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tic architecture

검색결과 445건 처리시간 0.026초

백서 두개골 부분결손시 골막 유무에 의한 골치유 양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ONE HEALING ON PARTIAL DEFECT OF CALVARIAL BONE WITH OR WITHOUT PERIOSTEUM IN RAT)

  • 송영완;조병욱;심정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746-757
    • /
    • 1996
  • Bony defects may be found as a result of congenital anomalies, traumatic injury, automobile collisions and industrial accidents in the maxillofacial area. Such conditions are often associated with severs functional and esthetic problem. Various surgical procedure has been utilized in attempts to repair and reconstruct bony defects. Bone is a complex, living, constantly changing tissue. The architecture and composition of cancellous and cortical bone allow the skeleton to perform its essential mechanical functions. Periosteum covers the external surface of bone and consists of two layers : an outer fibrous layer and an inner more cellular and vascular layer. The inner osteogenic layer or cambium layer can form new bone while the outer layer firms part of the insertions of tendons, ligaments and muscles. This study was under taken to evaluate bone healing process on partial defect of calvarial bone with or without periosteum in rat. We made calvarial defects of different size(4mm, 6mm, 8mm) with periosteum or without periosteum in rat to study the effect of defect size on healing process.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sacrified at 1, 2, 4, 6, 8 weeks, postoperatively. We examed the specimens by gloss findings, light microscophy, and fluorescent microscoph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loss findings: Control groups are larger bony defects than experimental groups after 2 weeks, and than control groups advanced healing of defected bone but experimental groups are lesser after 4, 6 weeks. After 8 weeks, bone defect has not been identified i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2. Light microscope: All defects of control groups are larger bony defects than experimental groups after 2 weeks. And than control groups show smaller defect after 4 weeks. After 8 weeks, the control group reveal pin-point sized, hardly identifiable defect space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 small, but definite defect space. 3. Fluorescent microscope : Each week, new bone formation of control group is very similar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this study, Osteogenesis of calvarial bone defects with periosteum or without periosteum was examined for 8 weeks in rats. The replaced periosteum had batter new bone formation than the removed periosteum.

  • PDF

가토의 하치조 신경 손상 형태에 따른 전기생리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ELECTRO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N THE INJURY TYPES IN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 이재은;이동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679-700
    • /
    • 1996
  • Inferior alveolar nerve dysfunction may be the result of trauma, disease, or iatrogenic injury.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is inherent risk in endodontic therapy, orthognathic surgery of the mandible, and extraction of mandibular teeth, particularly the third molars. The sensory disturbances of inferior alveolar nerve associated with such injury have been well documented clinical problem that is commonly evaluated by several clinical sensory test including Tinels sign, Von Frey test(static light touch detection), directional discrimination, two-point discrimination, pin pressure nociceptive discrimination, and thermal test. These methods used to detect and assess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have been subjective in nature, relying on the cooperation of the patients. In addition, many of these techniques are sensitive to differences in the examiners experience and skill with the particular technique. Data obtained at different times or by different examiners are therefore difficult to compare. Prior experimental studies have used electro diagnostic methods(sensory evoked potential) to objectively evaluate inferior alveolar nerve after nerve injury.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inferior alveolar nerve of rabbit. Several types of injury including mind, moderate, severe compression and perforation with 19 gauze, 21 gauze needle and 6mm, 10mm traction were applied for taking the sesory evoked ppterntial. Latency and amplitude of injury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were investigated with sensory evoked potential using un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tensity of threshold (T1) was $128{\pm}16{\mu}A$ : latency, $0.87{\pm}0.07$ microsecond : amplitude, $0.4{\pm}0.1{\mu}V$ : conduction velocity, 23.3 m/s in sensory evoked potential of uninjured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2.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consists of type II and III sensory nerve fiber. 3. Latency was increased and amplitude was decreased in compression injury. The more injured, the more changed in latency and amplitude. 4. Findings in perforation injury was similar to compression injury. Waveform for sensory evoked potential improved by increasing postinjured time. 5. Increasing latency was prominent in traction injury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6. In microscopic histopathological findings, significant degeneration and disorganization of the internal architecture were seen in nerve facicle of severe compression and 10mm traction group. From the above findings, electrophysiological assessment(sensory evoked potential) of rabbit injured inferior alveolar nerve is reliable technique in diagnosis and prognosis of nerve injury.

