysis for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by Hollow Fiber Membrane with Cocurrent Flow)

  • 이용택;송인호;안효성;이영진;전현수;김정훈;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6권3호
    • /
    • pp.204-212
    • /
    • 2006
  • 이산화탄소에 대한 가소화 안정성 및 이산화탄소/질소의 분리특성이 탁월한 폴리이서술폰(PES)중공사 분리막에 의한 이산화탄소 분리특성을 수치해석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정변수에 따른 이산화탄소 분리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공급 기체와 투과기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병류 흐름에 대한 분리막 공정 지배 방정식을 5차 Runge-Kutta-Verner 방법을 사용하여 Compaq Visual Fortran 6.6 소프트웨어를 이용 공정모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이산화탄소 투과특성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공급 이산화탄소 분압, 투과측과 분리막 내부의 압력비 그리고 공급 기체가 분리막 내부에 머무르는 체류 시간임을 알 수 있었다.

폴리스티렌 막에서 $CO_2$의 수착과 확산 (Sorption and Diffusion of Carbon Dioxide in Polystyrene Membrane)

  • Kim, You-Whan;Cho, Du-Hyun;Bae, Seong-Youl;Kumaawa, Hidehiro
    • 멤브레인
    • /
    • 제3권2호
    • /
    • pp.79-82
    • /
    • 1993
  • 유리전이온도가 $95^{\circ}C$인 폴리스티렌 균질막에서 $CO_2$의 수착과 투과실험을 온도는 $60^{\circ}C$C, 수착실험은 1.6 MPa 범위, 투과실험은 2.5 MPa 범위 내에서 각각 행하였다. 낮은 기체압력하에서는 수착등온선이 dual-mode sorption model에 일치하였으나 1.3 MPa 이상에서는 직선이었고, 직선부분은 원점까지 외삽되었다. 평균투과계수의 압력의존성은 dual-mode mobility model로부터 위로 편기되었다. 수착등온선으로부터 폴리스티렌 막은 1.3 MPa의 기체압력에서 수착된 $CO_2$의 가소화거동에 의해서 유리전이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았고, 이는 평균투과계수의 증가와 일치하였다.

  • PDF

Dynamic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of Styrene-co-Methacrylate and Sulfonated Polystyrene Ionomers Containing Aliphatic Dicarboxylate Salts

  • Luqman, Mohammad;Kim, Joon-Seop;Shin, Kwan-W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9호
    • /
    • pp.658-665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odium salts of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DCAs) on the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two sets of poly(styrene-co-sodium methacrylate) (MNa) and poly(styrene-co-sodium styrenesulfonate) (SNa) ionomers. When the DCA content was relatively low, the ionic moduli of the MNa and SNa ionomers increased but the matrix and clust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 increasing ionic modulus was almost independent of the type of the ionic groups of the ionomer, and the chain length of DCAs. When a large amount of the sodium succinate (DCA4) was added to the MNa and SNa ionomers, the ionic moduli of the two ionomers increased strongly but the matrix and cluster $T_g's$ increased slightly and significantly,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odium hexadecanedioate (DCA 16), DCA 16 increased the ionic moduli of the two ionomers. The addition of DCA16 changed the matrix and cluster $T_g's$ of the MNa ionomer slightly, but decreased the cluster $T_g$ of the SNa ionomer significantly with no change in the matrix $T_g$. In addition, the DCA-containing ionomers showed an X-ray diffraction peak indicating the presence of ordered domains of DC As in the ionomers. Hence, DCA4 acts mainly as a reinforcing filler in MNa and SNa systems. In the case of DCA 16, it initially behaved like a filler but also functioned as a preferential plasticizer for the clusters at high content.

폴리염화비닐의 친환경 가소제로서 Poly(1,2-propylene glycol adipate) (Poly(1,2-propylene glycol adipate)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izer for Poly(vinyl chloride))

  • Zhao, Yan;Liang, Hongyu;Wu, Dandan;Bian, Junjia;Hao, Yanping;Zhang, Guibao;Liu, Sanrong;Zhang, Huiliang;Dong, Lisong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247-255
    • /
    • 2015
  • Poly(1,2-propylene glycol adipate) (PPA) was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izer in flexible poly(vinyl chloride) (PVC). Thermal,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PVC/PPA blends were characteriz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ynamic mechanical analysis, tensile test,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small amplitude oscillatory shear rhe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PPA lower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VC. The introduction of PPA could decrease tensile strength and Young's modulus of the PVC/PPA blends; however, elongation-at-break was dramatically increased due to the plastic deformation. The plasticization effect of PPA was also manifested by the decrease of dynamic storage modulus and viscosity in the melt state of the blen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PA had a good plasticizing effect on PVC.

폴리아미드가 함유된 PVC졸 실란트의 유변학적 물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amide-Modified PVC-sol Sealants)

  • 이승진;이원기;강태규;조원제;하창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5호
    • /
    • pp.345-354
    • /
    • 1998
  • 폴리아미드 수지가 첨가된 PVC졸 실란트의 유변학적 물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PVC졸은 디옥틸프탈레이트로 PVC를 가소화시켜 제조된 것이다. 아민가가 달라 점도가 다른 두 종류의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였는데 PVC졸의 점도, 틱소트로피 및 비중에 미치는 폴리아미드 수지 종류와 함량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폴리아미드가 첨가된 PVC졸 실란트의 점도는 폴리아미드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간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폴리아미드 함량의 영향에 관해서는 아민가가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 A가 첨가된 PVC졸 실란트의 점도는 폴리아미드 A함량에 따라 증가되고, 반면 아민가가 높은 폴리아미드B가 첨가된 PVC졸 실란트의 점도는 폴리아미드 B함량에 따라 감소되었다. 폴리아미드가 첨가된 PVC졸 실란트의 틱소트로피는 폴리아미드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 함량에 따라 다른 거동을 보였다. $45^{\circ}C$의 수조에서 숙성한 후의 폴리아미드가 첨가된 PVC졸 실란트의 점도거동과 충진제인 $CaCO_3$ 함량의 영향도 고찰하였다.