  • PDF

침전접촉산화수로를 이용한 수질 개선 (Water Quality Improvement Using a Contact Oxidation Canal with Sedimentation Basin)

  • 김원장;박상현;김형중;김태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3-149
    • /
    • 2001
  • 침전지를 갖는 접촉산화수로 시스템을 이용한 수질 정화효과를 2000년 9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시스템은 노즐로 폭기하여 플라스틱여재의 표면에서 오염물질과 공기를 접촉시켜 물을 정화하기 위한 시설이다. 1차 침전지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60분이며, 여기에서는 물속에 있는 오염물이 침전되고 침전물은 바닥에 설치한 배수암거로 배출되도록 설계하였다. 산화수로의 유량, 수리학적 체류시간, 길이는 각각 $200\;m^3/day$, 90 min, 20 m이다. 산화수로에는 플라스틱 접촉여재를 채웠다. 탈질소를 위한 무산소 조건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T-N의 처리효율은 다른 수질항목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이 처리시스템에서 SS는 $25.0%{\sim}89.6%$, BOD는 $75.0%{\sim}91.5%$, T-P는 $44.3%{\sim}95.3%$의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이 실험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고안된 침전접촉 산화수로 시스템의 저수지나 수로에서의 수질정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Zipper를 가진 역V형 가새골조의 다목적 최적내진설계기법 (Member Sizing Optimization for Seismic Design of the Inverted V-braced Steel Frames with Suspended Zipper Strut)

  • 오병관;박효선;최세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555-56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Nondominated sorting genetic algorithm-II(NSGA-II)를 이용한 Zipper를 가진 역V형 중심가새골조의 다목적 최적내진설계기법을 제시한다. 부재의 단면성능을 설계변수로 사용하는 제시된 최적화기법은 내진설계를 위해 부재의 강도조건, 구조물의 층간변위조건, 부재의 변형조건 등을 만족시키면서 구조물의 물량과 구조물의 최대 층간변위율을 동시에 최소화하는 문제로 정식화된다. 구조물의 물량과 최대 층간변위율을 최소화하는 이유는 구조물의 비용과 성능을 각각 최적화하기 위해서 이다. 선형 정적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강도 및 층간변위 제약 조건을 검토하며, 비선형 정적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변형 조건 및 내진성능을 평가한다. 제안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3층과 6층 Zipper를 가진 역V형 중심가새골조 예제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얻은 설계안을 초기 설계안과 비교분석하여 제안된 기법의 적용성을 확인한다.

조합하중을 받는 선체판부재의 2차좌굴거동 해석 (Secondary Buckling Behavior Analysis on the Ship's Plate under Combined Load(Lateral Pressure Load and Axial Compressive Load))

  • 박주신;고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7-74
    • /
    • 2006
  • 선체를 구성하는 판부재는 일반적으로 면내하중과 횡하중의 조합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면내하중으로서는 주로 전체적인 선체거더의 휨과 비틀림에 의한 압축하중 및 전단하중이 있다. 횡하중은 수압과 화물압력에 의해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의 요소들은 항상 동시에 작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 개 이상의 하중이 존재하고 상호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좀 더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선박구조의 설계를 위해서는 이러한 조합하중이 선체판에 작용할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 좌굴 및 최종강도거동의 상호관계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선체판은 슬래밍과 팬팅과 같은 충격하중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작은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합하중을 받는 선체판부재의 거동에 있어서 최종한계상태 설계법에 기반을 둔 탄소성대변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하중과 횡하중이 판부재에 작용하였을 경우 횡하중의 크기에 따른 2차좌굴 거동의 영향을 탄소성대변형 유한요소해석(ANSYS)으로 분석하였다.

  • PDF

물 결합재 비에 따른 알칼리 활성 슬래그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Alkali Activated Slag Pastes with Water to Binder Ratio)

  • 김병조;송진규;송금일;오명현;이방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511-519
    • /
    • 2015
  •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주로 테이블 플로우, 슬럼프 및 유하시간 측정 등의 방법이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시험 조건이 바뀌면 정확한 비교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정량적 변수로 표현되는 레올로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시장의 요구에 따라 AAS 결합재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AAS 결합재의 레올로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물/결합재 비와 알칼리 활성화제 유형에 따른 AAS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테이블 플로우와 유하시간을 측정하여 AAS 페이스트의 유동성을 평가하였고, 레올로지 시험을 통해 전단속도에 따른 전단응력을 분석하였다. 레올로지 시험결과를 Bingham model로 가정하여 레올로지 정수를 도출하고 유동성 평가 시험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테이블 플로우와 항복응력, 유하시간과 소성점도와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AAS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제작하는데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잔디 신품종 '세아(Seah)' 개발 (Development of New Hybrid Zoysiagrass Cultivar 'Seah')

  • 최준수;양근모;배은지;박용배;이광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06-312
    • /
    • 2017
  • 한국잔디 신품종 '세아' (품종보호 출원번호:2014-22)는 2010-2011년 한반도 남, 서해안 및 도서지역에서 수집된 잔디 유전자원을 사용하여 인공교배육종으로 작성 되었다. 2011년 형태적으로 구별성이 있는 수집종 Z2011 (Z. sinica) 모본과 NM1 (Z. matrella) 부본 간에 인공교배를 수행하였으며, 2012년 작성된 후대(F1) 중 Space planting을 통해 생육이 우수하고 밀도가 높은 고품질 계통(Z2011xNM1)-2을 선발하였으며, 이를 '세아' 라 명명하였다. 2년간 포장적응 실험을 통해 적응성, 안정성, 구별성을 확인하였으며, '세아'를 신품종으로 출원하게 되었다. '세아' 품종의 특성은 엽색이 연한 녹색이며 엽 너비는 1.8 mm로 세엽이다. 지면에서 첫 번째 잎까지의 높이가 1.94 cm로 낮아 낮은 깎기에 적응도가 높다. 초장도 7.1 cm로 매우 낮은 생육형을 보인다. 생육속도는 느려서 뗏장 생산 효율은 다소 떨어진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줄기 밀도가 높고 세엽형이라 품질이 우수하다.