  • PDF

초임계 메탄올을 이용한 가교 폴리에틸렌의 탈가교화 (Decrosslinking of Cross-linked Polyethylene using Supercritical Methanol)

  • 홍순만;조항규;구종민;이장훈;박완용;이홍식;이윤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1호
    • /
    • pp.63-68
    • /
    • 2008
  • 초임계 유체 공정을 이용하여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를 탈가교화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는 메탄올을 이용한 초임계 반응 시 탈가교화가 이루어져 재활용 될 수 있다. 초임계를 이용한 탈가교화 반응은 반응온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360^{\circ}C$부터 $400^{\circ}C$ 구간에서 온도의 증가에 따라 탈가교화가 급격히 촉진되었다. 반응온도의 증가에 따라 생성물인 탈가교 폴리에틸렌의 가교도, 분자량, 기계적 물성은 감소했지만, $360^{\circ}C$에서 탈가교된 폴리에틸렌은 가교전의 원료로 사용된 폴리에틸렌과 비교할만한 연신강도와 내충격강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모든 반응조건에서 폴리에틸렌의 주쇄의 화학구조는 반응조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가소제 및 가교제에 의해 개질된 대두단백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ybean Protein Resin Modified by Plasticizers and Cross-Linking Agents)

  • 최한나;이태상;양지우;이승구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2호
    • /
    • pp.73-80
    • /
    • 2011
  • 식물성 고분자인 대두단백질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친화성 고분자 신소재에 관한 연구를 위해 가소제(1,3-propandiol, glycerol) 및 가교제(glutaraldehyde, epichlorohydrin, glyoxal, urea)에 의한 대두단백질 수지의 열적 특성을 TG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기계적 특성 분석과 SEM을 통하여 파단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가소제인 1,3-propandiol과 glycerol을 SPI (대두단백질)에 첨가함으로써 수지의 유연성이 증가하였고, 1,3-propandiol에 비하여 glycerol의 가소화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가교제인 glycerol, epichlorohydrin, glyoxal의 적용으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두단백질 수지의 강도와 열안정성이 증가하는 반면, urea의 경우, 대두단백과의 가교가 용이하지 않아 열안정성이 오히려 낮아지고, 강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휨가공을 위한 액체암모니아 처리재의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of Liquid Ammonia Wood for Bending)

  • 姜琥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52-60
    • /
    • 2003
  • 액체암모니아 처리 침·활엽수 소시편의 물리적 성질을 무처리와 비교하였다. 처리시간은 4와 8시간으로 하였다. 동일한 환경에서 처리재의 평형함수율은 무처리재보다 항상 높았으나 전건 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암모니아 처리를 오래할수록 방사방향과 접선방향으로 수축이 일어났으나 섬유방향에는 변화가 없었다. 또 처리시간이 길수록 초음파 전달속도는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동탄성계수는 감소함을 보였다. 밤나무의 가소화는 증기처리가 액체 암모니아 처리보다 효과 있음과 인사이징이 침·활엽수 모두 액체 암모니아 침투성을 높이지 못했음이 밝혀졌다. 액체 암모니아 처리는 5mm두께 침엽수 시편에서 제일 좋은 가소화 효과를 보였다. 상대유전율과 열전달계수도 측정하여 처리재와 무처리재를 비교하였다.

불소고분자내 유기용매의 비-픽 확산 (Non-Fickian Diffusion of Organic Solvents in Fluoropolymeys)

  • 이상화
    • 폴리머
    • /
    • 제28권1호
    • /
    • pp.24-34
    • /
    • 2004
  • 여러 종류의 불소고분자내로 다양한 유기용매들의 동적 흡수 평형 (혹은 팽윤) 실험을 진행하였다. 불소로 포화된 고분자는 이상적 흡수 거동을 나타내었으나 부분적으로 치환된 불소고분자는 최종 흡수단계에서 가속화되는 비이상적 흡수 거동을 나타내었다. 회귀분석에 의해 픽-확산 거동으로부터 벗어나는 정도를 최소자승법 (즉, ∑ [측정값-예측값]$^2$)으로 구한 결과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에 대해 각각 3.0${\times}$$10^{-4}$, 1.75${\times}$$10^{-3}$, 8.68${\times}$$10^{-3}$, 1.75${\times}$$10^{-2}$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응력-변형 실험 결과 비-픽 확산 거동은 팽윤된 불소고분자의 기계적 성질 (탄성률과 인장 강도)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이상적 흡수 거동의 주요 원인은 치환된 수소 혹은 염소와 불소원자 간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기인한 사슬 간극성 결합 구조가 침투성분의 가소화 효과에 의해 비선형적 이완이 진행되면서 비-픽 확산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치환된 불소고분자를 차단성 혹은 선택적 투과기능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할 때 가소화 성분에 대한 용해 및 확산 거동에 대한 신중한 고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