바닥슬래브를 고려한 용접철골모멘트접합부의 내진보강 (Seismic Retrofit of Welded Steel Moment Connection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Composite Floor Slabs)

  • 이철호;김성용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25-36
    • /
    • 2017
  • 1994년 노스리지 지진 당시 발생한 용접모멘트 접합부의 취성파괴는 주로 보 하부 플랜지에서 발생하였다. 특히 국내 기존 용접철골모멘트 접합부의 경우 과다한 전단스터드 배치에 따른 의도치 않은 합성작용로 인해 지진 내습 시 보 하부 플랜지의 취성파단이 더욱 우려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효과로 인한 접합부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량전단탭/수평헌치/삼각헌치로 보강된 접합부 및 RBS가 도입된 접합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통상 기존 접합부 상부 플랜지의 수정이 불가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 하부 플랜지에만 수평/삼각헌치를 보강하거나 RBS를 도입하여 이 때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물대 실험 결과 수평/삼각헌치 혹은 중량전단탭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모두 합성작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특수모멘트접합부가 요구하는 수준 이상의 소성회전각 5%이상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RC 기둥에 RBS를 도입할 경우 접합부에 소요되는 변형의 대부분을 RBS측에서 일어나도록 유도함으로써 SRC기둥에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 중 중량전단탭 보강에 따른 접합부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가의 수치해석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제시한 각각의 보강안에 대한 권장상세를 제시하였다.

포스트텐션 휨부재에서 비부착긴장재의 극한응력 (Ultimate Stress of Unbonded Tendons in Post-Tensioned Flexural Members)

  • 이득행;김강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89-499
    • /
    • 2009
  • 비부착 긴장재를 적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휨부재는 부착방식과 다르게 콘크리트와 긴장재의 비부착 거동 때 문에 휨강도의 정확한 예측이 쉽지 않다.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비부착 긴장재를 적용한 부재의 휨강 도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여, 각국의 기준은 매우 다르고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예측값을 주는 경우 가 많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제안식들을 고찰하고, 이를 개선하여 보다 합리적면서 향상된 정확도를 가질 수 있는 비부착긴장재의 극한응력예측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부착긴장재를 적용한 부재의 휨강도에 대한 기존의 실험 결과를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제안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변형의 집중을 가정하고 소성힌지 길이를 이용한 강체거동모델 등 기존의 제안식들에 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극한응력예 측식은 매우 뛰어난 정확도를 보였으며, 철근보강비, 재하형태, 콘크리트의 강도 등 주요 인자들의 영향을 매우 적절하 게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수·보강시 발생할 수 있는 과보강 상황 및 고강도콘크리트 부재에 대해서도 매 우 정확한 비부착긴장재의 극한응력을 제공하였다.

컨테이너에서 재배된 백목련과 자귀나무의 이식전후 생장률 평가 (An Evaluation on the Growth Rates of Magnolia denudata and Albizzia julibrissin Produced in Containers)

  • 김태진;김학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2-10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rate of landscape trees produced in containers for three year, and the growth rate of the establishment period during sixth month~twelve months after transplanting. Two types of container such as plastic pot(pot) and fabric growing bag(bag) were adopted to restrict tree roots. Each type of container was divided into seven sub-types. One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 was included as comparison. Two landscape woody plant species (Magnolia denudata, Albizzia julibrissin) were planted in the seven sub-types of container. After one or two growing season in the container, the trees of each container type were transplanted. Half of the trees were transplanted in the mild spring season, and the other half were transplanted in the improper summer season. The data was collected on the diameter of root cellar and the tree height in each yea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Container production method was lower than the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s by 1.3 times ~ 2 times in the growth rates. 2. The Geocell bag and Root control bag revealed higher growth rates than pp-woven bag. And pot- in-pot(double pot)system revealed higher growth rates than the ether container pot system in A denudat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growth rates between container production system in Albizzia julibrissin. 3, The growth rates of improper transplanting trees was high in the \"pot\" type - \"bag\" type - \"control\" in descending order. Especially, the growth rates of \"pot\" type revealed higher than \"control\" by 4 times. 4. From the results of ANOVA and Ad hoc test, the variable of growth factors of each container types in improper transplanting experiment was not significant for a range of 5% or 1% level. And the growth rates of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 was lower than the container production method. 5. There was no differences in growth rate between the containerized and the traditional production system in the case of proper transplanting experiment. The growth rates of diameter of root collar was higher in the \"control\". The growth rates of tree height was higher in the \"bag\" type. Finally,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bsequ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ntainer materials and maintaining methods that focused on the growth rates would be required.aintaining methods that focused on the growth rates would be required.

  • PDF